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1931년 작 <프랑켄슈타인>의 공인된 속편이자 걸작이다. 신기하게도 <프랑켄슈타인>에 이어 이 영화를 보면 무언가 맥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 전편에서 느꼈던 기대감을 속속들이 배반당하는 느낌. 그것은 이 영화가 ‘아이러니’로 가득 차있기 때문이다.

   영화는 원작자인 메리 셜리, 남편 퍼시 비시 셸리(Percy Bysshe Shelley), 그리고 바이런 경(Lord Byron)의 대화로 시작한다. (이는 소설의 1831년판 서문을 각색한 것이다.) 바이런 경은 전편의 내용을 복기하면서 메리 셜리에게 더 이야기를 해달라고 보챈다. 메리 셜리는 “관객들은 이런 내용을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이라 운을 떼며 남은 이야기를 한다. (여기서 관객이란 영화를 보는 우리일 수도, 영화상에서 이야기를 듣는 바이런과 퍼시일 수도 있겠다.) 그리고 시작되는 아이러니의 연속.

   사람들은 괴물을 생포해 마치 예수처럼 나무에 묶어세운다. 그런데 예수는 신의 아들로 십자가에 묶인 후에 죽고 부활하지만, 인간의 아들인 괴물은 죽음에서 부활한 후 십자가에 묶인다. 잠깐이지만 숲속의 맹인 노인과 ‘우정’을 경험한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에게 ‘친구’를 만들어 달라 요구한다. 그런데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의 친구를 동성이 아닌 ‘여성’으로 만든다. 프랑켄슈타인의 파트너인 프리토리우스 박(Doctor Pretorius)는 그들이 함께 만든 괴물을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라 칭한다. 그런데 실제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엘리자베스’다. 엘리자베스는 ‘프랑켄슈타인의 신부’가 완성된 순간 정확하게 그 공간에 도착한다. 그곳에는 프랑켄슈타인 혼자 낳은 자식인 ‘괴물’과 프랑켄슈타인과 프리토리우스가 함께 낳은 ‘프랑켄슈타인의 신부’가 있으며 이들은 이상한 가족관계를 형성한다. (동성부부-아들-딸이자 아버지의 부인-남매이자 친구-그리고 아버지의 '공인된' 이성 부인)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종교적인 동시에 신성모독적이고 죽음과 부활, 절망과 구원을 함께 다루고 있다. 장르는 수시로 탈바꿈하고 지나치게 탐미적이다. 메리 셜리의 원작에 기대어 있으면서도 원작을 부수는 동시에 다시 원작으로 돌아온다.

   공포영화라 하기엔 밋밋하고, 코미디라 하기엔 진지하며, 패러디라 하기엔 진중하고, 취향을 탄다고 말하기에는 보편적이다. 모든 것이 스며들어 울퉁불퉁하지만, 그 자체로 하나의 오리지널리티를 확보한 괴물 같은 작품.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제임스 웨일이 창조한 ‘괴물’이다. 그리고 그것은 괴물이라 칭하기엔 너무나도 경외스런, 하나의 종(種)이라 할만하다. 

   2014년 1월 24일 블루레이로 시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29회 - 태종은 여흥삼아 필마弼馬의 관직을 내리고 심원은 고통 속에서 제천의 이름을 부르짖다


p.289

“전하, 아니 폐하, 이제 앞으로 즉위식을 거행할 일만 남았군요.”

“하핫, 아직 폐하는 이르니라.”


   중국 송나라의 고승(高丞)이 편찬한 『사물기원(事物紀原)』에 따르면 천자에게는 폐하(陛下), 임금에게는 전하(殿下), 장군에게는 휘하(麾下), 높은 벼슬아치에게는 각하(閣下)라는 존칭을 쓴다고 했다. 천자가 집무하는 용상으로 오르는 돌계단을 ‘폐(陛)’라 하는데 그 돌계단 아래인 뜻인 폐하는 천자, 곧 황제에게만 쓰는 존칭이다. 이는 존대하는 사람이 거처하는 건물이나 발아래에서 우러러본다는 뜻에서 존칭이 된 것이라 한다. 그보다 한 등 낮은 호칭이 전하인데 진한(秦漢)이래 왕비, 세자 그리고 제왕들의 존칭이다. 『요원전』에서 아직 왕인 이세민은 ‘폐하’라는 말을 사양하지만, 이후로 그의 신하들은 계속 이세민을 ‘폐하’라 부르고 이세민 또한 더 이상 거부하지 않는다. 형과 아우를 죽이면서까지 원했던 자리였는데 더 이상 거부할 이유가 없지 않겠는가!



p. 294

“관직은... 그래... 필마온弼馬溫이라 함은 어떨까. 재미있잖나.”


