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인류 - 인류의 기원을 찾아나선 140년의 대탐사,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5
앤 기번스 지음, 오숙은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만 들어도 너무 흥분이 된다.

최초의 인류라니, 수메르 문명 같은 역사적 인간의 기원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류의 시작, 유인원에서 갈라져 사람과가 생기면서부터의 진짜 우리 조상을 찾는 이야기다.

400 페이지 정도로 두껍고 어려울까 봐 걱정했는데 본격적인 학술서라기 보다는 화석을 찾아가는 과정, 화석 찾기와 인간의 기원을 밝히겠다는 열정에 넘치는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이야기라 인문학 저서 같기도 하다.

과학적 연구와 발굴이 체계화된 나라들이라 그런지 이런 르포 형식의 발굴 이야기도 많이 출간되는 것 같다.

내 지식의 한계는 비틀즈 노래에서 따왔다는 그 유명한 루시가 우리 인간의 조상이다는 선까지였다.

루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로 우리 인류와 같은 호모 속은 아니고 300만 년 전의 호미니드다.

지금은 그 윗대 조상들까지 밝혀져 있고 DNA 를 이용한 분자시계가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복잡한 인간의 계보는 하나의 깔끔한 단일선의 진화가 아니다는 정도까지만 이해했고 좀더 많은 책을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인류사적 지식 습득보다는 화석을 찾아다니는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그 열정에 더 관심이 가고 감동을 받았다.

미국이라고 하면 자본주의의 최첨단이라 전부 뉴요커처럼 살 것 같은데, 과학자들의 이런 저서를 읽어 보면 말 그대로 드넓은 자연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정말로 자연 자체를 연구하게 되는 것 같다.

우리처럼 시골에서 물장구 치고 음풍농월을 읊는 도가적 자연이 아니라, 자연에서 화석을 발견하고 생태에 관심을 갖고 지질층을 분석하는 그런 과학적 호기심이 어린 시절 자연환경에서 생긴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정말로 동서양의 자연에 대한 접근법은 판이하게 다른 느낌이다.

우리 조상들의 화석은 아프리카에 묻혀 있는데 아프리카의 내전 때문에 발굴 허가를 얻지 못해 전전긍긍 하는 모습들이 안타깝다.

학문이 국경을 초월하기는 아직은 어려운 모양이다.

다른 것도 아니고 인류의 조상을 찾는 과학자들이라면 기독교인은 아닐 것 같은데도 대자연의 한가운데서 신을 찾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적어도 성경 근본주의자들이 말하는 그런 하나님은 아니겠지?


인상깊은 구절들을 옮겨 적다 보니 어디서 많이 본 문장이다 싶어 찾아 봤다.

아뿔사! 얼마 전에 읽었던 이정모씨의 <공생 멸종 진화>에서 내가 옮겨 적었던 바로 그 부분들이다.

눈으로 대충 읽을 때는 몰랐는데 한 문장씩 옮기다 보니 토씨 하나 안 틀리고 똑같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버젓이 번역이 되어 있는 책을 이렇게 그대로 옮겨서 자신의 책이라고 출판해도 되는 것인가?

인터넷 검색을 하다 보니 이 부분은 이정모씨가 중앙선데이라는 잡지에도 똑같이 베껴서 썼고 출처 표시도 안 되어 있다.

원래 대중 독자를 위한 책들은 이렇게 막 갖다 써도 되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