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이토록 작은 존재들을 위하여
사샤 세이건 지음, 홍한별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주 독실한 무신론자다...... 이것은 새로운 종류의 종교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축제 없는 삶은 여인숙 없는 기나긴 길과 같다.

- 데모크리토스


사샤 세이건. 칼 세이건과 앤 드리앤의 딸이다. 극문학劇文學을 전공하고 글을 쓴다. 이 책은 그의 에세이 모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위의 '들어가는 말'에 나오는 인용문이 책의 내용을 잘 요약해 주고 있다. 저자는, 과학--이성--을 통해 바라보는 우주, 지구, 그리고 우리의 삶이 얼마나 놀라운지, 그리고 이러한 삶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 종교적 의식ritual이 있어야 함에 대해 여러 주제--태어남, 봄, 매일의 의식, 성년, 여름, 결혼, 섹스, 가을, 죽음 등--을 논의하며 생각을 나누고 있다. 그의 종교에 대한 생각은 종교학자인 카렌 암스트롱의 의견과 일맥상통하는데, 종교의 기능은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의식'에 있으며, 우리는 '무엇이 됐든' 종교적 의식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불가지론자-무신론자조차도 그렇다.


이 책이 "부모님 앤 드루얀과 칼 세이건에게 바치는 찬사이자 러브레터"라고 그는 마지막 '감사의 글'에서 밝히고 있는데, 매우 합당하다. 읽으며, 세이건과 드리앤이 어떤 부모였는지, 그 가정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책날개에 저자가 "인버스미디어그룹이 뽑은 '2020년대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50인'으로 선정"됐다고 나오는데, 공감할 만하다. 옆에 이런 친구가 있다면 매우 기쁠 것 같다. 


평에서 별을 하나 뺀 것은, 책에 나오는 사례들이 너무 미국적이기 때문이다. 본인의 삶에서 찾은 사례를 인용하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하겠지만... 매우 개인적인 평이다.


다음은 책의 몇 구절이다.

  "마루하[사샤의 유모]는 죽으면 천국에 가고 천국에는 하느님이 있고 천사들이 하프를 연주한대. 그런데 엄마 아빠는 죽음이 영원히 꿈꾸지 않고 자는 것과 비슷하다고 했잖아. 누구 말이 맞아?"

  부모님은 입을 맞춘 듯이 바로 한목소리로 대답했다. "그건 아무도 몰라!"

  그냥 그렇게 말하기만 한 것이 아니다. 마치 그게 정말 좋은 일이라는 듯이 활짝 웃으며 열띤 목소리로 즐겁게 말했다.

  이 대화가 나에게는 정말 큰 깨달음을 주었다. 죽음이라는 미스터리에 대해 더 잘 알게 되지는 않았지만 삶의 본질을 엿보는 창을 얻은 것 같았다. 모르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다. 불확실성은 실제로 존재한다. 얼버무리거나 덮어버릴 필요가 없다. 최대한 많이 알려고 애쓰는 도중이라도 불확실성이 있음을 얼마든지 받아들일 수 있다. (96~97 페이지)

  아버지는 1996년에 돌아가셨다. 아버지는 휴대전화를 쓴 적이 없다. 이메일 주소도 없었다. 가끔 아버지한테 스마트폰을 보여주는 상상을 한다. 이 작은 직사각형 기계 안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스물 몇 권, 셰익스피어 전집, 세계지도가 통째로 들어갈 수 있다고 말하는 장면을 상상한다. 이걸로 듣고 싶은 노래 전부 들을 수 있고 읽고 싶은 책 전부 읽을 수 있다고. 이 기계가 날씨도 알려주고, 뉴스 속보도 알려주고, 알바니아어나 우르두어로 대화할 수 있게 해준다고. 몇 번 두들기기만 하면 세계 곳곳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듣거나 휴가 사진을 구경할 수도 있다고. 아버지는 틀림없이 좋아하셨을 것이다. (107 페이지)

  "사실 우리도 시간여행을 하는 거야." 아빠는 말하곤 했다. "일 초씩 미래로!" (154 페이지)


세이건 부부가 함께 쓴 글의 인용도 있다.

