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야상곡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안토니오 타부키 지음, 박상진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줄리언 반스 덕분(?)에 <페레이라가 주장하다> 를 읽었다. 물론 반스선생께서 적극 추천해서는 아니었다. 이야기가 궁금했던 반, 작가 이름이 궁금했던 거 반..그랬다. 그런데 홀딱 반했다. 한 권 읽고 호들갑인가 싶어.. <다마세누 몬테이루의 잃어버린 머리>를 읽었다. 앞서 읽은 것 보다 더 좋아서,나는 이제 진짜..안토니오 타부키의 팬이 되어야 겠다 생각했다. 해서 선집 가운데 <인도 야상곡>을 골랐는데, 앞서 읽은 두 편 보다 더 좋았다.  두서 없이 골랐는데, 고른 책마다 모두 마음에 든 것도 흔하지 않지만, 점점 더 작가가 좋아지는 경험은...정말 오랜만인 것 같아, 새삼 알라딘 신간 코너에서 계속 나를 유혹했던 '문학의 쓸모'를 챙겨 보고 싶은 마음까지 생겼다. 



타부키의 선집 <인도야상곡> 6편을 먼저 고르게 된 이유에는,인도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볼 생각을 하고 있던 터라 고르게 되었다. 어떤 연결고리가 혹 보이지는 않을까 하고..(그런데 있었다^^) 물론 타부키의 선집 전부를 읽어볼 생각이긴 하지만. 무튼 묘하게 연결고리를 만나는 지점이 있어 재미났고, 뭔가 조금은 고요하게 읽어야 할 지점들에서,재미가 느껴지다 보니, 조금은 들뜬 기분으로 읽게 되었다. 환상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아도 재미가 느껴지고, 현실적인 맥락으로 상상해도 짜릿했던.. 사라진 친구를 찾아 인도를 찾았다. 이것부터가 사실 굉장하다. 가족이 아닌 이상, 인도에서 사라진 친구를 찾기 위해 나설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해서... 그런데 어느 순간 그가 찾고 있는 것이 친구인지, 나를 찾기 위해 인도 여행을 하고 있는지 기준이 모호해진다. 나도 나를 찾을수 없는데, 내가 누굴 찾을수 있을까.그러면서 작가는 슬쩍 자신이 찾고 싶은 것 가운데 하나는 확실히(?)알려준다.문학!!


"옛날에 잃어버린 어떤 것을 움켜잡고 싶은 거겠지요. 어쨌든 그 사람은 자기 자신을 찾고 있어요.말하자면 마치 자기 자신을 찾는 것처럼 나를 찾고 있는 겁니다. 책들을 보면 그런 일은 숱하게 일어나지요.그게 문학입니다"/ 108쪽


애초에 사라진 남자는 없을지도 모른다. 모든 것이 작가의 상상에서 시작된 거란 의미다. 이런 소설을 써본다면 어떨까..하고... 놀라운 건, 작가가 만들어낸 소설을 읽는 기분도 들고, 진짜 잃어버린 친구를 찾아 인도의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는 느낌도 들었으며, 단편이 주는 매력(반전)을 슬쩍..넣어준 느낌도 받았다. 사라진 친구를 찾아다닌 것이 아니라, 사실은 내 존재를 찾아 다닌 거라고. 이런 느낌은 모두 문학이 주는 매력에 빠져 흥분한 마음으로 읽었기 때문에 보이게 된 것들인지도 모른다. 정말 고뇌에 찬 남자의 모습으로 인도를 따라 다녔다면 마음은 결코 가볍지 않았을테니까 ..그러나 지금은 그냥 그가 풀어낸 이야기의 매력에 빠져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토니오 타부키의 책 한 권을 끝내고 어느 책으로 넘어갈까 하는 순간 <인도 야상곡>이 보였다. 인도를 무대로 한 영화를 볼 계획이었기 때문에, 재미난 우연이다 싶어서...책 속에 그려진 인도와,현재의 인도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살짝 충격...그런데 그것이 '인도'일수 있겠다 생각했다. 무엇을 상상하든....


덕분에 영화 속 장면에서 <인도 야상곡>의 문장들을 함께 떠올려 볼 수 있었다. 화내지 않는 것이 뭄바이 정신이라는 말에.. '산다는 건 그냥 우연이다' 라는 말이 오버랩되었다, 나도 모르게.










살아가는 일이 그렇게 잘 풀리지 않았던 건지, 아니면 아마도 그분 스스로 원하셨던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다른 사람들 사는 꼴에 대해 너무 지나치게 알 필요는 없겠지요/63쪽

(...)빛이 꺼진 그러나 그 빛은 여전히 우리에게 도달하는 중인 별들에 대해 생각했고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이른 중성자별에 대해 그것이 방출하는 가냘픈 빛에 대해 생각했다.나는 나직하게 읊조렸다.펄서.그러자 나의 속삭임으로 다시 잠에서 깨기라도 한 것처럼 마치 내가 녹음기를 재생시키기라도 한 것처럼(...) 죽어가는 별의 질량이 태양보다 두 배 이상 커지면 그 별은 수축을 저지할 수 있는 물질 상태로는 더이상 존재하지 못해서 무한대로 수축이 진행되지 별에서 방출되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그렇게 해서 블랙홀로 변하는 거야/92~93쪽

산다는 건 그냥 우연이다/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친 믿음이 자기를 찬미한다는....' 말에, 숨이 턱 막히는 기분에 멍하니 있다가, 페소아의 시 구절이란 말에.. 구입만 해 놓고 읽지 않은 페소아의 책으로 시선이....


(...)그는 답례로 말없이 미소를 지었다. 그러고는 문을 닫기 전 이렇게 말했다.
"눈먼 과학은 불모의 땅을 일구지요.미친 믿음은 자기를 찬미하는 꿈을 먹고삽니다.새로운 신은 그저 하나의 말일 뿐입니다. 찾지도 말고 믿지도 마세요.모든 건 감춰져 있습니다"
나는 계단을 몇 개 내려서서 자갈이 깔린 오솔길을 몇 발자국 걸었다. 그때 갑자기 깨달았다. (..)그건 페소아의 시 구절들이었다(...)/64~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경험은 모호해져서 한껏 더 나은 이미지로 남게 마련이다.지나간 현실은 늘 실제로 그랬던 것보다는 나쁘지 않은 법이다.기억은 가공할 만한 위조자인 것이다.그럴 의도가 없더라도 왜곡은 거듭 일어난다/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키르케고르의 <반복>을 읽고 싶어졌다....^^











 내가 기억하는 선에서 키르케고르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언급된 영화는 '이다시'를 포함 두 편이다. 어나더그라운드..를 볼 때도 키르케고르의 책을 읽겠노라 생각했다. 그러나 감히 도전할 용기가 없어 <만화로 독파하는 죽음에 이르는 병>을 겨우 읽었던 것 같다. <반복>을 읽고 싶지만..가능할지..개정판이 나오면 읽겠노라 긴~계획을 세워 놓았다. 그사이 키르케고르 읽기를 먼저 할 수 있다면 좋겠다. 스탠리카벨..트뤼포..에 관한 책은 읽고 싶은 리스트로만 박제 될 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언젠가 조금이라도 기웃하게 되는 날이 올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