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를 잡자 - 제4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푸른도서관 18
임태희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도 음침하지만 내용도 음침하다.

뱃 속에 아이를 쥐로 표현한 것도 음침하다.

뱃 속의 아이가 축복이 아니라 쥐가 된 것은

주홍이의 나이 때문이겠지.

원하지 않는 임신과 마음을 닫아버린 아이.

주홍이는 누구에게도 의지할 수 없고

말할 수도 없는 외로운 아이였다.

미혼모였던 엄마는 주홍이의 임신에도 모른 척 해버린다.

두려움과 불안 앞에 엄마에게 다가가려 해도

그 간격은 좁혀지지 않는다.

엄마는 과거에 붙잡혀 있는 것만 같다.

자신의 과오를 스스로가 용납하지 못하는 것만 같았다.

 

사물함의 쥐, 냉장고의 쥐, 주홍이 뱃 속의 쥐.

징그럽고 무섭고 혐오스러운 외면해버리고 싶은 현실,

그 현실이 쥐와도 같은 건 아닌지.

 

담임 선생님은 아이들을 놓아버리는 자신의 모습과

적당히 해야할 본분만 하자는 자기 합리화 안에서 스스로를 괴롭힌다.

주홍이에게 다가가려 해놓고 돌아올 현실이 두려워 피하고 만다.

제대로 마주할 자신도 없지만 무시하고 외면할 자신도 없다.

담임은 그저 지켜보는 자일 뿐이었다.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하는.

 

 

주홍이의 엄마는 심한 결벽증을 갖고 있다.

스무 살에 미혼모가 되어 주홍이 낳았다.

조소과 강사인 엄마는 늘 작업실에서 무언가를 만든다.

작업실 안에 숨어 속죄의 시간을 보내는 것일까.

주홍이에게 문제가 생긴 것을 알고

그 문제가 무엇인지도 알면서

모른 척 해버리는 엄마.

자신의 겪었던 과거이기에 두렵고 무서웠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자기 자신도 제대로 들여다보지 못하기 때문에

주홍이의 상처와 두려움을 보듬어줄 수 없었을지도 모르겠다.

가장 어리고 연약하고 상처입은 존재인지도 모르겠다.

 

주홍이가 말했다.

 

`제 잘못이 아니었어요.`

 

두려움, 혼란스러움, 불안, 수치심...

자신이 처한 상황에 어찌할 바 모르는 여린 학생일 뿐이다.

그런 주홍이가 할 수 있는 것은 결국 낙태뿐.

주홍이가 낙태를 하게 되면서

엄마와 담임 선생님이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엄마는 후회하며 강해지려고 한다.

담임을 아이들에게 다가서려 한다.

작은 노력이 시작되지만 주홍이는 피폐해져만 간다.

그리고 생명을 져버렸다는 죄책감이 시달리다가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고 세상을 포기하고 만다.

얼마나 두려웠을까....

얼마나 무서웠을까....

 

 

주홍이와 같은 아이들이 너무나도 많고 그 아이들은 학교에서도 세상에서도 내쳐진다.

누구도 한 인간을 용서하고 벌할 수는 없는데 세상은 미혼모라는 낙인을 쉽게 찍고 가둬버린다.

청소년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는 요즘, 성교육의 문제뿐만 아니라 관계와 소통의 문제 역시 되돌아봐야 한다.

아이들이 어른들을 믿지 않지만 결국 도움을 줄 수 있는 건 어른임을 안다.

그럼에도 어른들은 그들을 방치하고 외면한다.

청춘이니 소통이니 힐링이니 요즘 대세라며 많이 관심을 갖고 있다.

먼저 청소년과의 소통을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주홍이의 죽음이 슬픈 것은 아무도 도움이 되지 못했고

마음을 닫아버릴 수 밖에 없었던, 쓸쓸하고 외로웠을 그 모습 때문이다.

혼자서 괴로워하고 스스로를 더럽다며 용서하지 못하는 그 모습이

자꾸만 떠올라 머리가 어지럽다.

선생님도, 엄마도, 그리고 세상의 모든 어른들도,

누구라도 희망을 줄 수 있었을 것이다.

