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유의 패배 ㅣ 동문선 현대신서 3
알렝 핑켈크로트 지음, 주태환 옮김 / 동문선 / 1999년 4월
평점 :
문화 속에서 우리는 거북스러움을 느낀다. 왜냐하면 문화란, 사유하면서 살아가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늘나날 사유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는 제반행위를 흔히 문화적인 것으로 규정해 버리는 조류가 확인되고 있다. 정신이 위대한 창조에 필수적인 동작들. 이 모두가 이렇게 문화적인 것으로 잘못 여겨지고 있다. 무슨 이유로 소비와 광고, 혹은 역사 속에 뿌리박은 모든 자동성이 가져다주는 달콤함을 탐닉하기 보다는 참된 문화는 선택해야 하는 것일까?
이런 물음을 던지는 사유의 패배(알랭 핑켈크로트, 동문선)는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다. 일단 형이상학적이고도 사변적인 색깔이 강렬하다. 그래서 그런지 이런류의 철학책은 읽는 사람만 읽고, 쥐도 새도 모르게 절판된다. 특히 우리나라 대형서점의 베스트셀러 코너는 지금으로부터 20년전이나 지금이나 그리 큰 차이가 없다. 쉬운 책 위주로 1위부터 20위까지 점철된다. 압도적인 소설의 우위 속에 간혹 무게 있는 에세이류 정도나 여행기가 그리고 경영 경제 서적이 구색맞추기식으로 간신히 껴들어가 있다.
그런데 제목도 현학적인 이 <사유의 패배>는 1987, 88년 프랑스 최고의 베스트셀러로서 프랑스 지성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고 한다. 책많이 읽는 프랑스 녀석들이라 그러려니 하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다 십다. 뭐, 데리다의 책이나 푸코의 책을 읽고 벤취에서 열변을 토하는 그네들이고 보면 정말 프랑스 사람들의 독서력은 경악을 넘어 경외감까지 느끼게 된다.
하여간 이 책은 쉬운 책이 아니다. 사유를 문화와 연결 짓는 것부터가 수상하다. 철학을 대중문화 분석에 끌어쓴 학자는 많지만(특히 프랑스 문학가들이나 정신분석학자들) 좀 더 거대한 ‘정신’을 현대 문화 분석의 주요 모티브로 삼은 사람은 이 사람이 처음이 아닐까 한다.(물론 내가 아는 일천한 지식에 한해서지만..)
그런데, 이 문제의 책을 쓴 사람이 내가 처음 듣는 저술가 였는데, 오늘날 프랑스 대중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사람이라는 걸 보고 상당히 놀랐다. 아니, 왜 이런 사람을 나는 여태 모르고 있었던 거지?? 하여간 이 프랑스의 유명 인물의 대표작이 이 책이라니, 문외한인 사람도 한 번쯤 거들떠 보는 게 좋을 듯 싶다..
핑켈크로트(아씨, 발음하기도 어렵고 철자 쓰기도 어렵네..)는 오늘날의 거대한 야망이 문화를 손아귀에 움켜쥐고 있다고 결론짓는다.
저자에 의하면, 문화라는 거창한 이름 아래 소아병적 증상과 더불어 관용이 없는 사회 분위기가 확대되어 왔단다. 이제는 기술시대가 낳은 레저산업이 인간 정신이 이루어 놓은 문화적 유산들을 싸구려 유희거리로 전락시키고 있다.
그리하여 핑켈크로트는 정신이 주도하던 인간 삶은 마침내 ‘집단의 배타적 가치에 광분하는 인간’과 연체동물처럼 흐느적거리는 ‘뼈 없는 인간’, 이 둘 사이의 무시무시하고도 우스꽝스런 만남에 자기 자리를 내주고 있다고 통박하고 있다.
그는 본서를 통해 정신과 의미가 구체적 역사 속에서 부상하고 함몰하는 과정을 그려내면서, 우리가 어떻게 해서 여기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는지를 일관된 논리로 비판하고 있다. (헌데 쉽지 않다)
참고로, 지금으로부터 10년 전 프랑스 문단을 발칸 뒤집어 놓은 문제작인 미셸 우엘벡의 <소립자>와 순환사관을 정립시킨 오스왈드 슈펭글러의 <서구의 몰락>을 같이 읽으면 금상첨화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전자는 성과 사랑 그리고 가족의 의미로부터 지금 우리가 어떻게 여기에 있게 됐는지 심각하게 되묻는 소설이기 때문이며, 후자는 서구 정신이 왜 몰락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방대한 역사관을 통해 논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 이 더운 여름, 짜증이 나는 한 낮에 <사유의 패배>를 읽으면서 짜증의 급피치를 올리는 것은 어떨지..어느새 짜증에 패배하여 몸이 나른해져 잠에 빠져들 것이다...아주 좋은 여름 나기일듯..
<주의>
평소 이런 철학적인 생각에 몰두하거나 인문서 읽기가 취미인 사람에게는 정신에 해로울 수 있으니 가급적 낮에 읽기를 당부한다. 괜시리 밤에 읽어 그 다음날 눈이 벌겋게 충혈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를 요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