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6 #시라는별 55
몸이라 불리는 장소에 관하여
미야자키 하야오풍의 질문
- 김선우
낡아가는 거라고 생각했지. 늙어보기 전의 일이지. 팔십 년쯤 살아보니 알겠어. 늙을수록 이 장소가 좋아지더라고. 여기는 절벽. 한해 한걸음씩만 허락되는 정직한 장소라네.
열개의 손가락으로 움켜잡은 당신이라는 절벽, ˝뛸까, 우리?˝ 말하곤 하지. 꽃이 지는 느낌으로 아니, 막 새로운 꽃이 피어나는 느낌으로 나는 대답하곤 해. ˝걸어요, 우리.˝ 하루를 느리게 살아낸 뒤 쓰다듬어줄 수 있는 이 장소가 있어 얼마나 고마운지. 한해 한해 한걸음이
갈수록 소중해지는 때라네. 그래, 충만하지.
알지 않나? 어떤 시간과 장소는 아주 낡은 채 불쑥 다가와 아예 드러눕기도 하거든. 무례하지. 하지만 이 장소는 낡지 않아. 늙을 뿐이지. 고통도 허기도 늘 새롭게 당도한다네. 내가 자네 나이 땐 깊게 패는 주름이나 검버섯 같은 게 무척 신기하더라고. 경험해보지 않은 새것들이니까. 아직도 새로 도착하는 낯선 것들이 여전히 있어. 궁금하지, 늘 궁금해. 이 장소가 말이야.
낡지 않고 늙을 수 있는 장소에 대해 자네는 얼마나 알고 있나? 낡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새로워지는 곳, 몸이라 불리는 장소에 관하여.
김선우 시집 『내 따스한 유령들』 을 절반쯤 읽었다. 책을 볼 짬이 나지 않는 9월 첫 주 주말을 보내다 겨우 허락된 두어 시간 평화의 시간을 가졌다. <몸이라 불리는 장소에 관하여>는 늙어가는 몸을 달리 보는 시각 전환을 안내한다.
˝한 해 한 걸음씩만 허락되는 정직한 장소˝, ˝하루를 느리게 살아낸 뒤 쓰다듬어줄 수 있는˝ 장소, ˝낡지 않고 늙을 수 있는 장소˝, ˝낯선 것들이˝ ˝˝늘 새롭게 당도하는˝ 장소, ˝낡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새로워지는 곳.˝
늙어가는 몸을 팔십 년쯤 살아본 이 화자처럼 궁금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꽃이 지는 느낌˝이 아닌 ˝막 새로운 꽃이 피어나는 느낌으로˝ 오늘 하루도 느리지만 어떻게든 살아낸 자신의 몸을 쓰다듬으며 수고했다 토닥이고 대견했다 칭찬할 수 있을 것 같다. 내 늙어갈 인생도 그런 방향으로 흘러가기를 바란다. 그러나 . . . . . .
하고많은 시들 중 이 시가 오늘 내 몸으로 쑤욱 들어온 것은 늙어가기보다 낡아가는 내 어미의 몸뚱이를 보고 만지고 온 탓이었다. 어미의 몸이 점점 말라간다. 이주일 사이 어미의 몸은 살점들이 녹아내린 듯 살의 거죽만 뼈에 붙어 있으려는 모양새를 하고 있었다. 내 어미는 풍채가 좋은 여인이었다. 한창 시절엔 저 멀리서 물동이 이고 오는 모습만으로도 광채가 난다고 동네 어른들이 이구동성으로 말한 처자였고, 내가 만난 중년의 어미도 신수 훤하고 건장한 여인이었다. 그랬기에 자그마한 나는 늘 고양의 앞의 생쥐 꼴이었는데(물론 엄마의 기억은 다르다), 이제 어미는 작아지고 작아져 자그마한 내가 어미를 내려다보게 생겼고, 약해지고 약해져 내가 힘껏 부축해야 버티고 선다.
양쪽에서 거들어도 자꾸만 주저앉으려 하는 어미를 보면서 늙어가는 몸은 중력의 열기에 녹아내리는 하드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녹아내린 자리에 가느다란 나무 조각만이 남는 하드. 그리 단단했던 살덩이가 어떻게 저리 흐물흐물해질 수 있을까.
내 어미는 팔순을 기점으로 그렇게 악착같이 부여잡고 있던 생의 의지를 조금씩 놓기 시작했다. 이 시의 화자는 ˝팔십 년쯤 살아보니˝ 자신이 살고 있는 ˝장소가 좋아지더라고˝ 말하지만, 내 어미는 그 나이 이후로는 이전까지 곧잘 내뱉곤 하던 ˝내가 5년만 젊었어도˝ 라는 말조차 꺼내지 않았고 당신 몸을 돌보지 않았다. 나는 많은 자식이 그러하듯 안일했고 소홀했다.
‘피골이 상접한‘이라는 몸을 책 속의 활자가 아닌 실물로 볼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어린 날과 젊은 날엔 징글징글하게 미워했던 어미였지만, 어쨌든 내 어미여서, 어쨌든 저 몸뚱이로 날 먹이고 입히고 재우고 했던 어미여서, 말라서 더욱 아픈 앙상한 다리를
˝열개의 손가락으로 움켜잡는˝ 어미의 앙상한 두 손이 자꾸만 어른거려 시를 읽다 몇 번이나 눈시울이 불거졌다.
늙고 병들어가는 어미를 보고 돌아오는 길에 비도 내리지 않은 맑은 가을 하늘에 무지개가 떠 있었다. 가족 구성원 모두 탄성을 질렀고, 딸은 핸드폰을 챙기지 못한 엄마를 대신해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나는 저런 아름다운 풍경을 앞에 놓고 엄마와 행복에 젖어본 적이 거의 없다는 사실에 혼자 목이 메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