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해 1918년 여름에 그는 죽음을 자주 생각했다.매스터스의 죽음은 인정하기 싫을 만큼 충격적이었다.(...)전에는 죽음을 문학적사전 또는 불완전한 육체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서서히 조용하게 마모되어 가는 과정으로 생각했다.전장에서 터져나오는 폭력이나 파열된 목에서 쏟아져나오는 피를 생각한 적은 없었다.이처럼 다른 종류의 죽음이 존재하는 까닭,그리고 그 차이가 지니는 의미가 궁금했다/6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아버지도 내 기억 속에 없어.전쟁 첫 해에 샤일로전투에서 전사하셨거든" 그가 재빨리 스토너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전쟁의 결과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네. 전쟁은 단순히 수만 명, 수십 만 명의 청년들만 죽이는 게 아냐.전쟁으로 인해 사람들 마음속에서도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뭔가가 죽어버린다네. 사람들이 전쟁을 많이 겪고 나면 남는 건 짐승 같은 성질뿐이야(...)"/54쪽










 책이 나왔을 때 부터 읽어야지..하면서 아즉까지 읽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마음이 기억 하고 있었던 것인지, '샤일로 전투' 가 언급되는 순간 다시 필립로스의 '샤일록 작전'이 생각났다. 작전을..전투로 기억하고 있었던 건지도 모르겠다. 무튼, 곧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방어가 제철 트리플 14
안윤 지음 / 자음과모음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회맛 모르는 1人인데,방어를 먹고 나서,맛있는 회가 있다는 걸 알았다. 적어도 내 입에 맞는 회가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했고, 고마웠다. 이제 겨울이 오면 방어회를 먹는다. 그냥 '먹는' 것 같지만, 겨울을 즐기는 하나의 이벤트가 되었다.


"(...) 계절이 바뀌는 시기마다 그가 연락을 해왔고 나는 응했다. 장소는 매번 정오가 정했는데(..)주로 제철 음식을 파는 식당이었다. 우리는 봄에 갖가지 봄나물과 냉이 된장국,쑥튀김,두릅을 먹었고 여름에는 삼계탕과 콩국수,평양냉면, 가을에는 삼치구이, 대하찜을 마주 앉아 먹었다.그렇게 계절을 돌아 겨울이 오면 12월 중순에는 어김없이 '창해'에서 방어회를 먹었다"/57쪽



그럼에도 선뜻 <방어기 제철>이란 소설에 눈이 가지 않았던 건,그냥저냥 한 소설일거라 지례 판단했던 탓이다.(반성한다!!) 최근 <모린>을 읽고 나서 다른 책이 궁금해 찾아보다 '방어..'를 발견하고 망설임 없이 읽게 되었는데.좋았다. 주제는 가볍다고 할 수 없겠지만, 담담하게 풀어간 방식이 좋았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바라본 표지는 한없이 슬프다,저마다의 눈물이 뚝뚝 떨어지고 있는 것 같아서.. 그러나 '제철 음식' 이란 문장과 마주하는 순간, 애도하는 마음이 저와 같아지길 바랐다. 떠나간 이를 생각하며 음식을 떠올리는 그 과정이 좋았다. 살아 있는 자와, 지금 세상에 없는 이가 함께 교감하는 순간이 되는 것 같아서, 가족과 이별하는 슬픔 말고도, 너무 큰 사건 사고로 애도하는 마음을 어떻게 품고 살아가야 하는 지 조차 혼란스러웠던 시간이 있었다.무조건 잊는 것도,마냥 부여잡고만 있는 것도 진짜 애도의 방식이라고 말할수 있을까? 잘 모르겠다.그냥 자연스럽게 내 생활 속에서 잊지 않고 제철나는 음식을 찾아 먹고 싶은 것처럼,떠나간 이가 생각 날때 음식을 차려 내고, 기억하는 것도 좋겠다 생각했다.헛헛한 마음이 들 때마다 음식으로 슬픔을 대신것도 나쁘지는 않겠다 생각했다.  그러니까, 진정한 애도란 잊지 않는 마음이겠구나,라는 결론으로 다시 돌아왔다. 다만 마음속에 혼자만 꾹꾹 담아 놓지는 말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혼한 뒤 나경은 2년이 넘도록 불면증에 시달렸다. 밤이면 맥주를 한 캔 마시고 잠자리에 모로 누워(....)" 94쪽


