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월의 마치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2월
평점 :
"가끔 내가 더 오래 살았더라면 어땠을까 생각해본다. 얼마나 많은 오렌지를 먹고, 얼마나 많은 사람을 마나고 얼마나 많은 곳에 가봤을지,나는 어린 나이에 죽어서그 모든 기회를 잃어버렸다. 흔한 일은 아니다.그렇다고 드문 일도 아니다. 어쨌거나 그런 일이 일어났다.이제 와서 그 일이 누구 책임인지 따질 필요는 없다.지금 나는 그 일을 멀리서 바라본다. 죽음이란 삼인칭이 되는 것이다. 결국 모든 인간이 삼인칭으로 산화함을 아는 것이다"/272쪽

3월에 읽어야 할 것만 같은 책을 5월이 되서야 읽었다.(인기 많은 책의 숙명인가보다 생각했다) 호기심 가는 제목이라 골랐을 뿐이다. 읽어야만 할 이유가 있었던 거다. '3월'과 '마치'는 어떤 관계일까.. 이름에서 조차 상상할 수 있는 것 너머의 것이 있어 놀랐는데,사실 내게도 생일에는 웃픈 역사가 있어서..막상 소설의 제목에 담긴 반전(?)에 놀란 내가 싱겁다고 생각했다. 놀랄일이 아닌거였다. 뭐든 알고 나면..그런것 같다. 이마치라는 여주가 알츠하이머와 마주한 이야기일거라 생각했는데, 소설은 생각보다 죽음에 대해, 아니 알츠하이머를 겪게 되는 이의 입장에서 바라보기를 권하는 느낌을 받았다. 철저하게 3인칭의 시점으로... 그러니까 내가 그 병을 겪게 되면 어떡하나..에 대한 사치스런 고민을 할 수 가 없었다.어떻게는 치료방법이 나왔으면 하는 생각은 병을 겪지 않는 이의 시선일지도 모르겠다. 치료법이란 것이..오히려 이마치를 더 고통으로 끌고가는 느낌을 받았다.
"치료가 트라우마를 유발시키느냐고 묻는다면 이마치는 물론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자신에게 유리한 기억, 좋은 기억만 남길 수 없으며 무작위로 차오르는 기억을 막을 방법도 없다(..)자신이 누군지를 잊어버린 쪽과 자신이 누군가를 아는 쪽 어느 쪽이나 지옥이라면 누구나 익숙한 지옥을 선택했다"/239쪽
그리고 자연스럽게 트라우마와 기억에 대한 이야기로 소설은 흘러간다. 그녀가 알츠하이머를 겪게 된 것이 수많은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일까.. 어느 순간 기억이란 것을 사라지게 하고 싶을 만큼... 사실 소설에서 내가 조금 불편하게 느낀 부분이었다. 트라우마가,알츠하이머로 그녀를 이끌고 갔을 지도 모른 다는 흐름. 그 부분을 떼어 놓고, 알츠하이머환자와 치료법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갔다면 하는 아쉬움은 그래서 남는다. 갑자기 3인칭 화자가 등장한 점은 그래서 또 조금 생뚱 맞은 느낌이 들었다. 결론적으로는 우리 모두 3인친으로 무언가를 바라볼 필요가 있음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지만, 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한 흐름이 조금 더 자연스러웠다면 하는 아쉬움은 남는다. 그럼에도 강조하고 싶었던 3인칭의 시점..그 마음이 앞으로 더 많이,내게 필요한 무엇이 될 거란 기분이 들었다.
"이마치는 그곳에서 스스로를 죽이고 또 죽이고 그렇게 겨우 과거를 변제받는다.기억을 되찾을 때마다 이마치는 증오를 한 겹씩 덧입는다.그것은 삶에 대한 증오다.그 누가 인생을 반복해서 복기하고 싶겠는가(...)"/2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