책이란 얼마나 놀라운 물건인가. 나무로 만든 납작하고 잘 휘어지는 물건인데 그 안에 검은색 선이 꼬물꼬물 우스운 모양으로 찍혀 있다. 그런데 그 물건을 한번 들여다보면 어느새 다른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가게 된다. 그 사람은 수천 년 전에 죽은 사람일 수도 있다. 저자가 수천 년의 세월을 넘어 조용하면서도 또렷한 목소리로 당신의 머릿속에서 말을 건다. 글은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명일 것이다. 서로를 모르는 사람들, 멀리 떨어진 시대에 사는 사람들을 하나로 이어준다. 책은 시간의 굴레를 벗어난다. 책은 인간이 마법을 부릴 수 있다는 증거다. (156 페이지)


이렇게 칼 세이건을 추모한다. 나만의 방식으로...


---

[*] 34 페이지, "지구가 생겨난 지는 4억 5천만 년 이상 되었다."의 구절에서 "4억 5천만 년"은 45억 년의 오역으로 보인다. 32 페이지, 빅뱅이 일어난 시기 "13억 8천만 년 전"도 오역이다. 138억 년 전이 맞다. billion은 10억임을 착각한 모양.

[**] "For Small Creatures Such as We"의 원 제목을 "우리, 이토록 작은 존재들을 위하여"로 매우 잘 번역했다. 책 표지도 너무 예쁘다. 원서 표지보다 훨씬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셰인Shane> 영화를 어제 케이블 TV에서 봤다. 우연히 채널을 돌렸는데 막 시작하고 있었다. 이런, 만사 제쳐놓고 보기 시작했다. 두 번의 긴 광고 시간을 잘 넘기고 셰인이 떠나는 마지막 장면까지 집중해서 봤다. 내가 초등학생일 때 아마 처음 봤던 것 같고, 그 감동을 다시 느끼고 싶어 10년 쯤 전 마트에서 VCD를 샀었다. 그리고는 내 인생에서 3번째 본다.



수십 년 전 처음 보았던 영화의 여운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것은, 돌아오라는 외침 속에서 아쉽게 떠나는 그 뒷모습 때문이리라. 3번째 보니 이전에는 잘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예전에는 아마 아들 조이의 시각에서 봤던 것 같은데, 이제는 정착자들의 대표인 스타렛이나 새 인생을 살아보려고 했던 셰인, 그리고 스타렛의 아내인 마리안의 심정을 헤아리며 보게 된다.


그리고 악당의 대표인 라이커 일당이 왜 그렇게 정착자들을 괴롭혔는지도 조금 이해하게 됐다. 여러 명의 눈을 통해 상황을 바라볼 수 있고, 특히 서부영화에서는 잘 나오지 않는 아이가 극중 중요한 역할을 해서 더욱 명작의 반열에 들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영화에 대해 인터넷에서 이런 저런 글을 찾아 읽었는데, 영화는 1953년 작이고, 셰인 역의 앨런 래드가 1964년에 50세로 세상을 떠난 것을 알게 됐다. 앨런 래드는 꽤 불행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세파에 찌든 가난한 알콜 중독자였던 그의 모친은, 아들에게 돈을 받아 독약을 사서 그의 차 뒷좌석에서 그 독약을 마셨다고 한다. 그 모습을 본 아들의 충격이 이루 말할 수 없었으리라... 밑바닥 출신의 앨런 래드가 냉정하지만 뭔가 우수한 찬 모습이었던 것은 이런 가정적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이 내가 세상에 태어나기 전의 일이다. 지금 그 사람들은 모두 없고, 나는 그들의 살아있을 때의 모습을 보며 생각한다. “사랑은 가고 옛날은 남는 것”이란 시구가 왜 떠오르는지...


