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4대강 정비 사업'에 들어가는 비용이 기존 16조9000억 원에서 22조2000억 원으로 늘어난 것을 놓고 "숫자도 하나 못 맞추느냐"고 장관들을 질타했다. "예산이 더 커져 보여 이 사업의 반발 여론에 힘을 실어주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다. 이 사업이 상당한 반발 여론에도 불구하고 꼭 해야 할 사업이라면 늘어난 예산을 불편해할 이유는 뭔가? 꼭 필요하다면 22조 원이 아니라 더 많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추진해야 하는 게 나랏일 아닌가?

전투기 한 대 값만도 못한 공공 도서관 책값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지난 4월 지방의 한 도서관방문했을 때의 일이 떠올랐다. 도서관 사무실마다 정리 안 된 책이 곳곳에 쌓여 있어서, 우리나라 도서관도 이제 정리할 손이 모자랄 정도로 책을 많이 구입하나 싶었다. 그러나 사정은 딴판이었다.

"올해 도서 구입 예산을 상반기 중에 다 쓰라고 해서 이 모양이랍니다."


▲ 이명박 대통령이 '삽질'에 열중하는 동안 대한민국의 미래가 달린 도서관의 현실은 참담하다. ⓒ프레시안
이른바 경제 살리기를 위해서 예산을 조기 집행하면서 도서관에도 불똥이 튄 것이다.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얼굴이 다 화끈거렸다. 마침 출판계 소식을 전하는 <기획회의> 최근호(249호)는 공공 도서관의 도서 구입 실태를 놓고 현장 사서의 목소리를 싣고 있다. 그들이 털어놓은 상황은 훨씬 더 심각했다.

"책 구입을 조기 집행하라고 지시하는 것을 보면 대단히 후안무치한 개념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책은 1년의 농산물인데, 이것을 조기에 한꺼번에 사라고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 "저희는 예산 담당자와 협의를 해서 도서 구입은 예외로 두었습니다. 예산 담당자는 책이 연간 꾸준히 발행된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전국의 상당수 도서관은 예산이 없어서 하반기에 나온 책을 구매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이뿐만이 아니다. 올해 공공 도서관의 도서 구입 예산은 650억 원 정도다. 앞서 한국 정부는 F-15 전투기를 1대당 1270억 원에 구매했다. 한기호 출판마케팅연구소장의 탄식처럼 "전국 607개 도서관의 도서 구입 예산이 전투기 한 대 값보다 적다."

심각한 일은 또 있다. 일부 공공 도서관은 이렇게 턱 없이 모자란 도서 구입 예산도 버거워한다. 책을 정리할 사서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도서관마다 사정이 다르지만, 지방자치단체 산하 도서관의 경우 사서 1인당 정리할 책의 수가 연간 2만6153권이나 된다. 여건이 좀 나은 교육청 산하 도서관의 경우에도 1인당 정리할 책의 수는 1만2915권이나 된다.

세간의 오해와는 달리 도서관 사서는 책 정리만 하는 게 아니다. 쏟아져 나오는 책 중에서 양질의 책을 골라 도서관에 구비하고, 더 나아가 시민이 좋은 책을 더 많이 읽을 수 있도록 갖가지 도움을 준다. 책 정리 하나도 버거운 현실에서 이런 역할을 사서에게 기대할 수 있을까?

'이명박 세대'의 산파 역할 왜 못하는가?

그간 이명박 대통령이 앞장서 추진하는 4대강 정비 사업을 놓고 수많은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안타깝지만 이런 도서관을 둘러싼 답답한 현실을 비춰보면, 이 사업의 문제는 더욱더 또렷해 보인다. 만약 이 사업에 들어갈 예산을 멀쩡한 강을 파헤치는 대신 전국의 도서관을 거점으로 하는 문화·정보 인프라를 만드는 데 쓴다면 어떨까?

결론만 말하자면, 이 대통령이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이다. 이 대통령이 관심을 갖는 부분만 부각하자면, 그 문화·정보 인프라 속에서 성장할 이른바 '이명박 세대' 중에는 분명히 <해리포터> 시리즈에 버금가는 문화 상품을 생산할 작가도 나올 것이고, 닌텐도 뺨치는 게임기를 만들 엔지니어, 디자이너도 나올 테니까. 이 대통령은 틀림없이 '이명박 세대'의 성공과 함께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더구나 이 사업은 이 대통령의 이른바 '삽질 본능'까지 만족시킬 수 있다. 도시, 농촌 가리지 않고 전국 곳곳에 도서관을 짓겠다는데, 그런 삽질에 반대할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원하는 대로 삽질을 하면서도 예산도 마음껏 부풀릴 수 있는 이 쉬운 방법을 이 대통령은 왜 외면하는가?

/강양구 기자 메일보내기 필자의 다른
--------------------------------------------------------------------------- 

프레시안 에서  퍼왔는데  

이 기사 마음에 든다.. 

