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김장훈의 노래 중 난 남자다를 제일 좋아한다. 그 가사의 앞부분만 옮겨본다.

 

 

넌 모르겠지만 사랑했다

비정한 척했던 것 사과한다

남자란 이유로 널 떠나보내며

행복해지기를

바보처럼 기도했었다

흔들리는 날 잡던 두 손 이젠

독한 소주잔만이 날 위로해

두 눈 꼭 감고

입 맞추던 내 입술엔

해로운 담배 한 개피로

널 추억해 본다(후략)

 

 

만일 가사만 본다면 어떤 남자의 실연을 다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수 김장훈이 경쾌한 리듬에 맞춰 노래 부르는 순간, 그 실연이 흥겹게 구현되는 이상한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작은 거인’‘찬란한 슬픔’‘소리 없는 아우성같은 모순형용의 맛이나 다름없다.

 

 

남녀 간의 사랑에서 그 사랑을 잃었다면 세상에 그 슬픔만 한 것이 어디 또 있을까. 문제는 사내대장부인 남자의 처지다. 남존여비 의식이 빛바랜 채로 아직도 남아 있는 이 땅에서 남자가 그깟 실연의 아픔따위에 눈물 흘리거나 울 수 없는 일. 결국 속으로는 울지만 겉으로는 애써 담담한 모습을 가장할 수밖에. 그런 상황이 아주 잘 나타난 김장훈의 노래난 남자다.’

애써 담담하다 못해 유쾌한 리듬을 타기까지 하니, 사실 포복절도할 노릇이다.

 

 

김장훈의 난 남자다를 이따금 TV나 유튜브 동영상으로 보다가 이번 55일 가평에서, 실제 공연으로 보았다. 공연 첫 노래로 그 경쾌한 슬픔을 김장훈이 노래 부르자 객석은 이내 뜨겁게 달구어졌다. 어린이날이므로 어린이에 한해 입장료를 1000원 받은, 역시 유쾌한 가수 김장훈.

 

 

 

대한민국 1호 음악도시, 가평 뮤직빌리지에서 아내와 함께 본 김장훈 콘서트

며느리가 잊지 않고 표를 마련해줘 두 시간 동안 유쾌하게 보냈다. 슬픔은 자리 잡을 새가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벽 풍경이 아니다.

춘심산촌에서 바라본, 바깥세상의 저녁 풍경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 화백을 처음 만난 건 지난가을 어느 날 밤이다. 8호 광장에서 만났다. 얼굴을 잘 모르므로 우리는 휴대폰으로 서로 통화하면서 만난 것이다. 이랬다.

서 화백. 내가 지금 8호 광장에 왔는데어디 있어요?”

선생님. 지금 서 계신 데가 무슨 건물 앞입니까?”

예전에 프랑스제과인가 하는 빵집이 있던 건물 같은데.”

가만 있자. 선생님. 거기서 건너편을 똑바로 보면 무슨 건물이 보입니까?”

예전에 강원은행 지점 건물 같은데 지금은 무슨 신협건물이 됐던가?”

   

 

그 날 밤의 어둑한 8호 광장은 서 화백과 나 사이의 오랜 인연이 확인되는 장면을 상징화한 것 같다. 자동차 전조등들 불빛만 해도 눈부신 광장인데 이상하게 어둑하게 느껴지던 것은 ‘30여 년 긴 세월 동안 소식이 두절된 모습이 아닐까 싶다.

 

30여 년 전 서 화백과 나는 春川高에서 사제지간이었다. 서 현종 학생이 내게 국어수업을 받았다. 그 날 밤 8호 광장에서 우리가 만나게 된 것은 그런 인연의 확인이었다.

그 두어 달 후 나는 두 번째 작품집 ‘K의 고개를 내면서 서 화백의 그림들을 삽화로 쓰는 기쁨을 맛봤다.

 

서 현종 화백.

그가 여는 이번 개인전에 나는 가 볼 것이다. 30여 년 인연이 계속되고 있다 

https://blog.naver.com/zigum02/221521599888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찔레꽃 2019-04-29 16: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름다운 인연입니다. 부럽습니다. ^ ^

무심이병욱 2019-04-29 22:32   좋아요 1 | URL
제자 서 현종 화백은 30여 년 전 ‘국어를 아주 재미나게 잘 가르치던 선생님‘으로서 저를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더라고요. 정작 저 자신은 그리 열심히 가르치지 못한 것으로 기억하는데 말입니다. 뒤늦게 ‘아! 나도 한 때는 열정이 있는 국어교사였나 보다‘하는 자긍심을 갖기도 했지요. ^^^
 

 

그는 흉측한 얼굴생김이라 그런지 영화마다 항상 안 좋은 역을 맡았다. 그의 이름은 엘리 월러치.

