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또 읽고
-
-
햄릿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햄릿
세계문학전집3
세계문학전집을 읽기로 작정하고 처음 읽게 된 책이 바로 『햄릿』이었다. 『햄릿』은 고전 중에 고전이라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아는 책이고 인물일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부끄럽게나마 햄릿을 제대로 정독해 본적이 없었다. 이미 내용은 다 알고 있었지만, 제대로 마음먹고 처음부터 끝까지 일독을 해본 적이 없었던 것이다. 워낙 유명한 책이기 때문에 내용을 전부 안 탓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막상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을 다 읽기로 결심하고 『햄릿』을 꺼내들자, 그냥 아는 것과 실제로 읽는 것의 차이는 어마어마했다. 단지 내용을 안다고 해서 『햄릿』을 안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햄릿의 유창한 말솜씨, 은유를 곁들인 환상적인 수사들의 향연을 직접 읽지 않는다면 『햄릿』의 참 재미를 느꼈다고 할 수 있을까? 난 책장을 끝까지 다 덮고 나서야 『햄릿』의 참 재미에 몸서리칠 수 있었다. 주인공 햄릿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연들의 대사, 행동, 생각 그리고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비극이란 비극은 다 모아놓은 듯한 상황설정들은 『햄릿』이 어째서 지금까지 끊임없이 읽히고 있는지를 깨닫게 해주었다.
또 그동안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로 유명한 대사를 “있음이냐, 없음이냐”로 옮긴 것도 퍽 인상적이었다. ‘Be or Not To Be’를 그렇게 번역한 까닭은, 『햄릿』은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라, 복수라는 행위가 인간의 존재에 미치는 영향과 그 행위의 본질을 추구한 극이다'라는 해석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하는데, 그런 까닭인지 『햄릿』 내용 자체가 새롭게 읽히기도 했다. 시대에 따라, 항상 고전은 새롭게 번역되어야 한다는 취지하에 민음사 세계전집이 만들어졌는데, 그 성과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당시 시대에서만 쓰이던 속담이나 은유를 해석해준 주석도 텍스트 해석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미 내용을 대충 알고 있다고 읽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실제 아는 것과 읽는 것의 차이는 크다. 또한, 오래전에 나온 책이라고 재미없다고 생각할 필요가 없다. 지금도 읽힐만한 충분한 재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그 화려한 대사들은 지금 봐도 눈부실 지경임에 틀림없다. 분량도 짧고 가격도 저렴한 편이니 아직 제대로 읽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꼭 한 번 일독을 권하고 싶다. 읽고 나서는 자연스레 셰익스피어의 다른 작품도 찾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