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01 #시라는별 45
바닥
- 박성우
괜찮아, 바닥을 보여줘도 괜찮아
나도 그대에게 바닥을 보여줄게, 악수
우리 그렇게
서로의 바닥을 위로하고 위로받았던가
그대의 바닥과 나의 바닥, 손바닥
괜찮아, 처음엔 다 서툴고 떨려
처음이 아니어서 능숙해도 괜찮아
그대와 나는 그렇게
서로의 바닥을 핥았던가
아, 달콤한 바닥이여, 혓바닥
괜찮아, 냄새가 나면 좀 어때
그대 바닥을 내밀어봐,
냄새나는 바닥을 내가 닦아줄게
그대와 내가 마주앉아 씻어주던 바닥, 발다닥
그래, 우리 몸에 세 개의 바닥이 있지
손바닥과 혓바닥과 발바닥,
이 세 바닥을 죄 보여주고 감쌀 수 있다면
그건 사랑이겠지,
언젠가 바닥을 쳐도 좋을 사랑이겠지
박성우 시인의 <<자두나무 정류장>>은 가문 날의 단비처럼 읽히는 시집이다. 메마른 땅에 방울방울 떨어져 푸석해진 흙들을 촉촉히 적셔주는 단비 같다. 시인은 시를 쓰기 위해 멀리, 에둘러 가지 않는다. 자신이 발 딛고 사는 세상의 이모저모만 이야기할 뿐이다. 그 세상은 시인의 고향이자 시골 내음 풀풀 풍기는 전북 정읍이다. 그 세상 속 주인공들은 노루, 고라니, 닭, 소, 딱따구리, 오리알, 누에, 물까치, 이팝나무, 자두나무, 감나무, 해바라기, 참깨, 마늘밭, 살구나무, 목단꽃, 애호박, 풀과 소똥 같은 자연과 한천댁, 청동댁, 구복리댁, 윗집할매, 늙은 작부, 청암양반 같은 동네 사람들이다. 이 풍경을 그려내는 시인의 시선은 따스하고 정감 있다.
<바닥>은 이 시집의 첫 시다. 읽자마자 아, 이런 ‘괜찮아‘는 정말 괜찮아 라는 생각이 들었다. 바닥을 보일 수 있는 사이는 흔하지 않다. 대개는 가족일 터이고, 이따금 친구일 터이다. 때론 그 반대일 수도 있겠다. ˝바닥을 죄 보여주˝게 하는 것은 ˝사랑˝, ˝언젠가 바닥을 쳐도 좋을 사랑˝이라고 시인은 말한다. 그러나 마음 바닥을 여과 장치 없이 드러내게 하는 것은 분노인 것 같다. 손바닥과 혓바닥과 발바닥이야 ˝보여주고 감쌀 수˝ 있겠다만, 마음 바닥은 어디까지 보여야 할까. 얼마나 감쌀 수 있을까.
내가 요즘 산책할 때 눈여겨보는 바닥은 땅바닥이다. 7월. 빛은 더욱 강렬해지고 그림자는 더욱 짙어지는 계절. 빛과 그림자의 어울림이 도드라지는 계절. 빛과 그림자가 바닥을 쳐서 사랑의 무늬를 그려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