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한국미술
김영나 지음 / 예경 / 1998년 7월
평점 :
품절


2권을 먼저 읽었고 너무 재밌어 수년 만에 드디어 1권도 읽게 됐다.

알라딘 도서 정보가 잘못 나와 1권에 2권의 목차가 실려 있어 무슨 내용인지 무척 궁금했던 터였다.

1998년에 나온 책이니 벌써 20년이 넘었는데도 너무너무 재밌다.

좋은 책은 항상 생명력이 있는 모양이다.

저자는 서양미술사를 전공한 분 같은데 한국 미술사 이야기도 정말 맛깔나고 깊이있게 잘 쓰신다.

논문 발표한 것들을 책으로 엮었는데도 어쩜 이렇게 쉽고 재밌는지 모르겠다.

아쉬운 점은 흑백 도판들이다.

본문에 언급된 작품들이 대부분 실려 있는 점은 좋은데 흑백이 많아 아쉽다.

혹시라도 개정판이 나온다면 컬러 도판으로 실어 주면 좋을 것 같다.

저자는 한국 현대 미술의 시원을 1910년으로 잡는다.

미술이 여기가 아닌 예술로 인정받고 특히 근대성, 서구의 미학을 받아들인 시점을 20세기 초로 잡은 것이다.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매체만 바뀐다고 현대 미술이 되는 것이 아니라 회화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그 태도와 정신이 훨씬 중요한 것 같다.

누드화를 외설이 아닌 인간의 아름다운 신체 표현으로 접근할 수 있는지가 한 예일 것이다.

한국은 어쩔 수 없이 일본을 거쳐 서구의 현대미술을 받아들였고 해방 후에는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전후 미국이 승전국이 되면서 동양을 서구 문화의 아류 취급을 하면서도 선 사상이나 서예 등을 받아들이는 개방적인 태도를 취했다는 사실이다.

한국이나 일본이 서구 문화를 추종하면서 모방하기 위해 애쓰면서도 서구 역시 동양의 선불교나 서예 등을 추상표현주의나 색면화에 응용하게 된다.

문화란 일방적이기만 한 것은 아닌 모양이다.

어렵기만 했던 앵포르멜이나 추상 조각 등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