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을 위한 변론 - 세계 최고의 석학이 펼치는 공직에 대한 변론
찰스 T. 굿셀 지음, 황동원.박수영.김동원 옮김 / 올리브(M&B)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관료제는 사회학과 경영학 그리고 행정학의 주요 연구테마이다.

대학에서 관료제라는 수업을 들으면 관료제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병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무사안일, 복지부동, 훈련된 무능 등 관료제를 비판하는 어휘는 수십가지다. 현대사회에서 관료제는 병리적 진단을 받은지 오래다.

거기다가 정부가 더해진 정부관료제는 곧 부패와 동일시 되는 것까지 전락했다. 파킨슨의 법칙, 밀레의 법칙 등 정부관료제를 묘사하는 부정적인 법칙들이다.

한마디로 관료제는 사람을 무능하게 한다는 것. 생산적인 일을 하는 대신에 대부분의 시간을 관료제의 틀을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일을 한다는 것. 정작 해야할 일을 안하니 특권의식과 권위주의 의식이 생겨 시민과 유리된다는 게 현대 정부관료제를 보는 통설적인 시각이다.

헌데, 여기 겁대가리를 상실한 학자가 있다. 바로 찰스 굿셀이라는 버지니아 주립대 폴리테크닉  행정학과 교수가 그 장본인. 오래 전 그가 쓴 <공무원을 위한 변론>(올리브. 2006)이 2006년 우리말로 번역되어 나왔다.

이 되먹지 않은 글을 쓰는 나도, 학부때 관료제 수업을 들으면서 도대체 관료제를 옹호하는 학자들의 정신구조가 무척 궁금했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행정학과 사회학 교과서에서 이 책이 언급됐을 때 상당히 흥미가 갔다. 굿셀 교수의 책을 거들떠 보고 싶은 마음 굴뚝같았지만 책을 구할 수 없었다.(비싼 돈 주고 원서를 구입할 수 없지 않은가? --;;) 그런데, 작년에 이 책이 번역되어 나온 것이다~

굿셀교수가 주장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격이다. 모든 사람들이 관료제를 비판하고 있는데, 진짜 소수의 사람들만이 관료제를 옹호하고 있다. 위르스톤 카우프만, 밀워드와 레이니 그리고 찰스 굿셀이 바로 그런 학자들이다. 굿셀이 조명받는 이유는 논문에서 끝나지 않고 책으로 공무원을 변호했기 때문이다.

좀 무모해 보인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는 책의 1장 처음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관료제를 변호하다니 이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인가! 이 책의 저자는 분명 인간의 탈을 쓴 악마 대왕 루시퍼든지 아니면 정신 나간 사람이든지 둘 중 하나일 것이다. 오직 악마만이 악마를 변호하려고 나설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일을 하려고 하는 나의 성품과 정신상태에 관해 독자들이 가질지 모르는 이와 같은 의심이 사라지려면 이 책의 몇 페이지 정도는 넘겨야 할 것이다."

라고 우려섞인 푸념를 하고 있다. 그도그럴것이 우리나라에서 누가 이런 주장을 한다면 비판의 십자포화를 맞기 때문이다.

 

공직자는 시민의 삶을 조율하는 진정한 예술가다!
행정은 종합과학이며 예술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주장하는 두 명제이다. 과연 그런가? 예술인지 쓰레기인지 어디 확인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행정과 공직자가 모두 예술인지 노교수의 이 말도 안돼는 주장의 진위를 판단하는 것은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의 몫일 것이다.

미국 최고 석학 중 한사람이 펼치는 독보적인 공직에 대한 변론을 거들떠 보는 것도 교양을 위해 좋을 것이다~

 

이 책을 쓴 찰스 T. 굿셀에 대해서...

칼라마주대학을 거쳐 하버드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마치고 버지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와 푸에르토리코대학교, 남일리노이대학교에서 교수로 제직했다. 그는 행정학과 더불어 라틴아메리카 문제와 공공건축 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잇으며 이 책 이외에 <미국의 주의회 의사당>, <예술에 조명받고 영감받는 행정>, <시민공간의 사회적 의미>, <공적인 만남> 등의 저서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