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맙습니다, 선생님 아이세움 그림책 저학년 2
패트리샤 폴라코 지음, 서애경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책이든 그림책이든 혹은 소설책이든 간에, 책을 읽으면서 온몸이 찌릿찌릿해지는 느낌을 받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다. 몸의 반응이 뒤따르지 않는 감동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럴 때면 책과 나는 위치를 바꾼다. 책 속의 활자들은 제멋대로 살아 밖으로 튀어나오고, 책을 읽는 나는 책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입을 약간 내밀고 고민스런 표정을 짓고 있는 아이와 그 모습을 내려다보고 있는 인자한 표정의 선생님이 그려진 이 책 <고맙습니다, 선생님>을 읽으며 내가 그랬다. 할머니와 트리샤의 풀밭에서의 대화를 엿들을 때도 그랬고, 트리샤가 마침내 기적처럼 책을 읽어내려갈 때도 그랬고, 할아버지가 남겨준 책을 껴안고 있을 때도, 그리고 맨 마지막 장에서 폴커 선생님을 30년 만에 만났을 때도 그랬다.


  내 어린 시절은 열등감과 제 나름의 우월감이 뒤섞여있던 시절이었다. 트리샤처럼 글을 읽지 못한 것도 아니었는데 나는 아이들과 섞여서 놀지 못했고 어울리지 못했다. 점심시간에 같이 밥을 먹는 앞자리, 뒷자리의 친구들하고 조차 무슨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 알지 못했고 아이들이 모두 “와” 웃을 때도 나는 우습지 않았다. 아마도 어울리지 않은 탓이었겠지만 아이들의 속어나 비어는 내게 전혀 와 닿지 않았던 것이다. 공부를 그리 잘한 것도 아니었고, 있는 듯 없는 듯 지극히 평범한 아이였는데도 나는 그렇게 따로 놀았다. 내 친구가 되려면 나름의 내 판단으로 연예인 얘기가 아니라 삶과 인생에 대해 같이 얘기할 수 있어야 했으므로, 친구가 많으랴 해도 많을 수가 없었다.

  지금 생각하면 내성적인 성격에 사회성 부족의 결과이다. 그러나 스스로도 어찌 할 수 없었던 그 시절, 초등과 중고등 시절에는 그에 대한 열등감과 위축감을 우월감으로 뒤집어 환산시켜 혼자 위로할 수밖에 없었다. 트리샤의 이야기를 읽으며 그 시절이 다시 떠올랐다. 나는 놀림을 받지는 않았지만 같이 웃지 못해서 늘 조금씩 외로웠다. 그나마 ‘연예인 얘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몇 명의 친구들이 있어 다행이었을까. 나는 폴린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고 다 자라도록 ‘선생님’이란 명칭에 애정을 갖지도 못했다.


  그런 내가 지금은 아이들을 가르칠 생각을 하고 있다. 그리고 단순한 직업 이상으로는 생각하지 않았던 그 일에 이제 특별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 아니 사실 무언가를 가르친다기보다는 함께 느끼고 함께 즐기는 법을 배우고 싶어 이 길을 택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어린 시절을 쓸 데 없이 조숙하게 보낸 탓에 마음껏 즐기지 못했던 그 시절의 즐거움들이 다시 나를 휘감고 드는 것일까.

  아이를 키우면서, 속 좁은 엄마답게 소리를 꽥꽥 질러대다가 문득 반성을 하곤 한다. ‘어른’임을 앞세워 지극히 이기적으로 행동하고 있음을 뒤늦게 깨우치는 것이다. 나는 자숙하고 다시 아이의 눈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그렇게, 눈을 마주하고 서로 들여다보고 있자면 더 이상 아무 말도 필요가 없어진다. 마음으로 소통하는 것보다 더 큰 가르침은 없을 것이다.