영화 <로건>(2017년 작)에서는 <셰인>이 중요한 모티브로 반복해서 나온다. 직접 관련은 없지만 왠지 <인터스텔라>(2014년 작)도 떠오른다. 사라짐, 퇴락이 중요한 모티브이기 때문이리라. 뭔가를 이루고 떠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아도 좋다. 열심히 즐겁게 살다가, 왔던 길 그냥 다시 가는 것이다. 셰인처럼, 그저 그 뒷모습이 아쉬움을 남길 수 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국의 과학 주간지 <New Scientist> 2021년 1월 2일 호가 어제 도착했다(위의 사진[1])! 보통은 바다 건너 오는데 3~4주 정도 걸렸는데, 팬데믹의 와중에 거의 6개월 걸려 도착했다. 어디에 있다 왔는지 모르겠지만, 별로 상하지도 않은 몸으로 찾아와줘서 반가웠다. 팬데믹의 한 단면을 기억하는 차원에서 글을 쓴다.


2021년도 이제 거의 절반이 지난 지금, 6개월 전의 소식을 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를 준다. 이제 백신을 맞기 시작해가던 당시, 팬데믹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권두언("The leader")에서 볼 수 있다. 신문, 또는 주간지란 그 당시의 상황을 보여주는 일종의 타임캡슐 같다.


"우주의 현 상태The State of the Universe"란 기사가 표지에 나와 있는데, 우주에 대해 우리가 알고, 또는 아직 모르고 있는 것들을 정리해 주고 있다. 우주의 나이, 우주의 크기, 우주의 팽창 속도, 우주의 질량, 우주의 모양, 다중 우주, 우주의 종말에 대한 내용이 섹션으로 나뉘어 실려 있다. New Scientist 필진의 하나인 스튜어트 클라크Stuart Clark가 썼다. 


우리가 우주에 대해 예전에는 상상도 못할 것들을 알고 있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음을 기사는 지적한다. 많이 알려진 암흑 물질, 암흑 에너지의 문제 뿐만 아니라, 우주가 현재 얼마나 빨리 팽창하는지에 대해서도 완벽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측정한 값에 따르면 팽창속도(허블상수)는 75 km/s/Mpc[2]이지만, 플랑크 위성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주론의 표준모형으로 계산하면 68 km/s/Mpc이 나온다. 약 10%의 오차인데, 어떤 천문학자는 이것 때문에 잠이 안 온다고 한다.^^; 아직 우리가 우주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음을 얘기해 주는 대목이다.


스튜어트 클라크는 우주에 대해 여러 글을 쓰는 작가이다. 소설도 썼고, 대중과학서도 썼다. 찾아보고 알게 됐는데, 다음의 소설책이 번역되어 있다.
















<The Sky's Dark Labyrinth>는 3부작이라는데, 2, 3권은 번역이 안 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과학서적도 있다.
















---

[1] 알라딘은 더 이상 <New Scientist>를 다루지 않는 모양이다. 검색해도 위의 상품이 나오지 않는다.

[2] pc는 파섹을 줄여쓴 말이다. 1 pc은 지구의 공전이 1"의 시차각(parallax angle)을 만드는 거리로 정의된다. 1"는 1도의 1/3600이다. 1 파섹은 3.26 광년이고 약 30조 km 정도 된다.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항성으로 알려진 알파 센타우리가 1.3 pc 떨어져 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1-06-19 16:4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평소 외국 과학책 소개 많이 해주셔서, 해외 사시는 줄 짐작했는데요, 우리나라에 사시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원서 많이 읽는 분들이 당연히 많을 거란 생각은 좀 못했건거 같습니다. ^^

blueyonder 2021-06-19 16:51   좋아요 3 | URL
네 한국에 살고 있습니다. ^^ 평안한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scott 2021-06-19 17:0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와 6개월 걸려서 보내줬다니 그래도 블루 욘더님에게 도착해서 다행입니다. 주말 동안 이 잡지 한권이면 행복 할것 같습니다. ^ㅅ^

blueyonder 2021-06-19 17:54   좋아요 2 | URL
네 기대하지 않았던 행복이네요. scott 님도 행복한 주말 보내시기 바래요~ ^^

han22598 2021-06-30 06: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잠못 이루는 천문학자...ㅠㅠ 왠지 짠하다는 ㅋㅋ 그냥 주무셔도 될듯한데...

