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16일 오후 9시30분 경. 저는 신도림 역으로 가는 열차에서 존 파울즈의 <은밀한 본능>을 읽고 있었습니다. 여자와 남자의 대화로만 일관하는 내용이라 좀 지루해서 읽기를 중단하고, 스마트 폰으로 알라딘 중고서점 검색을 시작했지요.
당연히 찾는 책은 DK지식 시리즈였습니다. 혹시나 해서 강남점부터 검색을 하는 중에 건대점에 떡하니 <경제의 책>이 있었지요! 아드레날린이 치솟으며 당장 달려가고 싶었지만, 가면 폐점이라 내일을 기약했습니다.
17일 아침 일어나자 마자 출발하려고 했지만, 그날따라 아침에 일이 생겼습니다. 생각 끝에 아침 업무를 잠시 미뤄두고 건대점에 있는 책부터 사오기로 했어요.
조금 늦게 출발했지만 아침부터 지식시리즈가 팔릴 혹률은 극히 희박하다고 확신했습니다. 경험상 건대점은 그랬지요. 책이 들어오고 나가는 게 타점보다 좀 늦은 편이라서요.
10분 발로 검색을 하면서 갔지요. 헉! 근데, 중간 쯤 갔을 때, <경제의 책>이 팔렸다고 나옵니다! 이런, 젠장!!! 중간에서 하차하여 빡오름을 진정시켜야 했습니다. '이럴수는 없는 기다! 이럴수는!!!!' 이런 내면이 소리가...
낙심하여 이 시간 우로 손에 일이 잡히지 않았지만 그냥 엄벙덤벙 해냈습니다. 그리고 알라딘 서재에 접속하여 글을 읽는 와중에 서재 이웃 분이 <경제의 책>을 구입했다고 하는 글을 봐 버렸습니다.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철학의 책, 경제의 책 구입했습니다.
도서정가제 시행되기전에 반값에 팔았던걸로 알고 있는데(기억이 가물가물..) 매번 살까말까 고민하다가 매장에 있길래 그냥 질렀네요.
철학사는 종류대로 가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경제의 책도 기대됩니다.
라는 자랑 페이퍼. 제 페이퍼 보구 구입했다는 군요! 이런~~ㅠㅠ
저는 자책해야만 했습니다. 제가 14일 페이퍼를 올리면서도 설마설마 했지요. 하도 빡쳐서 어떻게든 불만을 가라앉혀 보자는 심사에서 올린 페이퍼였지요. 책값도 꽤 비싸서 알라딘 중고서점에서 이 책을 노리는 알라디너가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치 못했습니다.
근데 정말 우려가 현실이 되니, 심하게 자책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책을 어느 정도 완비하고 페이퍼를 올릴 껄 그랬다고. 그냥 막 제게 욕을 퍼부었습니다. '이 천하에 븅~~신' '얼빠진 넘' '머저리, 등신, 개쉑' 등등..
그날 밤 도저히 화가 가라앉지 않아 새 책을 구입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알라딘에 검색창을 열어 검색했지요. 아, 그랬더니 7권 전집이 50% 반값 세일을 하더군요! 도서정가제가 끝나서 반값 도서는 없는 줄 알았는데, 출판사에서 재고를 처리하려고 아직도 반값 이벤트를 하는 거 같았습니다.
뭐, 닥치고 주문을 넣었지요. 사는 김에 예전부터 벼르고 있던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과 <물질과 기억> 원서를 함께 넣었습니다. 반값에 구입해서인지 갑자기 기분이 업 되면서 위안이 되더라구요~
빡침과 아쉬움 그리고 자책이 눈녹듯이 사라졌습니다..ㅎㅎ 원하는 책 구입의 위력이랄까요.
그나저나 지식갤러리의 DK지식 시리즈 소개를 좀더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뭐, 제가 시리즈 완비 했으니 꺼리낄게 없지요..ㅋㅋ 많이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이 책들은 정말 갑 중의 갑이지요.
아마존 들어가서 외국애들이 이 책에 대해서 리뷰 쓴 걸 쭉~ 훑어 봤는데요. 정말 평들이 하나같습니다. 요약하자면 이렇습니다. '환타스틱하다!' '이런 책은 두고두고 봐야 한다.' '정말 굉장한 책이다~' '전혀 비싸지 않고, 활용도 만점인 책' '이런 편집이 있을 수 있다니!'
뭐, 대충 이런 내용. 저도 물론 모두 동의하는 평들이구요. 권당 책 가격이 꽤 비싸지만 읽어보면, 가격이 오히려 싸게 느껴지는 희한한 시리즈 입니다.
개인적으로 사전류의 책들을 매우 좋아합니다. 글을 정확하고 밀도 있게 쓰기 위해서 그리고 기초학문에 대한 이해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 쟁여 놓는 책들이지요.
누가 글 잘쓰기 위해서는 사전류는 필수적이라 말해줘서 닥치고 사모으는 편입니다. 문학, 철학, 사회학, 경제학, 미학, 디자인 등에 대한 사전 형식의 책은 그냥 닥치고 필독서죠. 정확한 개념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해 이런 책만큼 좋은 건 없습니다. 활용을 잘하면 금상첨화지요.