  내 아이 뿐만이 아니라 다른 아이들을 대할 때도 그러할 터. 트리샤의 할머니가 트리샤를 바라보던 눈빛으로, 트리샤의 할아버지가 책에 꿀을 발라주던 그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하려면 내가 얼마나 더 자라야 하는 것일까. 껍데기 어른일 뿐인 나는, 가르칠 것보다 배울 것이 더 많은 아이들 세상에서 그저 열심히 배우고 느끼는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언제까지나 엄마를 사랑할 거예요 - 행복한 그림책 읽기
마거릿 와이즈 브라운 글 그림, 양희진 옮김 / 계림닷컴 / 2001년 12월
평점 :
절판


사람은 첫인상이 중요하다지만 그림책에 있어서는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작은 아기곰이 엄마 품에 안겨 눈을 똥그랗게 뜨고 있는, 이 책의 겉표지를 보았을 땐 조금 실망스러웠다. 특별히 촌스럽진 않았지만 봉제 곰인형같이 그려진 그림과 파란 글씨가 그리 예뻐보이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치장된 그림책에 너무 익숙해진 탓이었을까.

그런데 한 장 한 장 페이지를 넘겨가면서 나는 조금씩 그림 속의 이야기에 빨려들어가기 시작했다. 아기곰과 엄마곰이 같이 부르는 사랑의 노래, 그 정다운 속삭임이 들리는 듯 했고 풀밭 곤충들, 비와 바람의 노래, 눈 내리는 풍경 속에 곰가족의 사랑이 그대로 덧입혀져 있었다.

아기와 엄마의 대화는 어쩌면 이리도 시적(詩的)일 수 있는지. 미소가 번져나게 하는 사랑스런 대화, 그리고 그토록 신기한 풀밭 생물들과의 조우. 이들은 마치 노래하듯이 인사를 나누고 헤어진다. 비와 바람은 또 얼마나 멋진 친구인지. "비야, 비야, 나는 비야. 아기곰아, 내가 너를 적셔줄게...바람, 바람, 나는 바람. 아기곰아, 내가 비를 밀치고 너를 날려줄게"  바람과 비 속에 놀다 들어온 아기곰에게 엄마곰은 묻는다. "아기곰아. 비와 바람이, 바람과 비가 무슨 노래 불러줬니?"

겨울에 내리는 눈의 노래를 마지막으로, 하얀 눈밭을 걸어 집안으로 들어가는 곰가족의 모습으로 이 책의 마지막 장이 끝난다. 그리고 나는 몇 분 사이에 훈훈해진 마음으로 책장을 덮었다. 시(詩)가, 사랑이, 아기가 동의어일 수 있다면 아니, 하나의 노래일 수 있다면 아마도 이와 같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를 "킁킁" 비룡소의 그림동화 39
루스 크라우스 글, 마크 사이먼트 그림, 고진하 옮김 / 비룡소 / 199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새 봄,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갑자기 코를 킁킁거리면서 하나둘씩 잠에서 깨어난다. 코를 킁킁, 코를 킁킁... 그리고 모두들 줄을 지어 하얀 눈밭을 달리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달리다가 둥그렇게 멈춰선 그들이 모두 웃으며 신나게 춤을 춘다. "와!"하는 감탄사와 함께. 그리고 우리에게도 그 놀라운 비밀이 공개된다. "눈 속에서 이런 예쁜 꽃이 피어나다니!" 

전체가 흑백 그림인데 맨 마지막 장에 나온 노오란 꽃만이 환하게 빛나는 칼라이다. 눈에 들어오는 시각적인 감격도 그렇지만, 단순하게 반복되는 쉬운 말로 동물들의 잠을 깨우고 움직임을 묘사하며 이 모든 움직임들을 조그만 꽃 하나로 향하게 한 작가의 생각이 너무나도 이쁘다.   