blueyonder 2021-06-30 09:03   좋아요 0 | URL
일종의 프로페셔널리즘이겠지요. ^^ 이런 불일치를 통해 과학이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 인간의 시계로부터 벗어난 무한한 시공간으로의 여행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현주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로벨리가 기술하는 그의 학문적 여정과 물리학, 그리고 고리양자중력 이론에 대한 간략한 이야기이다. 그의 이전 책을 모두 합친 축약본 같은 느낌이 있다. '만약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이라고 그는 이야기하는데, 그가 책의 후반부에서 말하듯이 고리양자중력 이론 역시 아직 검증되지 않은 가설의 영역에 남아 있다.


그의 앞선 책을 읽은 이들은 이 책을 꼭 읽을 필요는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한 권도 읽지 않았다면, 이 책으로 시작해도 좋겠다. 2014년에 출간된 프랑스어 판을 번역했다고 나오는데, 영역본은 아직 없다. 아마존에서는 <Helgoland>가 로벨리의 가장 최신작이다. 내게는 <Helgoland>가 더 흥미로웠다.


  모든 과학자는 각자의 아이디어와 신념을 가지고 있으며--나도 마찬가지이다-- 모두 열정을 담아 전력을 다해 자신의 가설을 주장해야 한다. 활발한 토론이야말로 지식을 추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주장이 결코 눈을 멀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는 틀릴 수 있다. 그것을 판가름해주는 것은 숫자도 논리도 아닌, 실험뿐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분을 생략하는 과학자들이 있다. 이것은 고의성이 다분한 잘못된 의사소통방식이다. 자신의 아이디어에 취한 나머지 확립된 이론과 사변적 이론을 구분하지 않고 말하는 것이다. 이들은 자신의 가설을 마치 확립된 지식인 것처럼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는 과학자들을 후원하는 사회에 대해 보여야 할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자신의 이론이 가설일 뿐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밝히지 않으면 과학 전체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일례로 끈이론도 종종 이미 확증된 것처럼 여겨지곤 하는데, 나는 아직 가설 단계에 머물러 있는 이 이론이 확립된 이론처럼 대중들에게 소개되는 것을 볼 때마다 과학 전체에 큰 폐를 끼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대중은 과학자를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과학자는 어떤 현상을 '이해했다'거나 '설명되었다'고 말하기 전에 신중해야 한다. (196~197 페이지)

  나는 비합리성이 급증하고 있는 애처롭고 걱정스러운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 과학은 우리에게 스스로의 무지와 한계를 인정하고, '타인'을 의심하기보다 그로부터 배울 것이 더 많다는 사실을 인정하라고 한다. 진리는 교류의 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지, 지금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 스스로가 '가장 옳다'고 믿는 신념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211 페이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6-16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앞선 책을 다 보았는데
이미 책을 사서
즐겁게 반추하듯이 봐애겠군요 :-)

blueyonder 2021-06-16 12:24   좋아요 0 | URL
네 이전 내용 반추하시며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나는 농담으로 과학을 말한다 - 무심코 읽었다가 쓸데없이 똑똑해지는 책
오후 지음 / 웨일북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고 저자는 책 제목을 지었지만, 책에 나오는 이야기가 당연히 농담은 아니다. 문과생이라는 저자는 여러 주제에 대해 무척이나 재미있게 과학 이야기 보따리를 풀어놓는다. TMI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을 여러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이런 저런 잡다한 과학 이야기를 읽으며 상식을 쌓을 수도 있고, 시간을 보내기에도 좋을 그런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21-06-16 0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살까 말까 고민했는데 가볍고 상쾌한 마음으로 사보겠습니다~

blueyonder 2021-06-16 12:24   좋아요 0 | URL
네 즐거운 독서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