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책을 읽는 멸종 직전의 지구인을 위한 단 한 권의 책
조 퀴넌 지음, 이세진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표지 디자인은 신선한데 한국적 상황과 맞지 않다.

제목도 인상적이지 않다.

본문에 소개된 수많은 책들을 들어본 적이 없으니 공감이 될 리가 있겠는가.

차라리 좀 오타쿠적이더라도 일본 수필이 더 공감이 간다.

저자가 소개하는 책들을 절반이라도 읽어 봤으면 모를까, 제목만 휙 소개하고 넘어가는 게 대부분이라 제대로 공감하기가 어려웠다.

다만 책을 읽으면서 나의 독서 생활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진 점은 좋았다.

나는 왜 책을 읽는가?

한 때는 고전과 소설을 읽기도 했지만 지금은 전혀 읽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일반적인 애서가와는 좀 다르게, 다치바나 다카시처럼 논픽션을 좋아하는 쪽이다.

너무 궁금해서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책을 읽는다.

책을 읽고 나면 인식의 지평이 넓어지고 그런 느낌이 말할 수 없는 충족감과 행복감을 준다.

가끔 많이 몰입해서 책을 읽고 나면 이렇게 행복한데 죽으면 이 기쁨을 못 누릴텐데 안타까울 때도 있다.

독서는 강렬한 만족감과 기쁨을 주는 중독성 강한 취미이라 생각한다.

기쁘게도 이 취미는 평생 질리리 않을 무한대의 다양한 영역이 있고 내 경우는 돈이 거의 들지 않는다.

나는 애서가지 장서가, 수집가는 아니다.

사실 사서 읽고 싶긴 한데 공간의 문제로 살 엄두가 안 난다.

책값이 문제가 아니라 보관할 공간이 없다.

1년에 200권이면 5년이면 금방 천 권이 되버린다.

창고에 쌓아 놓으면 제 때 꺼내 볼 수 없으니 의미가 없고 책장에 진열해 놔야 하는데, 서재는 커녕 책상도 제대로 없어 화장대에 겨우 독서대를 놓고 읽는 처지라 서재는 엄두도 안 난다.

그래서 도서관을 애용한다.

요즘 도서관은 신간을 너무 잘 사 주고 장서 보유량도 꽤 많을 뿐더러 밤 10시까지 개관해서 직장인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집에서 멀어 이동 시간이 많이 걸리고 내가 사는 인천은 도서관끼리 상호대차가 안 돼서 가끔 없는 책들도 있다.

대출은 직접 가서 하더라도 택배로 반납하면 어떨까 생각해 봤다.

직장인이 되니 시간이 돈이라 퇴근 후 도서관까지 가는 시간이 아깝고 주차 공간도 턱없이 부족해 접근성이 떨어지는 게 아쉽다.

나의 독서 계획은 매일 한 권의 책을 읽는 것이다.

소설이나 에세이는 한 시간에 100페이지 이상도 가능하지만 내가 좋아하는 논픽션은 배경 지식이 부족한 경우 속독하기가 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나마 본문만 읽으면 좋은데 온갖 궁금한 것들을 직접 찾아봐야 하니 열심히 읽어도 한 시간에 70~80페이지가 최선이다.

독서는 상당히 완결성 있는 행위로 한 번에 쭉 집중해서 읽는 게 제일 좋다.

매일 다섯 시간 정도 할애하면 될 듯 한데 아무리 수면 시간을 줄여도 수험생도 아닌데 다섯 시간씩 독서 시간을 갖는다는 게 쉽지 않다.

그래서 1년에 200권 읽는 게 목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