"나경은 매일 자신의 삶을 유리창 너머 풍경을 보듯 건너다보았다"/ 96쪽


"토요일,나경은 점심나절까지 늦잠을 잤다. 새벽에 한 번도 깨지 않고 푹 잔(...)"/96쪽




배맥주를 마시다 조금 남았을 때, 아이스오미자와 합쳤다. 색깔이 이뻐서 일단 합격.. 맛도 칵테일 마시는 맛이 나쁘지 않았다... 책방에서는 김광석의 '잊어야 한다는 마음으로'가 흘러 나오고 있었는데, 모로누워.. 에서 멈췄다. 반가워서.. 그러나 듣기 평가 실패 .가사는, '홀로 누워'..다 그런데 모로 누워..로 들린 까닭은, 막 모로 누워..를 읽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같은 느낌으로 이해되는 기분..신기했다... 그리고 다음장으로 넘어가는 타이밍에서 유리창..을 그리고..새벽과 만났다. 같은 시선을 공유할 때의 반가움..이란 바로 이런 걸까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 여행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54
자우메 카브레 지음, 권가람 옮김 / 민음사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표지가 너무 많은 말을 품고(?) 있는 것 같아 무작정 읽고 싶었던 소설이다.내게는 너무도 낯선 작가 이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사후 작품' 을 읽으면서 멋진 한 편의 단편을 읽은 줄 알았다. 그러나 표지의 느낌으로 어떤 연결고리를 찾을 수 없었다. 그저 음악에 미친 남자라서, 더 이상 음악을 하고 싶지 않은 순간이 올 수도 있는 거 아닌가 ..하고 생각했더랬다.그러다..어느 순간 소 제목 속 이야기에서 사람들의 삶이 참 '춥다'라는 생각을 했다. 저마다 자신의 삶에 찾아온 고통으로부터 허우적 거리는 사람들...살아 있음 자체가 고통인 사람들. 비로소 이 소설의 끝에 '겨울 여행' 을 넣은 이유가 어쩌면.. 하고 혼자 상상해 보는 즐거움을 누렸다. '겨울 여행'에 반전아닌 반전이 숨어 있는 줄도 모르고..^^



"카스피어의 손을 더욱 세계 잡았다. 그리고 그는 더 이상 숨을 내뱉지 않았다. 겁에 질린 카스파어는 울음을 터뜨렸다. 스승은 숨을 거두었고, 집에 혼자 남은 소년은 뭘 해야 할지 몰랐다.'/147쪽  표지에 끌려 읽게 된 탓인지..읽으면서도 내내 그림을 머릿속에 두고 있었던 모양인지, 음악에 미친 노인의 모습이 오버랩되는 기분을 경험했다. 그의 바람이 이뤄지지 않았으나, 그건 중요하지 않다는 증명. 죽은자는 아무것도 알 수 없으며, 고통은 오로지 남은 자의 몫이라는 듯 편안한 모습... 그러니 산자들이여, 죽은자를 너무 애도하지 마시게..하고 말하는 듯한 표정이라니.. 당혹스러워하는 소년과 너무 대조되는 분위기구나 싶었다. 두 번째로 그림을 떠올리게 한 부분이라면 '겨울 여행'에서 슈베르트 연가곡 소개 장면이 아닌가 싶다. "그는 인생 처음으로 미적 숭고함에 마주하여 눈물을 흘렸다.그는 감각이 예민한 편이었지만 이렇게 우는 것이 가능하리라고는 생각치 못했었다.하지만 마르게리타가 그렇게 순수하고 깨끗한 목소리로 부르는 '잘 자요'를 듣자 영혼 깊은 곳까지 울임이 전해졌다"(...)"/254쪽

각각의 단편인 줄 알았다가, 옴니버스 형식으로 이어진 글이란 느낌을 받았다. 그러니까 중간중간 살짝 뭔가 끊어지는 느낌도 들다가, 앞선 시간에 마주한 사람이 다시..나타나기도 하고..그러면서 나는 겨울여행의 낭만을 떠올린 내 모습에 웃음이 났다. 표지에 집착했던 탓이 크다. 그러나 돌아돌아 왜 단지 슈베르트 곡에서 가져온 이유가 아니어도, '겨울여행' 이란 제목이 주는 느낌이 조금은 전해진 느낌이었는데, 소설 마지막에 와서 한 번 더 정리 받을 때는 살짝 김이 빠지는 기분도 들었다. 진실은 언제나 마지막에 알게 되는 법이니까..


"그제야 그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것을 빈을 떠날 수 없다는 것을, 인생은 하나의 경로도 목적지도 아닌 여행이며 우리가 사라질 때는 그 위치가 어디든 우리는 언제나 여행의 중간지점에 있다는 것을 이해했다.(...)"/2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