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이다. 이름은 낯설었고, 그림은 다소 거친데, 아는 이름을 주인공으로 담은 그림들이 많이 보여 휘리릭 넘겨 보다가.. 제일 먼저 놀라게 된 건,오르탕스 세잔의 초상이었다.




화가 세잔의 아내 이기도 한 오르탕스. 세잔의 그림으로만 보았던 터라, 너무 다른 느낌이라 신기했다. 감상하는 이의 마음도 그렇지만, 결국,그림을 통해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건,'느낌'인지도 모르겠다. 모델을 바라보는 이의 마음이 이렇게 다르다. 화가의 마음도 결국 투영(?)되는 건 아닐까..세잔에 대한 히스토리를 조금 알고 있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마이라 칼만의 그림 제목(?) '꼿꼿하게 버티고 있는 오르탕스 세잔'을 보면서 상상하고 싶어졌다. 세잔은 저 그림을 어떻게 해석하고 싶었을까..오르탕스 세잔의 마음도 물론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라바조는 이 그림의 하단,바닥에 흥건히 고인 성 요한의 붉은 피를 찍어 f,michel' 이란 자신의 이름을 새겨 넣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중 유일하게 이 작품에 자신의 서명을 남겼다. 이는  'Frater of Michelangelo' 의 약작로 성 요한 기사가 된 자신의 격상된 위치를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기록한 듯하다(...)"/2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흐의  그림 '그랑드자트의 다리' 다. 사실 고흐라는 이름을 말해주지 않았다면 고흐가 그린 그림이라 생각하지 못했을 것 같다. 내 눈을 사로잡은건 고흐의 색깔이 아니라..나를 응시하는 듯한 교각의 눈빛..이었다. 그림에 대한 세세한 설명이 담겨 있지 않아..고흐가 어떤 마음으로 그린 것인지 알 수 없지만..그래서 기꺼이 오독의 기쁨이 자리했다.. 그래도 고흐선생에게 물어 보고 싶다..교각의 눈빛에 대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지 벨로스라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그림인데 <고흐...>에서 전혀 결이 다른 그림(피아노 앞의 에마>을 만났다. 뭔가 남성적인 그림만 그렸을 것 같은 기분...그런데 저렇게 단아한 여인을 그렸을 줄이야.아내의 초상화라서 더 단아하게 그렸을까..생각하면 오산이다. 화가는 원래 초상화에 뛰어난 화가였단다...그 사실을 이제서야 알았다. "벨로스는 어두운색과 강한 빛을 잘 활용한 화가로 유명합니다. 이 그림에서도 그런 특징을 엿볼 수 있지요.어두운 배경과 검은 피아노 그리고 그에 대비되는 에마의 창백한 피부 그런 대비에 신선함과 생동감을 더하는 것이 겉옷과 눈동자의 푸른색입니다.자신의 존재를 분명히 드러내는 그녀의 빛깔이 남편 벨로스에게 무척이나 아름답게 다가웠던 것 같습니다"/168쪽 설명을 읽고 나서 '샤키의 사내들' 을 다시 보게 되었다. 드러난 장면 너머의 색들에 대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특별(?)해 보이지 않았으나 특별해진 이유.. 

그림 속 남자는 화가의 모습이었다.(적어도 외모가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