 

 

인상 깊은 구절

 

다가오지마. 내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는 거라면 다가오지마. _ p. 37

 

 

쓸고 닦고 털어 내고 지우고.... 아무리 해도 깨끗해지지 않았다.

왜?왜?

이제야 알았다. 내가 쥐였기 때문이다.

스무 살을 감당할 수 없게 한 나의 열아홉, 열여덟, 열일곱....이 쥐였다.

아니, 이 세상이 쥐로 득시글거리기 때문이었다.

결혼하지 않은 여자가 아이를 낳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깜빡한 세상이 바로 쥐였다.

 

선생이 옳았다. 확실히 쥐는 있다.

땅, 땅, 땅,

돌가루가 부스러진다.

아파, 아파, 아파...... _ p.75

 

 

부탁하건데, 그저 걷다가 우연히 만나는 길을 무작정 걷지는 말거라.

같은 길을 걷게 되더라도 네가 고른 길을 당당하게 걸으렴. _ p.80

 

 

너무나 쉽게 아이들을 버리는 학교. 아이들은 가시밭길을 걷는다.

여린 속살을 긁히고 찔리며 위태위태하게 걷는다.

피가 나고 상처가 곪아도 학교는 한 쪽 눈을 감고 아이들을 방치해 둔다.

아이들은 `알아서 잘` 크는 수밖에 없다. _ p.86

 

 

마음이 놓이는 한편 일이 엇나가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왠지 가슴이 허전했다. 내가 잘못 살아 온 걸까?

지난 17년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갔다. 마치 모래알갱이처럼.

나는 빈손을 가만히 내려다본다.

딸아이는 나에게서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았다.

오히려 나를 보호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나는 다 알면서도 받기만 했다. 나쁜 엄마다. _ p.90

 

 

우리는 마침내 냉장고 문을 열었다. 쥐는 없었다. 그걸 확인하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

좀더 일찍 함께 문을 열어 보았더라면...... 그랬다면 지금 뭔가 달라졌을까? 모르겠다. p.102

 

 

혼자서 물 속으로 걸어간다. 물결이 얼음을 깎아 만든 비수처럼 차갑게 내 살갗을 훑는다.

발목에서 허벅지로, 허리에서 가슴으로, 어깨에서 머리끝으로 물이 차오른다.

무섭도록 차갑다가 차츰 몽롱해진다. 잠이 쏟아진다.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신은 나를 버렸다.
나는 신마저도 구원하기로 했다. _ p.128

 

낳아 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사실 고맙다는 말은 부족하기만 합니다.

제 맘 속에 가득한 이 터질 듯한 감동을 표현할 더 적절한 말을 찾지 못해

비루하기 짝이 없는 표현을 빌려 씁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어머니가 살린 작은 사람
진주홍 올림 _ p.141

 

 

생명을 낳고 기르는 일이

한 사람의 희생이 아닌

온 우주의 축복일 수 있기를.... _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길모퉁이 행운돼지 즐거운 책방 1
김종렬 지음, 김숙경 그림 / 다림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모퉁이에 생긴, ‘행운돼지’ 라는 가게. 커다란 행운을 공짜로 나누어 드린다고 한다. 행운! 공짜! 이 두 단어만으로도 사람들은 그 가게에 사로잡힌다.

게다가 들어갔다 나온 이들이 받은 행운은 많은 사람들을 모이게 한다. 행운은 선착순인데다 들어가는 인원은 한정되어 있다.

그러자 길가에 줄을 서서 기다리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회사에도 가지 않고 밤새 기다리고 옆 마을에서까지 오게 된다.

행운을 받기 위해 기다리던 사람들은 마을의 권리를 운운하며 옆 마을 사람들을 내쫓기 위해 싸우기까지 한다. 경찰도, 기자도 행운을 얻고 싶어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행운을 받은 이들이 변하기 시작한다. 그것도 돼지로....
이게 과연 동화라고 할 수 있을까? 직업상 동화를 많이 읽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이 동화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다. 행운을 얻기 위해 아등바등하는 사람들.

