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의 바다 - 제12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
정한아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달의 바다
제12회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인 『달의 바다』는 내가 두 번째로 읽는 문학동네작가상 수상작이다. 첫 번째는 박민규의 등단작인 『지구영웅전설』이었다. 『달의 바다』를 읽게 된 것은 대산대학문학상을 수상했던 82년생의 젊은 작가가 쓴 소설이라는 점과 문학동네 여름호에 실린 수상 소감이나 사진 등에서 궁금증을 느꼈기 때문이었다. 또한, 소재 역시 매력적이었다. 최근 우주인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달의 바다’라는 제목을 갖고 우주인을 소재로 한 소설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이 소설은 우선 군더더기가 없는 깔끔한 구성이 돋보인다. 편지와 실제 상황이 교차되는 간결한 구조로 두 이야기가 따로 놀지 않고 잘 연결되어 있다. 고모가 보낸 편지 부분은 여러 사람들이 칭찬했듯이 문장의 밀도가 높고 흥미롭기까지 하다. 작가가 조사한 과학 지식을 잘 결합해서 우주비행사의 일면을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따스한 소설이다. 인물들은 각각 살아있고 매력적이다. 착한 소설이라고 할까? 악역이라고 할 수 있는 할아버지의 캐릭터는 중심에서 벗어나 있고 오히려 귀여워 보이기까지 한다. 그러나 이런 점들 때문에 부자연스러운 부분들도 있다. 첫 편지가 끝나고 시작되는 이야기에서 주인공은 자살을 결심하고 약을 사 모은다. 극단적인 자살이라는 설정이 제대로 실감이 나지 않는다.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작가가 글을 쓰기 위해서 억지로 설정을 일단 제공한다는 느낌이었다. 실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도 그런 부분들은 이야기에 잘 결합되어 있지 않고 따로 노는 느낌을 받았다.
분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하고 싶은 이야기를 충분히 하지 못한 면도 있을 것이다. 박민규의 『지구영웅전설』도 원래 쓴 분량보다 응모하기 위해 500매 정도를 덜어냈다고 하니까. 이야기를 충분히 할 공간은 적었지만 그 대신 『달의 바다』는 애초부터 제한된 분량 안에서 완벽한 구조를 짰을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이 구조가 이 소설의 백미였다. 손정수 문학평론가가 말했듯이 편지는 처음에는 진짜 이야기였다고 나중에는 거짓말이 되고 결국은 진실로 귀착되는 아이러니가 멋진 감동을 준다. 이 감동 때문에 이 소설이 갖는 무미건조한 부분들도 마지막에는 감동에 의해 잊을 수 있었다. 마지막을 멋지게 장식했다는 점에서 만족감을 충분히 주는 소설이었다. 물론, 이러니 문학동네 작가상을 수상할 수 있었겠지만.
이 작가를 평한다면 긍정의 힘을 잘 그리는 작가라고 할까? 아직 작가의 등단작인 「나를 위해 웃다」를 읽지 않았지만 당시 심사평을 보니 역시 긍정이라는 키워드가 나온다. 그리고 이 작품에서도 그 키워드는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삶을 긍정하는 힘을 작가는 잘 그리고 있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러리라 생각된다. 많은 가능성을 갖고 있는 작가인지, 어떤지는 아직 모르겠다. 책의 분량이 얇은 만큼, 가볍고 재미있게 읽었지만 다음 소설이 기대되냐고 묻는다면 모르겠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원고가 잘 되면 방을 나와 디스코를 추고 조용히 들어갔다는 작가의 수상소감을 쉽사리 잊히지 않을 것 같다. 그리하여 나는 삶을 긍정하는 이 작가의 진짜 이야기를 엿보길 원할 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
“세상은 언제나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야.”
고모는 부드럽게 웃었다.
“생각처럼 나쁘지는 않은데 늘 우리의 밑그림을 넘어서니까 당황하고 불신하게 되는 거야. 이렇게 네가 나를 보러 와준 것처럼 기대 밖의 좋은 일도 있는 거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는 거고. 고모는 그걸 알기 때문에 세상에 빚진 것이 없어.”
“그래서?”
“자유지.”
- 『달의 바다』, 문학동네, 정한아, 14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