헌데, 가지고 다니기 편하고 가독성 높은 사전류를 만나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많이 나오는 책도 아니구요. 그래서 인문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예술 분야의 사전류는 예의 주시하는 편입니다.
지식갤러리의 DK지식 시리즈는 매우 독특한 편집과 디자인이외에도 사전류가 갖고 있는 장점을 담고 있습니다. 각 권은 모두 통사적인 형식을 띠고 있지만, 각 학자들과 맥락읽기 코너를 따로 박스로 처리하여 중요도를 높였습니다.
그래서 학자들만 소개된 박스만 읽어도 웬만한 경제학사나 철학사 개론서를 읽는 효과가 있습니다(<경제의 책>과 <철학의 책>의 경우). 물론 잘 알려지지 않는 학자들은 독자적인 박스가 없지만 중요한 학자들인 경우는 매우 상세합니다.
그리고 서로 연관된 이론과 학자들을 연결해 주는 밑의 '참조'코너는 누가 누구에게 영향받고 누구에게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어 유익합니다.
'맥락 읽기' 코너는 그야말로 역사적인 맥락에 대한 소개인데요, 한 학자의 이론 소개에 앞서 해당 분야의 전후 관련 역사를 짚어 주어 비슷한 시대의 학문적 관심사를 알아 볼 수 있습니다.
에컨대 <과학의 책>에 보면, 윌리엄 스미스(1769~1839)라는 학자가 나옵니다.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지질학자인데
요, 이 사람은 영국의 지층도를 제작한 학자입니다. 영국 최초의 전국지도를 만든 사람으로, 우리나라로 따지면 고산 김정호 정도의 위상을 갖는 학자입니다.
[맥락 읽기]를 보면 이렇게 돼 있지요. (p115)
분야
지질학
이전의 관련 역사
1669년 : 니콜라스 스테노가 지질학자들이 지층을 이해하는데 길잡이가 될 층서학의 기본 법칙을 발표한다.
1760년대 : 독일에서 지질학자 요한 레만과 게로르크 퓍셀이 최초의 실측 지틍 단면도 및 지도를 제작한다.
1813년 : 영국의 지질학자 로버트 베이크웰이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암석 종류를 보여주는 지질도를 최초로 제작한다.
이후의 관련 역사
1835년 : 영국 지질도를 체계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영국 지질 연구소가 설립된다.
1878년 : 제1회 국제 지질학 회의가 파리에서 열린다. 그때부터 3~5년마다 꼬박꼬박 열렸다.
대중적으로 유명하지 않은 학자는 1페이지에, 아주 유명한 학자, 예컨대 칸트같은 학자는 무려 6페이지에 걸쳐 있습니다. 학자의 중요 핵심 주장을 따옴표로 표시해 배치하고, 어려운 내용은 그림을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예컨대 <철학의 책>에 보면 칸트가 한 유명한 말들이 눈에 그대로 들어오게끔 편집돼 있습니다. " 철학의 시작은 바로 그 한계를 아는 것이다"(p167), "인간의 관점에서만 우리는 공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p169), "인간의 이성은 떨쳐버릴 수도 대답할 수도 없는 질문에 시달린다."(p170), "이성은 자기 방식대로 만들어 낸 대상을 통찰할 뿐이다."(p170)
무엇보다 이 책의 최고 강점이자 편집의 승리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논증도입니다. 반드시 알아야 할 학자의 경우, 그 학자의 핵심 주장을 논증 형식으로 구성하여 보여주지요. 학자가 한 수많은 주장들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주장을 뽑아 논증도로 보여 줍니다.
존 롤스의 경우는 이렇습니다. <철학의 책> p294
▼
▼
▼
공정하고 정의로운 원칙은 사회적 지위를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
정의의 원칙은 무지의 베일에서 선택되어야 한다.
대충 도식으로 나타내 보았지만, 책을 열고 편집된 부분을 보면 머릿속에 그대로 박힙니다. (위와는 좀 다르게 편집돼 있습니다) 두꺼운 철학사 책을 읽으면, 번역 외에도 많은 내용 때문에 핵심을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 시리즈의 책들은 그냥 아주 깔끔하게 머리속에 정리됩니다. 그래서 경탄을 내뱉게 됩니다~
사실 이 시리즈는 각 권이 'OO의 책'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이면을 보면 각 학문의 역사 개론서입니다. 관심은 있지만 해당 분야를 잘 모르는 분들에게 그 분야의 개론적 지식을 체계적이고도 아주 알차게 알려주는 최고의 입문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아쉽게도 예술 분야는 없지만, 비슷한 컨셉으로 예전에 예담에서 나온 '예술의 유혹'시리즈가 있습니다. 편집과 내용 면에서 DK시리즈에는 못 미치지만 나름의 장점이 있는 예술사 개론서들입니다. 이 시리즈도 참 좋지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