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만 보고,음악(?)이야기일거라 생각했다. 속단은 금물인데, 언제나 뒤늦은 후회를 한다. 마치 죽음이 가까이 오고 나서야, 지난날을 후회하게 되는 것과 같은 걸까..그렇다면, 이런 후회는 무한 반복이 될텐데,하고 생각하니 조금 쓸쓸해진다. 내 죽음이 가까이 왔을 때, 가까이에 살던 내 짝이 죽음을 맞이하게 되고 나서야 우리는 후회를 한다. 그때 좀 더 잘해 줄 걸 하고...물론 영원히 알 지 못하는 이들도 있을테지만. "평생 마르파를 가엾게 여긴 적도 아껴 준 적도 없었던 것이 떠올랐다.한 오두막에 산 지 52년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개나 고양이도 아닌데 한 번도 관심을 주거나 제대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109쪽 죽어가는 동안 오히려 행복한 미소를 보인 아내를 보면서 야코프는 자신의 지난날이 비로소 떠올랐다. 그러나 아내는 이제 없다.아내에게 모욕을 주고 안달했던 일들에 대해 후회가 밀려왔지만 이제 아내는 야코프 곁에 없다. 그리고 비로소 절규한다. 아니면 또다른 한탄일지도 모르겠다. 그는 지독한 염세주의자였으니까..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서로 못살게 굴면서 사는가? 이로 인한 손해가 얼마나 큰가 말이다. 정말 끔찍한 손해이지 않은가! 증오나 원한이 없다면 사람들은 서로에게 엄청난 이득이 될 텐데"/112쪽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사는가? 라고 질문하는 야코프의 목소리는 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를 떠올리게 했다. 언제인가 읽었지만,리뷰로 남겨 놓지 않았고, 기억은 띄엄띄엄 남아있는 톨스토이의 이야기. 야코프가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었다면 자신의 아내에게 덜 야박했을까..하는 상상이,다시 톨스토이의 소설을 읽어 보고 싶게 했다. (그래서)..톨스토이선생이 하고 싶었던 말은 무엇이었던 걸까.천사가 들려주는 이야기라는 것이 비현실적인 것 같지만... 우리 안에 없으면서도, 있는, 아니 있어야 할 그것 '사랑'에 관한 이야기였다는 걸 알았다. 소소한 에피소드까지 기억하지 못한 건,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라는 질문 자체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다. "사람으로 있을 때 제가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은 스스로 계획해서가 아니라 지나가던 사람과 그의 아내 마음에 있는 사랑 덕분이었습니다.고아들은 자신을 챙길 수 있어서가 아니라 낯선 여인의 마음에 있는 사랑으로 그들을 가엾게 여기는 사랑으로 살아남았습니다.모든 사람이 스스로 계획해서가 아니라 사람 안에 있는 사랑 때문에 살아가고 있는 것입니다"/40쪽
야코프는 아내가 죽고 나서 비로소 아내에게 친절하지 못했던 자신을 후회한다.그런데 톨스토이의 천사가 깨닫게 된 '사랑'이란 마음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모르겠다.죽는 것이 쓸쓸하고, 아끼던 바이올린을 더이상 켜지 못하게 된다는 것이, 자신과 함께 관속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 더 안타까웠던 건 아닐까..그토록 무시했던 로트실트에게 자신의 바이올린을 남겨주는 순간, 뭔가 울컥하는 아름다움 보다,자신의 바이올린이라도 지키고 싶었던 마음이 더 간절했던 건 아닐까.하는 삐딱한 마음으로 읽었다. 그래서 더 재미나게 읽혔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