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에서 역사와 이야기는 같은 말이다
후지사와 마치오 지음, 임희선 옮김 / 일빛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아주 재밌다.

막연히 이탈리아 유적지에 역사적 사실들을 가볍게 섞은 책인 줄 알았는데 본격적인 평전이다.

열 명의 이탈리아 위인들을 선정해 당시 시대상을 자세히 설명한다.

특히 코시모 메디치가 어떻게 피렌체의 정권을 잡고 독재를 하게 됐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흥미로웠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보는 기분이 들 정도로 마치 한 편의 소설처럼 너무너무 재밌다.

무산계급의 지지를 바탕으로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척 하면서 교묘하게 1인 독재를 뒤에서 조종하기.

요즘 정치 상황과도 비슷한 대목이 있다.

원래 똑똑한 사람들은 민중을 움직이는 작업을 잘 하는 것 같다.

그런데 이런 비공식적인 공작 정치는 독재자가 보이지 않는 조율을 아주 잘 해야 하기 때문에 코시모의 후손들은 이 복잡한 조정에 실패해 쫓겨나고 만다.

왜 이탈리아는 근대 통일국가를 형성하지 못했나 의아했었는데 바로 이 상업 세력이 지배하는 자치 도시들의 힘이 워낙 셌고 교황까지 가세해 군주가 이들을 누를 수 없었던 것이다.

시칠리아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인 프리드리히 2세의 통일 노력은 이들의 강력한 저항에 밀려 실패하고 만다.

오히려 그의 자손들은 프랑스에서 건너 온 루이 9세의 동생 카이로 1세에게 밀려 왕권까지 뺏기고 만다.

프랑스와 스페인, 영국 등이 절대주의 왕정으로 변모했던 것과 대조되는 대목이다.

최초의 근대인이라고 하는 프리드리히 2세의 일생도 아주 흥미롭게 읽었다.

이렇게 똑똑한 사람도 여러 자치 도시들이 난립하는 반도의 통일은 어려웠던 모양이다.

살아 움직이는 이탈리아 역사 이야기, 인물을 통해 만나 보는 이탈리아의 역사가 이렇게 재밌었나 싶을 정도로 인상적인 책이었다.

왜 이런 재밌는 책들은 베스트셀러가 못 되는 것일까?


<오류>

121p

노르만 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굴리엘모 2세에게는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숙모인 콘스탄차가 왕권의 유일한 계승권자였다.

-> 콘스탄차는 굴리엘모 2세의 숙모가 아니라 고모 할머니다.

318p

대비의 눈에 든 사람은 도를레앙 공작의 딸인 안이었다. 그녀는 루이 14세의 손녀였으므로 다시없이 좋은 자리였다.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부인이 된 도를레앙 공작의 딸 안은, 루이 14세의 손녀가 아니라 조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