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형의 저주 Sabrina, 2018

감독 록키 소라야

출연 루나 마야크리스천 스기오노사라 위제이얀토 등

등급 청소년관람불가

작성 : 2019.06.28.

  

감독님그런 식으로 뒤통수치는 법이 어디 있습니까!”

-즉흥 감상-

  

  영화는 멀리서 들려오는 천둥소리를 뒤로늦은 시간 집에 도착하는 남자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는 부인에게 큰일이 발생했음을 알리는군요한편서재에서 독서 중인 여인이 이야기의 바통을 받더라는 것도 잠시낯선 남자가 방문해 도움을 요청하는데요지인을 통해 소개받았다며끔찍한 흔적이 남은 사건 현장을 향해 함께 가는데…….

  

  뭔가 본 거랑 내용이 다른 것 같은데 이유가 궁금하다구요혹시 가족을 잃은 소녀가 친척 집에 살면서 사고로 죽은 엄마를 보고 싶다며 징징거리나 난리 난 이야기를 보셨을까요아니면 국내에 소개된 제목만 같은 다른 영화인 인형의 저주 The Doll, 2015’를 보신 걸까요아니면 원제목이 같은 영화 사브리나 Sabrina, 2012’를 생각하고 그러시는 걸까요아무튼두 번째와 세 번째와는 다른 작품이며첫 번째의 경우에는 같은 영화가 맞습니다구마 의식을 벌이려 방에 들어서는 순간 또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이야기의 바통을 넘기니 말이지요.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개인적으로는 애나벨 Annabelle 시리즈의 아류작인가 싶었습니다원본이 아닌 영화판의 애나벨과 친척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기괴한 느낌의 인형이 나왔기 때문인데요그런 인형이 왜 그렇게 인기가 좋다는 건지 모르겠다는 것은 잠시 옆으로 밀어두고이 작품은 지금까지 만나온 저주받은 인형의 이야기 중에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작품으로 목록에 올려둘까 합니다.

  

  영화 사탄의 인형 Child's Play 시리즈의 처키와 비교하면 어땠냐구요최근에 개봉한 2019년 판은 아직 못 봐서 모르겠지만이번 작품에서의 사브리나는 처키보다는 애나벨에 더 가까웠습니다그렇다고 지금까지 만나온 저주받은 인형과의 비교를 적어버렸다가는 스포일러가 되고 마니궁금한 분은 작품을 통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셨으면 하는군요.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이 영화의 제목과 같은 사브리나라는 인형이 영화에 등장합니다하지만 기괴한 분위기의 모습과는 달리 딱히 하는 일이 없었는데요간혹 예상치 못한 위치에서 발견되는 것 말고는 정말이지 왜 나왔는지 몰랐습니다하지만 마지막에 가서는 한 건 하긴 하는데요으흠그렇다고 그것을 적어버렸다가는 감상에 방해가 될 것 같으니직접 확인해주셨으면 할 뿐입니다개인적으로는 차라리 평범한 모습으로 나와서 이스터에그 같이 은밀하고 위대하게 활약한 다음 뒤통수를 쳤으면 했는데요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받아들이셨을지 궁금합니다.

  

  영화에 보면 소녀 반냐가 선물 받은 아이패드를 들고 영혼을 탐지하는 장면이 나오는데그게 가능하냐구요으흠정말 그것이 가능했다면애플은 또 다른 성공을 하고도 남았을 것입니다그러니 이 부분은 영화에서만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될 것 같은데요왜 말이 안 되는지는영화를 보고 한번 따라 해보시면 알게 될 겁니다크핫핫핫핫!!

  

  인도네시아 공포영화는 전부 코믹하냐구요글쎄요제가 아직 인도네시아 쪽 영화를 많이 만나본 것이 아니라 장담을 못 하겠습니다당장 확인이 되는 것으로는 영화 수사나-산 채로 묻힌 여자 Suzzanna: Buried Alive, 2018’는 조금 웃겼고, ‘악마가 오기 전에 May the Devil Take You, 2018’와 사탄의 숭배자 Pengabdi Setan, Satan's Slaves, 2017’는 제법 진지했는데요이 부분은 인도네시아산 공포영화를 많이 본 분께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문득 위에서 국내 제목만 같다고 적은 영화가 궁금해졌습니다.