서울에도 일단 구마다 도서관 하나씩 더 짓고, 사서수도 대폭 확충하고.. 
지방에도 도서관 더 짓고, 책 정리 도우미들을 지역의 저소득계층에서 뽑아서 공공근로 대체 하고
(아니면, 어르신들에게 기회를..)
그럼 삽질 맘껏해, 일자리 창출해, 저소득자를 위한 일자리도 마련되,  
애들 책 맘껏봐. 책이랑 놀 공간생겨, 사교육비도 쬐금 줄고.. 
출판사업도 살려줘, 글도 많이써
좀 더 확장해서, 문화공간/놀이/책관련 학습 커리큘럼 잘 만들면
울매나 좋아
 

물론, 이상한 책들만 같다놓으라고 하지 않는 경우되겠다
(설마, 내 무덤에 침을 뱉어라 같은 걸로만 도배 하지는 않겠지..-_-;;)  

건설사의 영업비용의 30%가 접대비라는 말도 있던데.. 도서관 지으면 그래도 건설사에 쓰거나 들어갈 접대비는 좀 줄겠지.. (앗 그럼,, 유흥산업의 퇴조를 이유로 안할라나..)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무해한모리군 2009-06-11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마음에 듭니다 ^^

비로그인 2009-06-11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관 도서관, 제발 우리 동네에도 도서관! ㅜㅜ

L.SHIN 2009-06-11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쳐...ㅡ.,ㅡ

Arch 2009-06-12 0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토토랑님이 쓴글 보니까 왜 갑자기 소름이 돋는지... 정말 꿈만 같은 일일거예요.
그렇게만 된다면 제가 삽질은 못하지만 발벗고 나서서 하고 싶을 정도로 의욕충만해지는데요.

꼬마요정 2009-06-12 09: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관만 그런 게 아니랍니다.
3월까지 시 예산의 70%를 사용하라는 지시가 내려와서 부산의 경우 멀쩡한 인도부터 없는 곳까지 다 보도블럭 새로 깔았어요. 이제 예산 없어서 어쩌려는지 모르겠어요.. 이런 식으로 예산 집행하면 경제가 살아나는 줄 아나봐요.. 정말 뇌가 없어요... 회사 사장까지 해 먹은 사람 맞는지 모를 뿐이에요.. 진짜 자기가 맡았던 거 다 부도낸 게 틀림없어요..ㅠㅠ

토토랑 2009-06-12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FTA반대휘모리님~~핫핫 많은 알라디너 분들이 공감하실만한 글 같이서 일루 옮겨왔지요 ^^;;

괴물님 ~ 그쵸 그쵸 울 동네에 도서관 있음 얼매나 좋을까요

엘신님.. 저두 한해 도서관 예산이 저만큼인줄.. 그래도 그나마를 가지고 상반기 다 집행 이럴줄은 -_-;;

Arch 님 안녕하세요 ^^:; 기사는 프레시안에서 옮겨온거고 제가끈건 아니에요..그쵸.. 참 좋을거 같은데 왜 저런 좋은건 안하는지 몰겠어요.. 삽질도 맘껏시켜준다는데

꼬마요정님 헉 -_-;;; 3월까지요 상반기도 아니고?? 저희 동네도 인도 새로 깔긴하던데..에구구..우째될라나요

소나무집 2009-06-12 1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동네 도서관은 사랑방입니다. 심각해요. 하루 이용자가 50명도 안 되는...
제 남편도 공공기관에 다니는데 뜬금없는 녹색 성장 예산이 33억이 떨어졌는데 올해 안에 다 써야 되고, 그것도 22억은 인건비로 쓰라고 했다네요. 남편 한숨 푹푹 쉬고 있습니다. 녹색 성장이 한두 해 안에 되는 것도 아니고, 그런 데(거의 일용직 등 비정규직이거든요) 사람 쓴다고 고학력 실업자가 줄어드는 것도 아니고...제발 4대 강은 그냥 놔두시지... 그게 녹색 성장이구만. 초면에...

토토랑 2009-06-12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소나무집님~~
아우.. 녹색성장 -_- 22억 올해안에 어렵네요..
음.. 일단 공모전 같은거 해서.. 한 5억쯤 빠방하게 집행하고..

탄소절감 제품, IT 기기등 그런거 좀 구매해주시고..(빌미는...녹색성장 산업 지원 )
거참.. 플래닝/컨설팅이나 연구 발주 하는것도 안될거고..
아이쿠.. 그래도 예산이 있는게 다행일까요 ㅜ.ㅜ??

글샘 2009-06-13 0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야말로 납량특집입니다. 저 낯짝 좀 지워주심 안될까요?

Arch 2009-06-13 0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알죠. 그런데 아래에 옅은 색으로 쓴건 토토랑님이 쓰신거 아닌가요? 기사만큼이나 좋았단 얘긴데. 아, 달콤한 삽질이라니~

순오기 2009-06-13 09: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이 정도 수준으로 국정운영하는데 그 아래 사람들도 뇌가 없나요?
그 물에 노는 사람이 오죽하랴~~ 이러기는 너무 아니잖아요. ㅜㅜ

토토랑 2009-06-15 0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샘님 그쵸.. 저두 저 사진이 심히 -_-;; 거슬리긴 합니다.
Arch 님 후훗^^*;;;
순오기님.. 정말 사람 한 명 바뀌는게 이렇게 영향이 크다는걸 진짜로 진짜로 ㅜ.ㅜ

승주나무 2009-06-20 16: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 없음

안녕하세요. 승주나무입니다.
알라딘 서재지기와 네티즌들이 함께 시국선언 의견광고를 하려고 합니다.
알라디너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참여의사를 댓글로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강요는 아닙니다^^;;

즐찾 서재들을 다니면서 댓글을 남기고 있습니다. 난생 처음으로 남기는 스팸성 댓글이지만 어여삐 봐주세요~~~

http://blog.aladdin.co.kr/booknamu/2916466


토토랑 2009-06-22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닙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09-07-07 10: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토토랑 2009-07-07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여 주신님 ~~아닙니다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도움이 ~~ 됩니다.

감사합니다 *^^*

미미달 2009-11-04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한국으로 돌아갈 때 쯤이면 도서관이 많이 생겼을까요. (그렇게 생각은 안하지만...)

토토랑 2009-11-04 1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글쎄요

일단은.. 저희 동네에 한군데 생겨서 대만족하는 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