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덴.마이얼링.아이젠슈타트.툴른 풍월당 문화 예술 여행 4
박종호 지음 / 풍월당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는 빈 이야기.

저자의 전작 <빈에서는 인생이 아름다워진다>와 겹치는 느낌도 들고, 이 책에서는 개인의 소회보다는 정보 전달에 초점을 맞춰 한편의 에세이로서는 많이 아쉽다.

대신 빈 곳곳의 카페와 왕궁, 건물 등을 애정어린 눈으로 소개한다.

빈의 카페는 무려 100년의 전통을 자랑한다.

과연 문화예술의 도시답다.

자본주의 시대에 작은 가게가 100년 이상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문화전통이 아니라면 설명하기 힘든 부분 같다.

한국은 유교적 사회라 위인들이 죄다 학자인 반면, 오스트리아는 문화예술가들이 중심을 차지한다.

확실히 서구 문화권의 예술 전통은 동양 사회와는 매우 다른 듯하다.


<인상깊은 구절>

242p

이제 <베토벤 프리즈> 전체를 다시 정리해보자. 인간은 끝없는 고통과 슬픔 속에서 유혹과 방해를 받으며 살아간다. 그런 인간이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대상은 오직 시와 미술과 음악이다. 나약하고 불쌍한 인간이지만, 예술이 있기에 기쁨도 있으며, 그 속에서 우리는 사랑하는 상대와 행복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오류>

133p

1671년에 안나 황후가 이곳에 카푸친 수도회의 수도원을 짓도록 했다. 그리고 그녀의 아들 페르디난트 2세는 어머니가 세운 수도원의 지하에 부모님의 관을 보관했다.

->1671년이 아니라 1617년에 마티아스의 황후 티롤의 안나가 후원금을 내서 수도원을 지었다. 그리고 그녀는 페르디난트 2세의 어머니가 아니라 사촌 형수이다. 즉, 남편인 마티아스와 페르디난트 2세는 사촌 관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