TEXT No. 3192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미친가족 The Family, 2011

감독 조 할로우울프강 마이어스

출연 마크 핸슨토니 토드케인 호더마이클 베리먼 등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작성 : 2019.06.27.

  

리얼을 추구하다 리얼로 가버리는 수가 있을 것이니.”

-즉흥 감상-

  

  영화는 비록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함께 지내지만전혀 사이가 좋지 않다는 남자의 독백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 그것은 형이 아버지를 죽이면서부터였으며이후로 가족 사업을 함께 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진실 혹의 도전이라는 게임을 하던 두 여인에게 일어난 일은 잠시 옆으로 밀어두고의문의 살인사건을 추적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알리는데요그거야 어찌 되었건 가족 사업으로 영화를 찍고 있던 이들의 실체가 조금씩 밝혀지는데…….

  

  영화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전혀 감을 못 잡겠던데저는 어떻게 봤을지 궁금하다구요저 역시 1시간 반이 조금 안 되는 러닝타임 동안 아무런 생각을 할 수 없었습니다여러 인물들이 나오기는 하지만 서로 자신만의 이야기에 핏대를 세울 뿐이었고가족 사업의 실체가 밝혀지는 부분에서는 거듭되는 반전을 노린 듯했지만 결국 예상하던 결말로 흘러갔으며그래서 어쩌라는 말인가 싶은 생각만 들었는데요혹시 이 영화를 재미있게 보신 분이 있다면 어떤 점이 마음에 들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출연진을 보니 토니 토드와 마이클 베리먼이 보이는데설마 영화 캔디맨 Candyman 시리즈과 공포의 휴가길 The Hills Have Eyes 시리즈의 두 연기자 맞냐구요맞습니다하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주연으로 표시되어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로 하는 일이 없었는데요평소에는 살짝만 나와도 작품의 분위기를 휘어잡았는데이번 영화에서는 그렇지 못했다는 점에서 안타까웠습니다.

  

  ‘미친가족을 영어로 고치면 ‘The Family’가 되는 거냐구요~ ‘미친을 영어로 고치면 ‘crazy, mad, insane’이 되니 이 세 단어 다음에 ‘Family’를 붙이면 되겠습니다하지만 원제목은 가족을 의미하는 ‘Family’만 있었는데요. ‘이런 가족도 있다’ 또는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말하고 싶었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생각했습니다하지만 제목이 한글화되면서 미친의 의미로서만 작품을 바라보게 된 것이 아닐까 하는데요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받아들이셨을지 궁금해지는군요.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이 작품에 나오는 가족은 명작을 만들겠다며 출연자들을 대상으로 케첩파티를 엽니다그리고 스너프 필름에 가까운 영상을 카메라에 담아내기 바빴는데요처음에는 그 모든 것이 짜여진 각본대로 흘러가는 줄로만 알았습니다하지만 상황은 다른 진실을 알려주기 시작했는데요이 부분을 적어버렸다가는 감상에 방해가 되고 마니궁금한 분은 작품을 통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하지만 호기심에서 만나보려는 분들은 몰라도개인적으로는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공포영화라고 해도 ‘15세 이상 관람가가 많던데이번 작품이 청소년 관람불가판정을 받은 이유가 궁금하다구요글쎄요헐벗은 여인들이 나와서아니면 스너프 필름을 방불케 해서그것도 아니라면 그들의 이유 없는 폭력을 청소년들이 따라 할 것 같아서모르겠습니다제가 생각하기에는 끼워 팔기 식으로 들어온 작품에 대해 관심을 끌고자 청소년 관람불가라고 딱지를 붙인 게 아닐까 하는데요혹시 다른 의견 있는 분은 손들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영화에서의 미친가족이 저의 현실에 존재하지 않았으면 합니다언제 불법 캐스팅되어 지옥 여행을 떠날지 모르니 말이지요크핫핫핫핫!!


