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2 #시라는별 54
작은 신이 되는 날
- 김선우
우주먼지로 만들어진 내가
우주먼지로 만들어진 당신을 향해
사랑한다
말할 수 있어
말할 수 없이 찬란한 날
먼지 한점인 내가
먼지 한점인 당신을 위해
기꺼이 텅 비는 순간
한점 우주의 안쪽으로부터
바람이 일어
바깥이 탄생하는 순간의 기적
한 티끌이 손잡아 일으킨
한 티끌을 향해
살아줘서 고맙다
숨결 불어넣는 풍경을 보게 되어
말할 수 없이 고마운 날
9월의 첫 시집은 김선우의 최신작 『내 따스한 유령들』 을 집어들었다. 2012년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에서
지금 마주본 우리가 서로의 신입니다
나의 혁명은 지금 여기서 이렇게
라고 말했던 시인은 이 시집에서 그 생각을 더 넓고 더 깊게 파고 들어간다. 우리 모두는 ˝우주먼지로 만들어진˝ ˝티끌˝처럼 작은 존재지만, 한 티끌이 스러지려는 또 한 티끌을 일으켜 주려 손을 내미는 것, 그런 것이 혁명이고 아름다움이라고 시인은 읊조린다. 나는 김선우 시인의 이런 시선이 참 좋다. 이 시인에게선 언제나 사람 내음이 풀풀 난다. 우리가 우리 속의 비루함들을 조금이나마 털어낼 길, 그 길을 시인은 ‘연대‘로 본다.
인간이 만든 세상의 참혹함
그럼에도 존재하는
어떤 아름다움들
고통에 연대하는 간곡한 마음들.
작고 여리고 홀연한 그 아름다움들에 기대어
오늘이 탄생하고 내일이 기다려집니다.
고맙습니다. 세상의 무수한 스승들이여. (<시인의 말> 중)
김선우 시인이 지난 1년간 많이 아팠던가 보다. 자신의 건강을 염려해준 독자들에게 응답을 하는 마음으로 이 시집을 엮었다고 한다. 그에게 시인의 책무란 ˝시로 눈물과 기쁨과 위로와 아름다움이 되는 자리를 돌보는 일˝이기에.
김선우 시인을 누나라고 부르는 박준 시인의 추천사는 부러운 정겨움을 담뿍 담고 있다.
<『내 따스한 유령들』 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지만 사실 나는 시인의 시를 이야기할 수 없다. 다만 언제나 그랬듯 읽을 뿐이다. ‘너 무슨 일 있지‘ 하고 안부를 물어주는 시. ‘나도 무슨 일 있어 그런데 이제 괜찮아‘ 하고 말해 오는 마음. 그리고 이 끝에서 들려오는 깔깔.>
깔깔. 웃음소리가 가장 아름다운 사람. 김선우. 아침저녁 날은 스산해졌지만 이 시집으로 마음은 더욱 따스해질 듯하다.
더불어, 글로만 마주하는 당신들, 그대들도 나의 신이자 스승이자 내 따스한 유령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