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야무입니다.  한 무리의 지인분들과 함께 과천 현대미술관에서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감상했습니다. 한 분이 후기 써 달라는 부탁을 하시는 바람에 몇 자 적어봅니다.

 

사실 이 전시회를 몰랐습니다만, 우연히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고, 과천 현대미술관 사이트 들어가서 둘러보고 부랴부랴 관람했습니다. 5.4. 2시간 가량 둘러봤지만 작품이 예상보다 많아 다시 보기를 기약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다른 약속이 있었기에.

 

그리고 19일 다시 전시를 보게 되었는데, 다시 보는 그림들이었지만 처음 본듯한 작품도 있어서 역시 전시는 꼼꼼히 봐야 한다는 걸 다시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꽤 오랫동안 한 전시였는데, 5월이 막빠지였고 19일이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그나마 도슨트 설명을 듣는 분들이 꽤나 많았습니다. 4일하고는 완전히 판이한 날. 그땐 정말 관람객들이 거의 없었습니다.

 

어쨌거나 추상미술 그것도 기하학적 추상미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가 없는 분야인데 이런 기획이 있다는 자체가 신선했습니다. 아쉽게도 추상미술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전시가 아닌 기하학적 추상미술만 다루어 아쉽긴 하지만 제 작업의 출발선상에 있는 전시라 안 볼 수 없었습니다.

 

결과적으론 대만족. 물론 세세한 부분, 그러니까 디피 부분과 조명 부분은 참으로 아쉬웠지만(1층 옆 사진 전시관도 마찬가지) 추상미술 관련 도판에서도 거의 볼 수 없었던 작가들의 작품을 직접 볼 수 있었던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한국의 추상미술은 시기적으로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집니다. 50년대 이전, 즉 일본 유학 중 서구 추상미술의 세례를 받은 1세대와 1957년 현대미술가협회가 출범한 때를 기점으로 한 2세대로 말이죠.

 

사실 57년은 한국추상미술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분깃점인 해였습니다. 이 해에 현대미술가협회와 더불어 모던아트협회, 창작미술가협회, 신조형파, 백양회 등이 동시에 출현했기 때문입니다.

 

1세대가 개인 위주였다면 2세대는 이러한 협회를 위주로 단체 경향이 강하고 협회 강령을 내걸고 집단적으로 추상작품을 발표하던 시절이라, 추상 작가와 작품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한 때였습니다.

 

이때 프랑스에서 도입된 엥포르말(비정형 추상)과 더불어 미국의 모더니즘(특히 클레멘트 그린버그) 회화에 영향을 받은 다수의 작가들이 발생했는데 1969년 한국아방가르드협회가 출범하면서 그 경향은 폭발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한국의 서양 평면은 사실주의 구상계열이 대세라 추상화 작업하는 작가들은 별로 인기가 없었습니다. 전시를 해도 그림을 구입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었다고,

 

서두가 길었습니다만, 이번 전시회에서 전시된 작품들은 거의가 위 협회들 즉 현대미술가협회, 모던아트협회, 창작미술가협회, 신조형파, 백양회, 아방가르드협회에 소속되어 활동했던 작가들의 작품들이 대거 전시되었다는 점입니다.

 

아마도 한국 미술 전시회에서 1세대부터 2세대에 이르기까지의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이렇게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전시는 거의 없었던 듯합니다. 그래서 이번 전시는 매우 의의가 있고, 더군다나 한국 추상미술 작가들 중 50-70년대 국전에서 수상한 이름만 들어본 작가들의 대표작들을 볼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을 선사하는 전시였습니다.

 

대표적인 작가가 김인환, 변영원, 김한(1931년 함경도 출신 반추상 화가 김한이 아님), 최상철, 한영섭, 조용익, 김종일, 최종섭, 함섭, 최창홍, 문복철 등입니다.

