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 『열녀전列女傳』에 대한 여성학적 탐구
정재서 외 엮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09년 4월
평점 :
흥미로운 제목과는 달리 오래 전에 나온 책이라 그런지 편집이 올드하고 철학적인 접근도 많아 약간 지루했다.
역사 속에 등장하는 여성주의, 이런 느낌이랄까?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천 같은 내가 원하는 실제적 접근은 적은 것 같아 아쉽다.
유교, 특히 정주이학이 사회를 다스리는 기본 이념이 되면서 여성으로서의 구별이 강화되어 급기야는 한 인간으로서의 주체성이 작아지고 남성과 시가에 예속된 종속적인 존재로 전락한 것 같다.
혼례를 치루고 시집으로 가던 중 가마의 휘장이 떨어지자 숙녀가 사람들 앞에 노출되었다는 이유로 자살을 택한 극단적인 예가 역사서 속에서 칭송받는 식이고 중국의 이런 사례는 그래도 한나라 같은 고대에나 있을 법한 일인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여성 억압이 강화되고 열녀로 칭송받는 현실이 안타깝다.
심지어 중국에서는 전족이 유행하여 심리적인 것은 물론 육체적으로도 주도적인 생활을 어렵게 만들었으니 얼마나 잔인한 전통인가.
여성, 특히 아름답고 요염한 여성은 권력자의 마음을 뺏는 악의 요소로 규정된다.
군자가 멀리 해야 할 악덕이 되버렸으니 긍정적인 여성상을 갖기가 매우 어려웠을 듯하다.
요즘처럼 자식을 안 낳아서 문제인 사회에서는 이해하기 힘들겠지만, 고대의 여아살해 관습이 과연 성행했을 법한 사회 환경이다.
유교의 예라는 것이 남녀유별을 넘어 차별과 종속적인 인간상을 구현하게 되니 전제주의 전통사회에서는 적합했을지 모르겠으나 역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생명력을 잃을 수 밖에 없는 듯하다.
<오류>
74p
심지어 어려서 죽어 재위 기간이 겨우 1년뿐이었던 인종이 죽었을 때도 2명의 여성이 자결을 했다고 한다.
-> 명나라의 인종, 즉 홍희제는 어려서 죽은 게 아니라 만 46세에 즉위해서 8개월 만에 사망했다.
206p
양기는 동한 말 사람이고 원가 시기는 항제(恒帝 147~167)의 재위 시기이니 역시 동한 말이다.
-> 재위 시기로 봤을 때 항제가 아니라 환제(桓帝)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