TEXT No. 3191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데자뷰
고경민 감독, 이천희 외 출연 / 알스컴퍼니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데자뷰 DEJA VU, 2018

감독 고경민

출연 이천희남규리이규한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19.06.26.

  

와서 보라여기에 기가 막힌 영화가 있다.”

-즉흥 감상-

  

  영화는 약혼자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던 중에 무엇인가를 차로 치는 악몽에서 깨어나는 여인으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는 그것이 사람인 것 같다는 죄책감에 경찰서를 찾아가는데요사람을 묻었다고 생각한 위치에는 고라니의 사체만이 나왔을 뿐입니다한편 여인이 일하던 회사의 이사가 그녀에게 보이는 집착이 점점 심해져 가던 어느 날교통사고의 진실이 밝혀지는데…….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부분적으로만 보면 괜찮았습니다화면도 제법 깨끗했고출연진들 또한 자신이 맡은 캐릭터를 잘 표현하고 있었는데요재미는 없었습니다마치 뭐랄까요술자리에서 친구들과 한잔하면서 즉석에서 만들 때는 너무나도 멋졌던 이야기가술이 깨고 다시 살펴보니 그게 무슨 소린지 감을 잡을 수 없었던 때의 기분을 오랜만에 느껴볼 수 있었는데요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받아들이셨을지 궁금합니다.

  

  즉흥 감상은 멋진 작품이라고 쓴 것 같은데평가가 조금 다르게 읽힌다구요개인적으로는 이 작품이 옴니버스로 만들어졌다면 그래도 괜찮지 않았을까 싶었습니다환각을 경험하며 죄책감에 시달리는 여인그런 약혼녀를 보며 걱정하는 듯했지만 어두운 비밀을 품고 있는 남자그리고 그 둘 모두의 사연을 알고 있는 또 다른 남자마지막으로 이 셋을 주도면밀하게 관찰하고 있던 경찰로 각각의 이야기를 진행했으면 했는데요그들이 가진 사연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느껴진 건 저뿐일까 싶습니다.

  

  제목은 어떤 의미냐구요~ ‘데자뷰란 지금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을 전에도 경험한 적이 있는 것 같이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하지만 제목을 그렇게 하면서도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교통사고의 당시를 플래시백하는 여인이 아닌 것처럼 보였는데요잘 만들어진 가스라이팅’ 물을 먼저 만나서인지이번 작품은 그렇게 만들려다가 산으로 간 배가 되어버린 기분이었습니다.

  

  이 작품은 피해자로 보이는 여인은 사실 맥거핀으로진정한 피해자는 따로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구요그런 것보다 인간은 결국 나름의 악마를 마음에 품고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 거라구요어떻게 살아가든 우리는 결국 피해자일 뿐이라는 것을 속삭이고 있었다구요으흠다양한 의견 감사합니다아무래도 첫 번째 분은 이야기의 주도권이 갑자기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는 것을 보고 그렇게 생각한 것이 아닐까 합니다다음 분은 사건의 진실이 드러나는 부분을 통해 그렇게 받아들이신 것 같군요그리고 마지막 분은 이중반전이라 생각하는 액자 속의 사진을 통해 느낀 것을 말하신 것 같은데요개인적으로는 그래서 남은 이들로 하여금 두 번째 이야기가 준비되는 것은 아닐까 싶었습니다하지만 감상문을 쓰고 있는 지금까지도 후속편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지는 않는군요.

  

  그래서 진정한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려달라구요그런 게 있었나 싶습니다제목을 데자뷰로 했다면환각과 플래시백을 경험하는 이가 시작과 끝을 장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이야기는 그렇게 흘러가고 있지 않았는데요그렇다고 각각의 캐릭터가 기진 사연을 다 적어버렸다가는 감상에 방해가 되고 마니궁금한 분은 작품을 통해 감상과 생각의 시간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혹시 영화를 재미있게 보신 분이 있다면어떤 점에서 마음에 들었는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덤참고로 이 작품에는 유령이 나오지 않습니다.


