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격하게 말한다면, <다섯째 아이>는 공포소설이다. 특히 '다섯째 아이' 벤이 태어난 후 이야기(p.66이하)는 어린 시절에 읽었던 공포소설-제목은 기억나지 않음-과 유사해 놀랐다. 출산 직후 산모가 자기 아기에게 공포심을 느끼는 건 그리 드문일이 아니라고 한다. 그래서 이를 소재로 한 이야기가 많은 것은 아닐까? 물론 해리엇이 느낀 공포는 '일반적'인 그것과는 다른 것이었지만.

전체적인 느낌이 영화 '오멘'과 유사하다는 생각도 했다. '오멘'의 데미안, <다섯째 아이>의 벤, 오버랩 시켜도 어색하지 않다. 벤은 뱃속에서부터 어머니 해리엇을 괴롭히다, 체중 11파운드로 태어난 아이다. 외양묘사를 보자. '아기의 이마는 눈에서부터 정수리 쪽으로 경사져 있었다. 머리카락은 굵고 노르스름 했으며, 가마 두 개에서부터 삼각형 또는 쐐기 모양으로 이마까지 내려오는 이상한 모양으로 나 있었다.'(p.67) 해리엇은 직감으로 알아 차린다. 이 아기가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이렇게까지 말한다. '이 아이는 도깨비나 거인 괴물 같아요'라고. 불행은 이제부터 시작이다.

이후 이야기는 한 가정을 파괴하는 '벤'의 행각이다. 집안분위기를 어둡게 하고, 가족들을 두려움에 떨게하며, 애완동물까지 죽이는 벤. 보다 못한 해리엇과 데이비드는 아이를 요양소로 보낸다.(p.103) 벤이 사라지자, 집안은 일시적으로 평온을 되찾는다. 하지만, 해리엇은 놀라운 모성애를 발휘한다. 이 부분은 아기에 대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정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역시 자기 배로 낳은 어머니의 모성애는 대단했다. 데이비드가 아무 미련없이 골치덩이를 보내버린데 반해, 해리엇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렇고 공포에 떨면서도 말이다.

하지만, 해리엇이 나중에 이 선택을 후회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관점을 약간 달리한다면- 데이비드의 선택을 현실적이고 이성적이라고도 할 수도 있을 듯하다. 

읽기전엔 지루하지 않을까 걱정 했지만, 그렇지 않다. 흥미진진하고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소설 전체의 호러적 분위기는 정말 의외였다.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도리스 레싱의 작품하면, 왠지 어렵고 딱딱할 거 같은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pple 2008-01-03 00: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재밌지요?^^흐흐...
저는 관습에 얽매인 편견에 대한 우회적인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참 씁쓸했던 책이었어요.
집에서는 그렇게 악마같은 취급(?)을 받던 벤도, 밖으로 나가니까 어떤 부류의 사람들한테는 나름대로의 칭송을 받는 존재가 되지 않나요.
오멘 읽는것같다가도, 마지막에 씁쓸한 기분이 들던 저에게도 아주 인상적인 책이었어요..^^

쥬베이 2008-01-03 08:39   좋아요 0 | URL
아 시즈님^^
시즈님 아니면 제 서재는 찾는 사람도 없어요ㅋㅋㅋ 고맙습니다^^
한번 벤을 악마의 화신으로 보고 나니까, 자꾸 공포물이 떠오르는거에요ㅋ
시즈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Apple 2008-01-03 1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쥬베이님도 복 많이 받으세요~~~~^^
저도 인기없는 서재이긴 마찬가지..^^;;푸핫...;;;

쥬베이 2008-01-03 17:38   좋아요 0 | URL
^^ 인기없는 서재지기끼리 뭉치는 건가요?^^

lazydevil 2008-02-02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혼란스러운 공포를 느끼게 하는 작품 정말 드물죠. 출간 당시 서점에서 빈둥거리다가 책 날개에 실린 사진 속 작가의 인상이 너무 좋아서 덜컥 사서 읽었던 기억이 납니다. 충동구매 덕분에 운좋게 대작가들을 만난 경우죠.

쥬베이 2008-02-02 21:07   좋아요 0 | URL
네^ 저도 도리스 레싱 작품은 처음이었는데, 괜찮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