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생 멸종 진화 -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이정모 지음 / 나무나무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공룡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대멸종에 대한 맛보기로 좀 쉬운 책을 골라 봤다.

그래도 어렵다.

진화의 생물학적 고찰 부분이 한번에 확 이해가 안 된다.

책 수준 자체는 과학 잡지에 연재된 거라 어렵지 않은데 내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 같다.

반복해서 자꾸 읽어봐야 할 듯.

우주의 탄생은 138억년 전이고 태양은 50억년 전에 태어났고, 지구는 46억년 전에 등장한다.

책에서 나오지만 내가 학교 다닐 때는 원시수프 이론을 가르쳤다.

유기물이 있는데 번개 같은 에너지가 가해져 생명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요즘은 이런 학설이 폐기되고 깊은 대양의 열구에서 마그마가 끓어 오르는 곳에서 생겨난 암석 주변의 박테리아가 생명의 기원이라고 한다.

바다와 유기화합물, 에너지원이 있으면 어느 행성에서나 생명 활동, 즉 자가 복제가 가능하다고 하니 과연 화성의 생명 탐사 활동은 의미가 있는 것 같다.

물에서 육지로 올라오는 이른바 발 달린 물고기, 잃어버린 고리 같은 틱타일락의 상상도가 흥미롭다.

흔히 새의 조상이라 알려진 시조새는 새하고는 관련이 없고 그냥 따로 진화해 온 다른 종류의 동물이라고 한다.

오히려 깃털 공룡이 곧 새라고 할 수 있다.

새는 곧 조류형 공룡인 셈이다.

이 깃털 공룡은 아주 오래 전부터, 새와 공룡의 공통 조상 때부터 있어 왔다고 한다.

새의 결정적인 특성이 바로 깃털인데 의외로 비행의 목적 보다는 보온, 구애 등이 먼저라고 하니 신기한 일이다.

두 발로 설 수 있는 육상 파충류만 공룡이라고 부른다.

멸종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아 재밌게 읽었고 역시 다른 책들을 좀더 많이 읽어봐야 개념이 잡힐 듯하다.



인류의 기원에 대한 부분은 방금 읽은 <최초의 인류>를 거의 흡사하게 베꼈다는 사실을 알고 좀 허탈하다.

이미 번역되어 있는 책을 이렇게 막 가져다 써도 되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