TEXT No. 3190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목 귀담백경 KIDAN PIECE OF DARKNESS, 鬼談百景, 2015

원작 오노 후유미-소설 귀담백경 鬼談百景, 2012’

감독 나카무라 요시히로 등

출연 다케우치 유코오카야마 아마네후지모토 이즈미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19.06.25.

  

그래서 남은 90개의 이야기는 언제 나오나요?”

-즉흥 감상-

  

  영화는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 친구들과 함께 공포체험 여행을 즐기던 이들이 마주한 진짜 공포 [추월]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는 예로부터 하룻밤 동안 백 가지 괴담을 이야기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것과 계속해서 하게 될 이야기는 사실 독자로부터의 편지를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알리는데요그렇게 손주들과 함께 한 어떤 날의 수상한 방문자 [그림자 남자], 목매달고 죽은 남자의 시체를 목격하는 바람에 평생 시달리고 있다는 여인 [따라 온다], 짧은 사랑을 나눴던 여인이 자살하자 죽은 이의 손길을 느끼는 남자 [함께 보고 있었다], 이야기를 전해 듣는 이에게 항상 찾아온다는 [빨간 여자], 고등학생 때의 일로 라디오 교육방송을 듣던 친구에게 생긴 일 [빈 채널], 야근 중이던 교사 두 명에게 발생한 일 [어느 집 아이], 초등학생 때의 일로다쳐야만 끝났던 추억의 기묘한 게임 [계속하자], 이웃집 여인을 둘러싼 으스스한 소문 [도둑], 전 남자친구의 짐을 둘러싼 의문의 사건 [밀폐]와 같은 이야기들이 펼쳐지고 있었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즉흥 감상의 의미가 궁금하다구요이번 작품은 원작 소설에 담겨 있는 99개의 이야기 중 10개만 영상화되었습니다그렇다보니 매년 10개의 이야기를 묶어 영화를 한편씩 만드는 것은 아닐까 기대를 했었는데요제가 놓친 정보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면작품이 나온 지 4년이 지나는 동안 더 이상 시리즈로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하지만 제가 놓친 정보가 있을지도 모르니이 부분에 대해 알고 계시는 분에게 도움의 손길을 받아보고 싶어지는군요.

  

  영화는 재미있었냐구요사람마다 다르지만개인적으로는 나름 괜찮았습니다책에 담겨 있는 짧은 이야기가 영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보는 것도 재미있었지만너무 유치하지도 그렇다고 너무 진지하게 만들지도 않았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는데요다른 분들은 또 어떻게 받아들이셨을지 궁금해집니다.

  

  가장 마음에 든 이야기를 하나 알려달라구요저는 다 마음에 들었습니다위에서도 적었듯문장이 영상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즐겼기 때문인데요감독님영화 잔예-살아서는 안되는 방 残穢 (ざんえんではいけない部屋, The Inerasable, 2015’은 일단 그렇다 치더라도다른 이야기도 영상으로 만들어주시면 안 될까요?

  

  이 작품과 영화 잔예는 또 무슨 관계나구요역시나 같은 원작자의 다른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감독은 물론 출연진까지 일부 겹치는 다른 조각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3년 전에 만난 작품이다 보니 기억이 불명확한데이번 작품에서 목소리만 나왔던 작가가 잔예에서는 모습을 보인 거로 기억하는데요혹시 최근에 이 두 작품을 만난 분이 있다면막연한 기억에 보충을 부탁드려봅니다.

  

  이 작품에 대해 검색을 해보니 日 공포물 '귀담백경시사 도중 여성 관객 실신이라는 제목이 보이던데이런 일이 정말 있었냐구요일본에서 있었던 일이라고는 하는데그분한테는 특정 이야기가 남다르게 와 닿았던 것 같습니다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별다른 오싹함이나 불쾌감이 없었는데요오늘 밤 끌어안고 잘 걸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혹시 이 작품에 대해 다름 숨겨진 이야기를 알고 있는 분이 있다면살짝 손들어주시기 바랍니다제 기록을 읽어주시는 분 뒤에 서 있는 당신 말구요크핫핫핫핫!!