 

한국의 대표적 기하학적 추상미술가라고하면 대체로 몇 사람 꼽습니다. 유영국, (이규상), (김환기), 한묵, 이승조, 이태현, 하종현, 서승원, 최명영, 하동철, 윤명로, 김태호 등입니다. 한국 현대미술 전시에서 이들의 작품이 빠지는 것은 별로 없죠.


(이규상과 김환기 작가를 가로 친 이유는 이규상 작가는 작품 수가 너무도 적어서, 그리고 김환기 작가는 엄밀히 말해 순수한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그린 적이 없기 때문)

 

하지만 제가 위에서 언급한 김인환 ~ 문복철 작가 등의 작품군은 전시회에서 잘 다루지 않는 작가군이고, 전시된 작품들도 실물로 보기는 처음인 작품들입니다. 특히 변영원 화백의 입체 파적인 작품(국전에 출품한 작품)은 단연 발군이었습니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그리기 전 초기 작품이 정말 좋았습니다.

 

전시는 1관과 2관으로 나뉘어 졌는데, 1관은 시기적으로 1세대 작가들인 김환기, 유영국, 이규상의 작품을 메인으로, 하인두, 전성우, 변영원, 이상욱 등을 배치했고, 2관은 60-70년대 활동했던 2세대 작가들로 묶었습니다.

 

개인적으로 1관이 2관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1930년대 기하학적 추상이 건축 및 디자인과 연결되어 아직 정체성이 확립되기 이전의 다양한 시도가 보기 좋았고, 책 표지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1세대 추상미술가 중에서 완전한 추상을 추구한 작가는 유영국과 이규상 두 분뿐이 없습니다. 남아 있는 자료가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습니다. 이 두 분은 구상 작품을 개인전이나 단체전에 선 보인 적이 없던 작가였습니다. 반면 김환기 작가는 구상에서 추상으로 이행했고 뉴욕으로 건너가 완전히 단색화 추상화가로 굳어졌죠.

 

어쨌거나 유영국과 이규상 두 분의 초기 작품들을 볼 수 있어 정말 좋았고, 무엇보다 이규상 작가의 두 점의 실물을 영접할 수 있어 광영이었습니다.

 

1-2관을 여러번 둘러보고 느낀 건 우리나라 기하학적 추상회화를 추구한 작가들이 새삼 대단하다는 생각이었습니다. 당시도 지금도 인기가 없었던 기하추상을 지속적으로 추구했던 작가들의 작가정신에 경의를 표했다고 할까요.

 

평론가들에 의해 한국 기하학적 추상은 정체성이 없다고 박한 평가(서양의 아류밖에 안된다)를 받고 있지만, 전시를 둘러보면 당시 작가들이 한국적 정서를 기하학적 추상에 덧입히기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전시는 그 결과물을 확인하게 해 주는 자료이 보고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 전시를 계기로 추상미술이 대중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갔으면 합니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24-05-23 01: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지난 4월 초에 갔었어요. 저는 지금 떠올려보니 왠지 이성자 화가의 작품, 붉은 바탕에 색동 반원이 떠오르네요. 아마 이 전시에 작품이 출품된 유일한 여성 화가라서 그런가요,

yamoo 2024-05-23 15:06   좋아요 0 | URL
엣지나인 님 오랜만입니다!!

엣지나인 님두 갔다 오셨군요! 이성자 화백의 두 점은 타 추상미술 도록에도 잘 소개되지 않은 작품이었는데, 붉은 바탕에 흰 산맥들 위로 떠오른 작은 색동 반원 달의 형상들...아마 200호 쯤 되는 대작이었는데 저도 인상 깊게 보았습니다. 맞은 편에는 한묵 화백의 작품들이 있었죠.^^

당시 여서 화가들은 기하학적 추상회화를 잘 다루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요. 엄밀히 말하면 이성자 화백의 작품은 기하학적인긴 하지만 2백호 작품은 서정추상 쪽에 가깝습니다. 아무튼 70년대까지 한국 추상회화에서 여류화가들은 정말 손에 꼽을 정도로 드물었기에 이번 전시에서도 이성자 화백 정도만 소개된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