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평창에 갔을 때 지인에게 선물로 받은 책이다. 여백서원을 함께 가자는 약속과 함께..벌써 일 년이 지났고, 올해는 기필코 가기로 약속을 하고 나서, <꿈꾸고 사랑했네 해처럼 맑게>를 읽었다. 생각보다 잘 읽혀서 놀랐고, <파우스트>를 읽으며 느낀 감정, 문학이 곧 종교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마음과 닮은 생각을 읽을 때 특히 반가웠더랬다. 괴테라서 할 수 있는 말이였을까 싶지만... 고전문학을 읽게 되면서 나는 지인들에게 종종 마지막으로 읽게(?) 될 책은 어쩌면 성경책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파우스트>>의 캐릭터 메피스토텔레스의 설정에서 대표적으로 엿볼 수 있습니다.이 악마는 그저 악마가 아니고 참으로 매력적인 주인공 파우스트를 능가하는 매력을 가진 캐릭터입니다.얼마나 옳은 말만 골라 하는지요. 그야말로 쿨하고 시니컬한 그의 대사들은 그야말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105쪽 파우스트 보다 메피스토텔레스에 빠져 들때마다, 느꼈던 딜레마는.. 자연(?)스러웠던 거다. 악마라 생각했는데, 옳은 말만 하는... 그런데 그에게 빠져 있었던 것, 그리고 <<파우스트>>에서 들려 주고 싶었던 진짜 이야기일지도 모르는 지점과 마주하면서, 다시 읽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여백서원에 가면 알게 되겠지만, 이름의 역사(?)가 만들어진 이유도 알았다.
"여백서원, 책이 가득한데 이름은 여백이라 지었습니다. 책도 읽지만 숨 한 번 돌리며 자신을 돌아보라는 뜻을 담았는데 실은 여백餘白이 아니라 여백 如白입니다. 흰빛 같이 맑은 사람들을 위한 책의 집인것입니다"/191쪽
이번에는 솔풀판사 번역 <파우스트>를 읽어 볼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