TEXT No. 3189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 더 보이 Brightburn, 2019

감독 데이비드 야로베스키

출연 잭슨 A.엘리자베스 뱅크스데이비드 덴맨 등

등급 : 15세 관람가

작성 : 2019.06.24.

  

이유 있는 악당의 사연을 보고 싶었습니다.”

-즉흥 감상-

  

  영화는 뜨거운 밤을 보내려던 젊은 부부를 방해하는 정체불명의 충격파로 시작의 문을 엽니다그리고는 아기의 성장 과정을 담은 비디오는 살짝소년이 된 아이의 일상을 보여주는데요. 12살 생일을 기점으로 어떤 이상한 일이 벌어집니다헛간에서 간헐적으로 붉은 빛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과 함께소년의 행동도 폭력적으로 변해 가는데…….

  

  다른 건 일단 그렇다 치고 이 작품은 크라임 신디케이트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고 하던데 정말이냐구요그게 뭔가 싶어 확인해보니그렇군요덕분에 좋은 걸 알게 되었습니다아무튼, ‘크라임 신디케이트를 처음 알게 되었다보니 원작 여부를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본편이 끝나고 이어지는 추가 영상을 통해 저스티스 리그의 흑화 버전이 충분히 만들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요정확한 건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답을 만나볼까 합니다.

  

  3부작으로 계획되었다는 소문이 들리던데 정말이냐구요그렇지 않아도 지인분도 어디선가 그런 이야기를 들었다고는 하는데출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그래서 탐색을 해보니 동명의 다른 영화인 더 보이 The Boy, 2015’에 대해서만 3부작에 대한 이야기가 보였는데요아무래도 살인마를 다룬다는 공통의 키워드와 제목으로 인해 발생한 해프닝이 아닐까 합니다참고로 이번 작품의 원제목은 브라이트번 Brightburn’입니다.

  

  제목의 의미가 궁금하다구요사전에서 ‘Brightburn’을 찾아봤지만 다른 의미가 보이지 않습니다사실 동네 이름일 경우 지역의 역사를 모르면 의미파악이 잘 안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단어를 분리해서 보면 ‘bright’는 밝게밝은선명한투명한, ‘burn’은 타다화상연소하다소비하다굽다라고 풀이가 됩니다그렇다는 건단어는 그렇게 조합하는 게 아니라구요으흠그렇다면 제가 찾지 못하고 있는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 분은 살짝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러고 보니 본편이 끝나고 나오는 음모론자의 얼굴이 익숙한데설마 욘두아니냐구요으흠. ‘욘두는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Guardians of the Galaxy 시리즈에서의 이름이구요본명은 마이클 루커입니다이번 작품에서는 ‘The Big T’라는 이름으로 나왔다고 하는데요영화로만 봤을 때는 명패든 뭐든 별다른 표시를 발견하지 못했지만각인된 연기자인 만큼 그 음모론자가 욘두라고 확신합니다크핫핫핫핫!!

  

  즉흥 감상은 어떤 의미냐구요처음 예고편이 공개되었을 때만 해도 슈퍼맨과 같은 능력을 가진하지만 흑화된 아이의 이야기를 다룰 것이라기에 기대감을 품었습니다하지만이번 작품에서의 주인공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실패했다고 생각하는데요이제는 살짝 진부할 수도 있을 설정인정신적 스트레스가 폭발하는 작품의 대명사인 소설 캐리 Carrie, 1974’처럼 만들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합니다.

  

  영화 엔딩곡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데제목을 알려달라구요빌리 아일리시의 음악 ‘bad guy, 2019’라고 하는데요음악만 따로 들어도 영화와 분위기가 머릿속으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와우!

  

  그럼또 어떤 작품의 감상문으로 이어볼지 고민의 시간을 가져보겠다는 것으로이번 기록은 여기서 마칠까 하는데요그래서 감독님, ‘반인반어와 사람들 목을 조르는 마녀도 영화로 만드실 건가요?


TEXT No. 3188

[팬카페][트위터][페이스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