공짜로 주어진 행운을 위해서라면 무엇이라도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사람들. 돼지가 되어버렸지만 행운의 물건 빠져 다른 것은 안중에도 없는 사람들.

주인공인 ‘나’는 부모님이 돼지로 변하자 주변에 알리지만 아무도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없다.

모두들 행운을 공짜로 얻는 것에만 급급하여 ‘나’의 얘기에는 귀 기울이지 않는다.

욕심 가득한 돼지가 되어버린 사람들을 보고도 이상한 줄 모르는 어리석음, 내 행운을 얻고자 다른 이들을 밀어내는 이기심,

집 안 가득 돈이 넘쳐나도 행운으로 얻게 된 물건을 부수지 못한 욕심. 진달래 마을의 어른들은 그런 모습을 보며 ‘행운돼지’의 주인이 말한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에게 행운이 찾아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행운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지요. 대부분 작은 행운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욱 큰 욕심을 부리고 맙니다.

욕심 때문에 자신이 점점 행운과 멀어지고 있다는 걸 까마득히 모르면서 말이지요.”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커져서, 작은 행복은 놓치고 마는 게 바로 우리가 사는 세상의 슬픈 모습이 아닐까. 눈앞에 있는 행복에 만족하지 않고

더 크고, 더 좋은, 더 많은 행운을 바라며 그것을 좇아가는 어리석은 모습이 바로 우리들의 모습 같아 씁쓸해진다.

나도 소소한 행복을 바란다고 하지만 더 많은 것을, 더 좋은 것을 바라고 만족하지 않고 있지는 않나 돌아보게 된다.

행운은 누군가 전해주지 않으면 얻을 수 없고, 행복은 나 스스로 발견해낼 수 있다. 보이지 않은 행운보다 내가 누릴 수 있는 행복을 찾아야겠다.

(동화를 읽고 너무 진지해지고 말았지만 나는 이런 동화가 좋다.)

돼지로 변하는 부모님을 보니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라는 애니메이션이 생각이 난다.

치히로의 부모님도​ 남의 음식 마구마구 먹더니 돼지로 변했었다.

행운돼지의 주인공 '나'​가 부모님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이 치히로랑 좀 비슷해보이기 하다.

물론 치히로와 달리 '나'는 아무것도 해낼 수 있는 게 없지만ㅠ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에게 행운이 찾아오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행운을 싫어하는 사람은 없지요. 대부분 작은 행운에 만족하지 못하고 더욱 큰 욕심을 부리고 맙니다.



욕심 때문에 자신이 점점 행운과 멀어지고 있다는 걸 까마득히 모르면서 말이지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읽는나무 2016-01-22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큰아들이 몇 년 전 읽는 걸 보았는데~~좋은 책이군요^^

하리 2016-01-22 14:54   좋아요 0 | URL
그쵸? 좋아하는 동화책이에요^^

해피북 2016-01-22 2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두 동화를 무척 좋아하는데 하리님 글 보니 이 책이 읽고싶어집니다 ㅎ 특히 센과 치히로가 떠오르신다는 말씀에 궁금증이 증폭되었어요^~^

하리 2016-01-23 13:56   좋아요 0 | URL
한 번 읽어보세요^^ 돼지로 변한다는 게 재밌더라고요~ 세상이 돼지들로 변해요ㅎㅎ
 
거짓말 같은 이야기 - 2011 볼로냐 국제 어린이 도서전 라가치 상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32
강경수 지음 / 시공주니어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뭐라고? 거짓말이지? 아니. 우리의 진짜 이야기야. 세계 곳곳에서 고통받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어린이 인권 그림동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툭
미샤 다미안 지음, 최권행 옮김 / 한마당 / 199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툭은 소중한 개 타룩을 잃고 슬픔에 빠진다. 늑대에게 복수를 다짐하고 미움과 증오의 감정으로 살아간다. 인간에겐 결국 미움을 극복하는 건 복수가 아니라 사랑이라는 사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름 위를 오른 아이 아름다운 도전 1
이상배 지음 / 상상스쿨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 최연소로 마터호른에 오른 영식이와 아버지. 아버지도 대단하지만 역시 포기하지 않는 영식이의 모습이 놀랍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