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ㅣ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 사피엔스는 별로 중요치 않은 동물에서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오른 호모 사피엔스, 신이 된 동물의 이야기다. 현대인은 알 수 없는 어쩌다 행한 직립보행이 가져다 준 행운은 사냥감을 찾기 쉽고 적을 피할 수 넓은 시야와 두손의 자유로움이며 불행은 허리와 목의 통증이다. 내가 아는 지인이 얼마전 허리통증을 호소했다. 이게 다 직립보행을 한 탓이구나.
먹이사슬의 정점으로 오르게 된 핵심단계의 처음은 '불을 길들인 것'이었으며 화식을 통해 짧아진 창자와 그로 인해 에너지소비를 줄임으로서 뇌의 용량이 커졌다고 추측한다. 아울러 사피엔스의 두번째 성공비결은 '언어'라고 한다.
어찌 되었던 직립보행과 불과 언어의 사용이 호모 사피엔스가 먹이사슬의 정점에 오른 근원이라고 한다.
그로인해 사피엔스는 인지혁명과 농업혁명, 산업혁명, 과학혁명을 지나고 있다.
이 중 역사상 최대의 사기인 농업혁명에 대해서 이야기해본다. 기원전 8500년의 여리고의 평범한 사람은 기원전 9500년이나 기원전 13000년의 사람에 비해 더욱 힘들게 살았다. 하지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차린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사람들은 왜 이런 치명적인 계산착오를 범했을까? 역사를 통틀어 사람들이 오류를 범하는 이유는 동일한 이유에서였다. 사람들은 자신의 결정이 가져올 결과를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내가 열심히 일을 하면 삶이 더 나아지겠지" 계획은 그랬다. 계획의 첫단계는 원활하게 진행되었고 사람들은 더욱 열심히 일했다. 하지만, 아이들의 숫자가 늘어날것을 예상하지 못했다. 아뿔사....열심히 일해서 늘어난 식량은 아이들의 몫으로 돌아가야 했다.
또한 예상치 못한 것이 있었다. 아이들에게 모유를 덜 먹이고 죽을 더 많이 먹이면 면역력이 약해져 영구 정착촌이 전염병의 온상이 되리란 사실과 단일 식량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가뭄에 더욱 취약해진다는 사실을 내다보지 못했다. 아울러 풍년에 넘쳐나는 창고는 도둑과 적을 유혹할 것이며 이를 방비하려면 성벽을 쌓고 보초를 서는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예견하지 못했다. 지난 역사를 돌이켜볼 때의 통상적인 오류를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전을 ,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아닌가?
열심히 일했지만 늘어난 직원들과 수익을 나눠야 하고 직원수가 많아지니 갈등이 생길수 밖에 없고 단일 수익모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니 시장환경에 더욱 취약해지고 증가한 시장은 경쟁자가 계속 생김으로서 유지비용이 늘어날수 밖에 없는 지금의 회사는 기원전 8500년전에 있었던 현상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공부하고 깨달아야 하는 이유를 새삼 깨닫는다.
그러면 왜 계획이 빗나갔을 때 농경을 포기하지 않았을까? 작은 변화가 축적되어 사회를 바꾸는 데는 여러 세대가 걸리고 그때쯤이면 자신들이 과거에 다른 방식으로 살았다는 것을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인류의 역사에 대한 궁금증을 한껏 자아내게 만들었고, 40년을 넘게 살면서 전혀 생각지 못했던 견지에서 인류를 바라보게 만든 저자의 놀라운 통찰력에 소름이 돋기까지 한다. 얼마나 많은 사색과 독서를 통한 연구의 결과물이라는걸 형식적으로라도 말할수 없을지경이다.
길어야 100년정도의 시간을 사는 인간인데, 사람에 따라 이렇게 사고의 스펙트럼이 다를수 있을까? 라는 존경심이 든다. 늦었지만 나도 이런 넓은 스펙트럼의 사고를 하고자 이를 악물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