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14세는 없다 역사적 인간 2
이영림 지음 / 푸른역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좋은 책들을 정말 많이 읽는 것 같다.

어쩐지 가쉽거리 같은 가벼운 제목과는 달리 내용이 정말 훌륭하다.

유럽의 절대주의 성립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한번에 날려준 책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절대군주는 일종의 이미지에 불과했고 이들도 귀족들과 지방 세력과 협력하여 양보하면서 중앙집권국가를 만들어 갔던 것이다.

그러고 보면 뿌리깊은 지방 세력들을 어떻게 일순간에 다 무너뜨리겠는가, 혁명의 시대도 아니었는데 말이다.

태양왕 루이 14세는 보여지는 이미지였을 뿐, 실제로는 대귀족들을 길들이기 위해 법복귀족을 양성하고, 재정가들에게 돈을 빌리고 지방 귀족들에게 권한을 나줘주면서 정말 바쁘게 움직이던 시대였다.

근대국가로의 구조적 변신이 아니었던 만큼 모순이 누적되어 결국은 프랑스 대혁명을 맞고 말았던 것이다.

왜 영국과 달리 혁명으로 무너질 수밖에 없었는지 프랑스 사회의 근본적 문제점들을 잘 설명하고 있다.

17세기 유럽은 만성적인 전쟁 상태였다는 지적이 중요해 보인다.

백년전쟁을 통해 전사 귀족들이 몰락했고 왕은 부르주아들에게 관직을 주면서 법복귀족으로 임명해 귀족의 범위를 넓힌다.

이들은 면세 특권을 갖고 있어 농민들에게 세금을 거둬여 하는데 생산성이 워낙 낮아 그 돈으로는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재정가들에게 세금을 걷을 권리를 준 후 미리 돈을 받는 식으로 해결했다.

이런 징세청부업은 멀리 로마 시대부터 있어온 관행이다.

관료제가 확립된 동아시아에서는 보기 드문 징세 방법이다.

그런데 전쟁이 지속되어 돈이 끝없이 들어가는지라 결국 왕은 재정가들에게 거액의 돈을 빌리게 되고, 재정가들 역시 나라에 돈을 대기 위해 투자를 받는데, 놀랍게도 이 때 투자자들이 대귀족들이다.

화폐경제가 이미 확립되었기 때문에 이런 투자도 가능했다고 한다.

산업과 금융이 발달했으면 다른 사업에 투자를 했을텐데 프랑스 대귀족들은 영국과 달리 나라에 돈을 빌려주는 재정가들에게 투자를 한 셈이다.

그러니 요즘 이미지와 달리 프랑스에서 자본주의 산업이 발달했던 것도 아니다.

왕은 관직을 팔아 돈도 마련하고 혈통귀족에 대응하는 법복귀족층도 만들어 낸다.

법복귀족, 즉 관직을 가진 귀족들이 바로 부르주아들이었던 모양이다.

순수한 자본가 계층이 아니라 돈을 벌어 관직사회로 들어온 것이다.

중국처럼 관직이 있어야 돈을 벌고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흔히 알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와는 좀 다른 느낌이다.

중국에서도 상인이 돈을 모으면 공장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토지를 사서 지주가 될 뿐이다.

봉건주의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가 이뤄지지 않았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