하지만 엘리 윌러치라는 이름을 기억해내는 대중들이 왠지 많지 않을 것 같다. 차라리 그가 출연했던 영화 중석양의 무법자(원제: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속 이름으로 얘기하는 게 나을 것 같다.

The Ugly‘투코

그의 열연에 박수를 아끼지 않는다.

 

투코에 찬사를 아끼지 않는 것은, 며칠 전 춘천교육문화관에서유령작가라는 영화를 본 때문이다. 주인공(이완 맥그리거)이 바닷가에서 살인사건의 단서를 잡는 장면에 투코가 잠깐 등장한 것이다. 처음에 나는 그가 투코임을 몰랐다. 워낙 잠깐인 조연인데다가 많이 늙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히 어디선가 본 얼굴이라는 생각에 영화가 끝난 뒤 인터넷으로유령작가등장배우들을 검색하여 바로 그가 투코임을 확인한 것이다.

바닷가 누추한 오두막집에서 추하게 늙은 모습으로 등장하는 투코.

그 모습에 나는 감명 받았다.

철저하게추하게 늙은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얼마나 늙었는지 그는 굳이 노인 분장을 할 필요가 없어 보였다. 한 배우가 굳이 노인 분장을 안 하더라도 될 만큼 실제로 늙었다면 사실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일까!

 

하지만 투코 그는 조금도 위축됨이 없이, 추레한 노인 역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투코 그는 명 배우였다. 그는 이미 5년 전에 세상을 떴다고 한다. 인터넷으로 알게 된 사실이다.

하긴석양의 무법자에 등장한 세 명의 총잡이 중 리반 클리프도 이미 20년 전에 세상을 떴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만 혼자 살아남은 것이다.

 

석양의 무법자영화로 세계적인 배우로 거듭난 클린트 이스트우드. 사실 그가 그런 영광을 안게 된 것은 나쁜 놈의 리반 클리프와 흉측한 놈의 투코가 열연해준 덕이 아닐까?

투코. 허구이긴 하지만 세상의 흉측한 놈 상()을 우뚝 세운 그의 명 연기를 다시 한 번 그리며 삶의 덧없음을 슬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퍼스트 리폼드를 보았다. 영화가 시작되고 얼마 안 돼 관람을 포기하고 그냥 나가 버리는 관객들이 있었다. 하긴 영화 시작되기 전부터 관객 수가 채 10명이 안 돼 그리 놀라지는 않았다.

()배우 에단 호크가 등장한 영화치고는 관객이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영화였다. 특히 내가 주목한 것은 주인공 툴러 목사(에단 호크 분)가 막힌 변기를 뚫고자 뚫어 뻥을 사용하는 장면이었다. 성직자도 사실은 일반인과 하나도 다를 바 없다는 암시이자 상징이 아닐까? 하긴 성직자 자신이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는 인식이 있을 때 일반인의 고통이 체감되고 절대자의 말씀이 여실해질 것 같다.

 

영화의 결말이 충격적이었다. 갑자기 필름이 끊긴 듯 화면 처리가 돼, 나는 영사기가 고장 났구나!’ 생각했다. 내 어릴 적에 모든 시설이 미비한 시절에는 그런 경우가 있었지만 요즈음처럼 기술 문명이 발달한 시대에 그런 일이 일어나니 다소 황당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그 직후에, 출연 배우들과 제작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정상적으로 화면에 뜨는 걸 보면서 영화감독의 놀라운 엔딩 처리라는 것을 깨달았다.

 

 

귀가하면서 놀라운 그 엔딩 처리를 곰곰이 생각해 봤다. 답이 나왔다. 일종의 여운을 주는 결말이었다. 주인공 목사가 사람들이 많이 모인 행사장에서 자폭(自爆)하는 대 참사를 준비하다가, 배부른 임신부를 목격한 순간 극적으로 포기하면서 그녀와의 사랑 장면으로 선회하는데 세상의 그 누가 그런 장면의 뒷얘기를 보여줄 수 있을까? 천생 영사기가 고장 난 듯 마무리 지을 수밖에 없었다.

퍼스트 리폼드

내게 깊은 감명을 준 명화였다. 영화관에서 상영된 지 이제 며칠 안 된다.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기대하는 건 아직은 무리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