노래하듯이 아이와 함께 읽으며, 함께 화들짝 놀라고, 함께 감격스러워 할 수 있는 책. 추운 겨울에서 화안한 봄을 기다리는 마음, 그리고 생명에의 기쁨을 느끼게 해주기에 더 없이 좋다. 하나 조금 걸리는 점이 있다면, 여기 등장하는 동물 중 '마르모트'는 우리에게 익숙치 않은 동물이라 어린 아이들에게는 설명해주기 조금 어렵다는 것. 그러나 그 정도 옥의 티는 감수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 그림자일까? 아기 그림책 나비잠
최숙희 지음 / 보림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산 지 한참이 되었지만 아이와 난 자주 이 책을 보지는 않는다. 아이도 아이지만 내 마음에도 별로 들어오는 책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그림자의 주인공을 상상하는 것이 아이의 수준에 맞게 자연스럽다고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책의 표지그림에서 작은 아이의 그림자가 큰 어른의 그림자처럼 비치는 것은 재미있으나 그 밖의 다른 것들, 우산과 박쥐, 안경과 뱀, 장화와 불독 등 다른 소재들은 모두 '억지 연상'이다. 게다가 다음 장의 힌트가 (정답이) 앞 장 구석에 살짝 들어가 있는 점은 이 억지 연상마저 방해하고 있다.   

책의 취지와 발상은 좋았으나 상상력을 불러들이려는 노력이 너무나 작위적이란 느낌. 어린 아이들보다 오히려 초등학생쯤 되는 큰 아이들에게 상상보다는 '연상'이라는 단어를 설명해주기 위한 책으로 좋을 듯 하다. 저자의 좋은 그림과 책에 대한 발상이 아깝게 느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상한 자연사 박물관 미래그림책 10
에릭 로만 글 그림, 이지유 해설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둥 치고 비 오는 오후, 작은 새 한 마리가 비를 피할 곳을 찾다가 아무도 없는 건물 안으로 날아들어간다. 이곳은 공룡의 뼈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커다란 박물관. 작은 새는 탐색이라도 하듯 공룡의 머리 위를 배회하면서 이빨 위에도 앉아보고 이리저리 날아다니는데, 어느 순간 공룡들이 살아 깨어난다. 뼈에 살이 붙고 살아있는 모습으로 중생대 그들이 번성하던 시대로 돌아가는 것이다. 작은 새 역시 그 난데없는 시대로 뛰어들어가 하늘을 날아다니는 익룡을 비롯해 커다란 공룡들과 조우한다. 커다란 공룡의 입 앞에서 깜짝 놀라 날개짓하는 작은 새와 '아니 뭐 이런 놈이 다 있나'하는 표정으로 작은 새를 쳐다보는 공룡의 표정이 재미있다. 결국 새는 무시무시한 공룡에게 꿀꺽 잡아먹히는데 공룡의 입안을 통과하면서부터 다시 현실의 세계로 돌아온다. 공룡은 다시 뼈만 남은 화석에 불과한 것이다. 현실과 환상이 공존하는 박물관 구경을 마치고 새는 다시 창문 밖으로 날아간다.

작가는 이 모든 이야기를 그림만을 통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책 표지의, 커다란 공룡의 눈이 작은 새의 눈과 마주치는 그림은 극적이고 환상적인 이 책의 분위기를 그대로 전해주고 있는데, 말로 이해되는 것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그림으로 볼 때마다 새롭게 느껴진다. 예를 들어 작은 새가 공룡의 화석 위를 배회할 때 박물관 벽에는 새와 공룡의 그림자가 그대로 비치는데 그 그림자가 전해주는 분위기를 어떻게 아이에게 말로 전할 수 있겠는가.

정말 멋진 책, 아이가 어릴 때는 공룡 그림책으로 보여주고 좀 더 크면 화석과 공룡의 시대, 박물관 이야기로 책에 대한 이해를 넓혀갈 수 있는 전천후 그림책이다. 맘에 쏘옥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