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운중의 유럽미술관순례 2 - 루브르를 천 번 가본 남자 윤운중의 유럽미술관순례 2
윤운중 지음 / 모요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권은 너무 유명한 파리와 런던의 미술관이라 식상했던 반면 2권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유럽의 여러 나라 미술관들을 소개하고 있어 흥미로웠다.

바티칸 박물관 투어편의 민박 아주머니 이야기가 애틋했다.

한인 민박에서 일하는 조선족 아주머니들이 불법 체류자 신분이라 민박집에 매여 있어 하루도 못 쉬는 걸 보고, 자신이 로마를 떠나는 날 민박집 주인에게 사정하여 이 아주머니들을 모시고 다니면서 투어를 시켜 준 것이다.

비가 쏟아지는데도 로마에서 머무는 마지막 날이라 여러 미술관과 명소들을 모시고 다니고 도록도 한 권씩 선물로 드렸더니 다들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나도 가슴이 뭉클했다.

이런 따뜻한 마음씨를 가진 분이 일찍 세상을 떴다는 게 정말 가슴아프다.

저자는 미술관 가이드라는 직업을 정말 사랑하고 열정적으로 삶을 살았던 분 같다.

빈, 벨기에, 네덜란드 미술관들은 아직 못 가 본 곳이라 다음에 꼭 가보고 싶다.

이번 편의 그림들은 밝은 색채가 많아서 그런지 도판 상태가 훨씬 좋고 같이 실린 사진들도 볼만 하다.



<인상깊은 구절>

453p

열일곱 살 무렵에 빈에서 명성을 날리던 클림트를 만나려고 그의 주변을 어슬렁거리다가 마침내 그를 만나 자신의 넘치는 재능을 인정받기에 이른다. 당시 클림트는 실레의 드로잉을 보고는 "재능이 있군. 재능이 아주 많아"라며 그의 천재성에 찬탄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이후 실레는 클림트의 작품에 깊이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와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확립해간다. 클림트와 실레는 에로티시즘이나 젠더에 대한 관심에서 분명히 공통적인 예술 분모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클림트는 도발적이긴 하나 어디까지나 이를 품위 있게 표현하려 했고, 아카데미나 평단과 불화를 겪기는 했지만 시대가 허용하는 표현의 범위 내에서 자신의 의지를 표출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실레는 그렇지 않았다. 그는 스스로의 생각과 본능이 움직이는 대로 솔직하고도 분명하게 이를 표현했다. 그러다보니 클림트의 그림은 미적 감수성을 자극하는 아름다운 작품으로 오늘날 수도 없이 복제되어 인테리어 장식으로도 각광받지만, 실레의 작품은 너무나 적나라한 표헌으로 대중적인 인기보다 소수 애호가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는 데 그쳤다.


<오류>

17p

서기 312년 콘스탄티누스에 의해 밀라노 칙령이 발표되었다.

-> 밀라노 칙령은 313년 발표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