빅히스토리 - 인류역사의 기원 생각하는 힘 : 세계사컬렉션 1
김서형 지음 / 살림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끌려 손이 갔는데 역시나...

중고생들이나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표지를 보니 청소년용이었다.

앞서 읽은 <도자기로 본 세계사>는 같은 시리즈인데도 정말 깊이가 있는데, 어쩜 이렇게 밖에 못 쓰나 실망스럽다.

인류의 기원을 밝힌다는 주제가 너무 거창해서인가?

<최초의 인류>를 읽고 나서 복잡한 호모 사피엔스의 기원을 정리하고 싶어 좀 쉬운 책을 골랐는데 그래도 이 부분은 약간의 도움이 됐고 뒷쪽으로 갈수록 중학교 교과서 수준의 서술이라 아쉽다.

저자로서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을 같이 보여주고 싶은 마음에 이런저런 근세 이야기도 삽입했겠으나 너무 뜬금없어 글의 맥락이 전혀 연결되지 않는다.

인류의 기원을 설명하다가 느닷없는 타이타닉 이야기를 하는 식이다.


분자시계를 근거로 인류는 600만~550만 년 무렵 공통 조상에서 침팬지와 갈라지게 된다.

호미니드, 즉 사람과에 속하는 정의를 확실히 모르겠다.

위키백과를 찾아보면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같은 대형유인원이 포함된다.

그 밑에 사람족, 즉 호미닌에 침팬지아족과 사람아족이 있다.

이 사람족의 하위 분류, 즉 사람아족에 호모속이 있고, 그 외에 파란트로푸스속,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사헬란트로푸스속, 오로린속, 아르디피테쿠스속, 케냔트로푸스속이 있다.

사람속, 즉 호모의 종류가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 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 등이 있는데, 저자는 이 하이델베르크인이 호모 사피엔스의 직접 조상이라고 한다.

용어 정의가 확실하지 않는 것 같아 다른 책을 참조해야 할 것 같다.

하여튼 인간의 진화는 일직선이 아니라는 게 중요한 듯 하다.

생명의 기원에 대한 부분에서 저자는 오파린의 원시수프 설만 설명했는데 이정모씨의 책에 따르면 요즘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고 심해 열수구 가설이 받아들여진다고 했었다.

업데이트가 필요한 부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