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것이었던 소녀 스토리콜렉터 41
마이클 로보텀 지음, 김지선 옮김 / 북로드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필자는 마이클 로보텀의 소설을 좋아한다. 1인칭 특유의 몰입감과 심리학자 라는 주인공의 직업상 특수성 때문에 일반적인 주인공이 하지 않을 사고를 하며 그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인간적인 느낌을 받게 한다. 인간이란 소설 속 주인공 처럼 입바른 생각만 하고 살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마이클 로보텀 작가의 조 올로클린 시리즈에 조 올로클린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정상적인 퇴폐까지 그려내고 있다.

 

   전작 "산산이 부서진 남자"를 읽을때는 제목이 누구의 시점으로 쓰여졌는가에 대한 의문은 없었다. 말 그대로 범인과 주인공 모두 산산이 부서진 남자였고, 주인공과 범인 모두 1인칭 시점으로 쓰여져있고 시점변화를 구분짓지 않아 누가 범인인지 헷갈릴 정도의 경계를 보여준 것 또한 매력적이었다. 이번 시리즈 "내 것이었던 소녀" 로 드디어 제목은 범인의 시점으로 쓰여졌구나. 하지만 필자는 이번 시리즈의 조 올로클린이야 말로 산산이 부서진 남자라고 생각한다. (상황들이 너무나 최악으로)

 

   보통 심리학자 교수에 경찰을 도와 사건을 해결한다는 설명을 듣는다면 왠지 추리물속 멋진 교수가 떠오른다. 하지만 조 올로클린은 파킨슨 병을 앓고 있고 약 기운이 떨어져 종종 군중 속에서 장애를 겪는다. 심리학자이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사람을 분석하게 되고 (무의식) 그로 인해 부인과 딸과의 사이가 좋지 않다. 모든 것들을 꿰뚫어보는 남편의 시선이 불편하고 그런 아빠의 분석이 딸은 갑갑하게 느껴진다. 전작에서 별거하고 이번 시리즈에선 이혼을 "할지도 모를" 상황까지 가게 되지만 다음 시리즈에선 어떻게 될런지... 기대하게 된다.

 

   마이클 로보텀은 필자를 이기적으로 만든다. 너무 몰입하게 해서 필자를 조 올로클린 그자체의 감정을 느끼게 한다. 상황에 얽혀 억울한 일이 생길 경우 너무 억울하고 올로클린의 아내가 차가운 말을 할때마다 화가 난다. 아빠의 부정을 모르고 철없이 내뱉는 딸의 말이 너무 밉다. 전작에서 아내가 저지른 불륜이 계속 머리에 남아있어 아내가 바른 소리를 할때마다 "감히 니가? 너나 잘하시지?" 란 삐딱한 시선으로 아내를 대하게 되고 딸의 말 한마디에 "전작에 내가 어떻게 해서 너를 구해줬는데 이딴식으로 말하니?" 란 서운함도 느낀다. 그러다가도 올로클린이 잘못된...(적어도 한국의 정서로는) 어른들의 재미를 느낄때면 잘못임을 알아도 "뭐 어때? 그럴수도 있지. 아내나 딸 따윈 몰라!" 하고 합리화 시켜버리고 만다.

 

   그만큼 이 시리즈는 재미있고, 필자의 취향에 딱 맞아 다음 시리즈까지 기대하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