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여행자를 위한 고대 로마 안내서
필립 마티작 지음, 이지민 옮김 / 리얼부커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읽은 <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와 거의 비슷한 포맷이다.

작가도 같고 나온 시기도 똑같은데 출판사만 다르다.

내용이 아주 겹치지는 않아서 재밌게 읽었다.

로마 시대는 상대적으로 내가 취약한 분야라 약간 지루하면서도 새로운 지식을 얻는다는 점에서는 좋았다.

로마라고 하면 역시 2천 년 이상 보존되고 있는 놀라운 건축물일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2천 년 전에도 수원지에서 물을 끌어다주는 상수도 시설이 있었다는 사실은 너무나 놀랍고, 콜로세움이나 판테온도 그 규모를 보면 고대 문명의 발달이 대단할 뿐이다.

하긴 그보다 2천 년이나 더 오래 전에 건설된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생각하면 인류의 문명은 그 초기부터 매우 찬란했음이 분명하다.

검투사나 전차경기, 연극 같은 로마인들의 놀이나 공연 문화 등이 흥미롭다.

당시로서는 세계 최고의 선진 문명이었으니 도시와 상업의 발달로 문화 생활도 매우 활발했을 것이다.

도시의 빈민들이 좁은 거리에 아파트를 짓고 밀집되어 살다 보니 불이 자주 났는데, 소방대는 요즘처럼 소방차 동원해 불을 끌 수 있는 실력이 안 됐기 때문에 건물을 해체하는 것으로 진압했다고 한다.

어쨌든 이런 공적 시스템이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로마의 감옥도 소개되는데, 조선 시대와 마찬가지로 전근대 사회는 감옥에서 죄수들을 먹여 살릴 경제적 여건이 안 됐기 때문에 죄수의 자유를 박탈하기 위해 가둬놓는 것이 아니라 판결 전의 대기소 개념이었다고 한다.

항생제가 없고 위생 시설이 부족한 시대이다 보니 감염병에 취약해 평균 수명이 짧을 뿐더러, 영아 사망률은 매우 높았는데 반대로 그 시기를 넘긴 사람들은 면역력이 매우 뛰어났다.

그래서 인류가 환경에 굴복하지 않고 오늘날까지 번식하면서 생존해 온 것 같다.

당시 의학 수준으로는 대부분의 치료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갈레노스는 깨끗한 물과 운동에 대해 강조하고 낫기 위함이 아니라 해가 되지 않는 치료를 강조했다고 하니 과연 의학사에 남는 의사답다.

저자의 다른 책에서 소개된 바와 같이 후원자와 후원인 관계가 흥미롭다.

전통사회에서는 국가에서 모든 사회적 시스템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대표적인 예가 치안) 자체적인 마을 공동 질서에 따라 움직였던 것 같다.

서로 도움을 주고 받는 사적인 관계가 마치 공적인 원리처럼 유기적으로 잘 돌아감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추구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