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갈 때 종종 들리는 서점이 있다. 그런데,3월은,방학으로 휴점한다는 사실을 몰랐다.신기한 건,뭔가 마음이 통한 것인지...책방지기님의 맛집리스트와 함께, 탄핵시국에 읽어보면 좋을(?)책을 리스트에 올려 놓은 글을 보게 되었다. 이 시국에 머리 더 아프게 만드는 책 보다..먼 과거 속 이야기를 통해 위로 받고 싶어, 애써 멀리 하고 싶은 책들이었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라며 외면 하고 싶기도 했고,저축처럼 모아 놓기만 한 <소년이 온다> 정지아님의 책은 읽다 포기 했었는데,다시 읽어 볼까 싶다. 이 미친 광란의 시기에,책으로라도 위로 받을수 있어 다행이라 생각해야 겠고, 어느 때 보다 머리를 차갑게 만들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어서... <나쁜 권력은 어떻게 무너지는가>와 <그의 운명에 대한 아주 개인적인 생각>도 읽어볼 생각이다.


그리고 제목 자체로 정신 번쩍 들게 하는 책까지 








인문서인 줄 알았는데, sf소설이라 살짝 망설여지지만..제목을 곱씹어 보는 것 만으로도 공부가 되는 기분이다... 나는 정말....추하게 늙는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눈에(?)만 보이는 거북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여지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고 딸기가 알려준다.

무늬만 딸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령작가>를 읽게 된 덕분에 <유령의 시간>을 읽었다. 물론 두 소설은 아무런 연관이 없을 수도..그런데 또 어쩌면 있을 수도 있겠다. '유령의 삶'을 살아야 하는 순간에 대한 교집합.. 그러나 똑똑한 기능 검색덕분이 아니었나 싶다. <유령작가>를 읽게 된 나에게..또 다른 '유령' 제목을 단 책이 있다고... 해서 이름도 낯선 작가의 책을 읽었다. <유령의 시간>


"창문이 열린 아파트 건물들이 정면으로 늘어서 있다. 고려호텔13층27호. 에어컨의 찬바람을 견디다 못해 긴팔 가디건을 덧입은 지형은 짐도 풀지 않은 채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7쪽 내가 기억하는  선에서 너무도 낯선 곳이 소설 배경으로 등장하는 곳은 처음이라 정신이 번쩍..들며 이 소설이 몹시 재미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그러나 내게는 딱 프롤로그까지 였다. 대한민국의 역사가 거의 담겨 있었음에도, 나는 잘 몰입되지 못했다. 뭔가 계속 뚝뚝 끊어지는 기분..시대의 역사를 온몸으로 겪어야 했던 이들의 삶을 감히 상상할 수..없지만,뭔가 다가갈 수도 없었던 참 이상한 기분..불쑥불쑥 이것이 유령의 시간일까? 라는 질문에서 더 나아가질 못했다. 유령처럼 살았던 이섭과 미자의 삶 속으로 나는 왜 들어가지 못했을까..너무 담담해서..였을까.. 










다시 로맹가리의 소설을 읽으려고 찾아 놓은 책...'경계'라는 단어가 들어와 잠깐 반가웠다. 

"이섭은 불현듯 생각했다.경계를 한다는 것은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증거였다"/92쪽


그리고 내 앞에 다시 덕수궁이 찾아왔다.


"함녕전 행각을 따라 천천히 걸었다. 고종이 죽은  침전이라는 함녕전.더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 폐망한 왕조의 적막한 궁궐 안을 걷는 기분은 공허했다.혼란한 시국의 어지러웠던 발자국이 모두 지워진 텅 빈 궁궐을 걷는 발소리가 유난히 크게 울렸다.

함녕전을 지나 중화문에 이를 때쯤 담 너머로 정오를 알리는 사이렌 소리가 들려왔다.이섭은 잠깐 멈춰 서서 맞은편의 중화전을 바라보았다.(...)"/76~77쪽


이섭처럼 유령의 시간 속에서 힘들었을 이들의 인생을 도저히 가늠할 수..가 없어 힘들었다. 글맛도 개인적으로 아쉬웠다. 그럼에도 나는 봄날 덕수궁을 찾아가..걷는 내내 '유령의 시간'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이섭을 떠올려 보게 되지 않을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름이 갖는 상징성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일일이 찾아보게 되지 않는다. <죄와벌>의 라스콜니코프'와 카라마..의 '스메댜코프' 이름의 뜻을 알고 보니..고개가 끄덕여진다.. 카라마조프..가 아닌 '이반과 스메르자코프'라는 제목으로 연극이 무대에 올려졌을 때도 처음에는 왜 카라마..가 아니였을까 생각했는데,연극 덕분에 카라마..에서 스메르..가 중요한 인물이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름의 뜻이 분명 심오할 거라 생각했는데..그 비밀(?)이 드디어 풀렸다.^^

‘라스콜니코프‘라는 이름을 보자마자 작가의 메세지를 알아챌 수 있다.‘라스콜‘은 갈등,분열 이라는 뜻이다.소설의 전개가 주인공 마음속 갈등을 다룬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27쪽

‘스메르댜코프‘라는 인물은 어릴 때 부터 동물을 죽이면서 시간을 보냈고 어른이 돼서도 반사회적인 행위를 일삼는다(..)스메르댜코프라는 성은 ‘스메르데찌‘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단어로 ‘악취를 내뿜는다‘라는 의미다/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