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평생 책읽기만 하며 살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그러니까, 자기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럴 수 있을까? 사실 욕심을 버리면 그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독서가 고급스런 취미도 아니고 말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그런 삶을 선택하지 않는다. 거기에 괴리감이 존재한다. 세상의 법칙이 하고 싶은 것만 살수는 없는 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소설은 우리가 못해본 세계를 보여준다. 우리가 꿈꾸던 세계를 그려낸다. 책을 읽기 위해서 자발적으로 백수가 되었다는 설정은 이전에는 어디에도 없었다. 오로지 책만이 삶의 모든 목적인 주인공은 독특하다. 인생에 성공도 실패도 없다. 그저 담담히 좋아하는 책을 한 권씩 읽어나갈 뿐이다. 아등바등 사는 우리들의 모습이 왠지 우습게까지 느껴진다. 저건 판타지야, 라고 느끼지만 왠지 모르게 부럽기도 하다. 단, 몇 달만이라도 저렇게 살고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
이 책은 2006년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사실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이라고 보기엔 조금 실망스럽다. 책을 이야기하는 책이지만, 그 책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니, 아이러니다. 책을 많이 읽은 독서가라면 특히 이 책의 구성이나 내용, 문체 등에서 실망을 금치 못할 것이다. 어떻게 이런 작품이 수상을 할 수 있었을까, 라는 의구심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그런 것을 무시하고 작품의 재미를 파고들자면 일단 공감대가 형성되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자신이 아는 책이 나오면 괜스레 반가워서 더 자세히 보게 되고, 모르는 책이나 작가가 나오면 자연스레 관심이 생기게 된다. 또, 이토록 많은 책을 읽고 싶다는 욕심도 든다. 언급하는 책들의 본문을 그대로 녹색 글씨로 인용해서 여러 권의 책들을 조금씩 맛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책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이런 면에서 여기에 등장하는 책들 때문에 호감이 들 수밖에 없으리라. 정작 이 책의 서사는 빈약하고 내용은 동어반복인 듯한 느낌이 들지만 말이다. 문장도 거칠다. 흡인력 있게 읽히지 않는다. 이렇게 많은 독서를 한 사람이 어찌 이럴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후에 읽은 정이현의 『달콤한 나의 도시』와 비교해도 그 차이는 확연해 보였다. 특히 독신 여성이 주인공이라는 것과 둘 이상의 친구들이 나온다는 점에서 유사한 면도 많았는데, 친구들의 생동감이라든지 캐릭터의 감정 이입 등에서 『달콤한 나의 도시』가 훨씬 능숙하고 세련됐다. 그러나 이 작품이 이 작가의 처녀작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아직 캐릭터들도 어색하고 이야기도 부족하지만 간혹 눈에 띠는 문장들이 엿보였다. 그리고 결코 이루기 힘든 꿈을 소설로나마 그려준 것은 또 반갑기 그지없는 일이 아닌가 싶다. 힘들게 살지 않고 책 이외에는 모든 것에 극단적으로 무심한 주인공. 이런 주인공은 독특하기도 하고 때론 답답하기도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귀엽기도 하다. 모든 것에 무심한듯 말하는 담담한 말투가 사실은 어리숙해 보이고 실제 속마음을 애써 부인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인상은 인용된 책들을 빼고는 실망을 금치 못한 소설이었다. 아버지나 외할머니, 친구 경, 유희, 채린 등 개성적인 캐릭터들도 충분히 살아있지 못해서 아쉬웠다. 너무 빠르게 표면적인 것만 보여주고 넘어간 느낌이었다. 여러모로 아쉽기만 한 책이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재미는 있었다. 흥미를 유발하는 제목과 다양한 책들이 인용된다는 점 때문에 이보다 내용이 더 엉망이었을 지라도 펼쳐보게 되지 않았을까? 내가 읽은 책이 4쇄를 찍었으니 판매도 꽤 된 모양이고 말이다.
책 뒤편에 실린 주례사 비평을 무시하고 그래도 이 책이 수상한 이유를 생각해보자면 가능성이 아닐까 싶다. 작가의 첫 소설책인 만큼 앞으로는 이 첫 작품이 아무것도 아니었다고 여겨질 정도로 멋진 작품이 나왔으면 좋겠다. 이토록 독서에 열정을 가진 작가라면 분명 더 나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