   필마온에 대한 설명은 p.293~p.294에 걸쳐서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조금 더 부연하자면 다음과 같다. “중국 민담에 원숭이가 말의 역병을 물리친다 하여 ‘피마온(避馬瘟)’이란 용어가 있는데, 여기서 벼슬 이름으로 사용한 것은 ‘필(弼)’과 ‘피(避)’, ‘온(溫)’과 ‘온(瘟)’이 모두 중국어의 같은 발음 ‘비bi’와 ‘웬wen’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바꾸어 쓴 것이다.” (임홍빈 역 『서유기』제1권 제4회 주2에서 인용)

   『요원전』에서 손오공은 무지기(無支祁)로부터 ‘제천대성(齊天大聖)’의 칭호를 물려받은 후에 당태종으로부터 ‘필마온’이란 직함을 받는 것으로 나오지만, 『서유기』에서는 그 반대다. 손오공이 자신의 신통력으로 용궁과 유명계에서 분탕질을 치자, 옥황상제(玉皇上帝)는 더 이상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손오공을 하늘로 불러들여 천마(天馬)를 돌보는 필마온(弼馬溫)이라는 벼슬을 준다. 후에 필마온이라는 품계가 하찮은 것을 알자 성을 내고 근무지를 무단이탈, 다시 화과산으로 돌아온다. 그 때 마침 찾아온 독각귀왕(獨角鬼王)이 “대왕처럼 놀라운 신통력을 지닌 분을 한낱 비천한 말먹이꾼에 임명하다니, ‘제천대성’이 되신다 한들 어떤 작자가 안 된다고 막겠습니까?”라고 말하는 것을 듣고 스스로 ‘제천대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훗날 태백금성(太白金星)의 중재로 옥황상제에게 ‘제천대성’이라는 벼슬을 정식으로 받지만, 그것은 손오공을 천궁에 잡아두기 위해 만든, 허울뿐인 유관무록(有官無祿)의 벼슬일 뿐이었다.

   『요원전』과 『서유기』의 공통점이라면, 이 ‘필마온’이라는 직책은 손오공을 조롱하는 표현으로 쓰인다는 것이다.



p.297

“원망은 마십시오, 숙부님. 저도 여유가 없는 데다 또 놈들에게 미주알고주알 털어 놓으시면 곤란하니...”


p.317

“어마마마! 어째서 이런 놈과...! 어마마마께는 이 나타가 있지 않사옵니까!”


   홍해아는 자신의 아버지(나 다름없는) 두건덕(竇建德)의 죽음을 복수하기 위해 이세민을 죽이려고 하고 있다. 그런 와중에 아버지의 복수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해 자신의 작은 아버지(叔父)를 죽이고 나타의 아버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아버지를 살해하고 능욕한다. 게다가 지용부인은 홍해아에게 스스로를 ‘엄마’라 부르게 한다.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가 쏟아져 내린다.



p.303

“그 청원서라면 내 반려했을 것이야! 서쪽 옥문관玉門關 너머로는 일절 통행이 금지되어 있음을 모르느냐!”


p.311

“으음... 어차피 당도 아직 건국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나라 안의 질서가 완전히 바로 서지 않았네. 하주夏州에서는 양사도梁師都가 아직도 반기를 들고 있고...”


   당 건국 초기에는 나라의 기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가 백성들의 이동을 아예 차단했다. 국경을 통과할 때 필요한 통행증 ‘과소(過所)’의 발급을 금지한 것은 물론이고 국경커녕 옆의 지역조차 이동을 금지했다. 그런 상황에서 627년에 천축행을 결심한 국경 근처까지 갈 수 있었던 것은 이상기후로 인해 식량난이 생겨 수도에 밀집한 인구를 흩어지도록 자유 통행을 허가하는 칙명이 내려졌기 때문이었다.

   이 이상기후로 인한 식량난은 『요원전』에서 또한 기막히게 다룬다.



p. 310

“지난번에는 웬 요물 원숭이가 나오는가 싶더니 이번에는 귀신이 떠돈다니...”

“세상에 그런 일이...”

“순시 중이던 군사나 환관 중에서도 본 자들이 있다지. 월화문에서 액정궁쪽으로 유유히 활보하는 걸 봤다던가...”


p.313

“이세민! 이세민- 제위를 내놓아라-”


   『삼교수신대전(三敎搜神大全)』에 “전설에 따르면 당태종이 병이 났을 때, 침문 밖에서 귀신이 이름을 부르고 침문 밖에서 벽과 기와를 던지며 희롱했다(按傳,唐太宗不豫。寢門外拋磚弄瓦、鬼魅呼號)”는 기록이 있다. 『요원전』에서는 이 짧은 기록을 바탕으로 『서유기』의 나타태자와 당태종의 저승구경 에피소드를 한데 묶어버렸다. 이쯤 되면 모로호시 선생이 허구와 역사를 엮어나가는 모습은 절묘함을 넘어서 신묘함에 가깝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다.

   『삼교수신대전』을 조금 더 인용하자면, “겁이 난 태종은 진숙보(秦叔寶)와 호경덕(胡敬德) 두 장수를 불러 자신이 자고 있는 방문을 지키게 했는데 그렇게 했더니 별일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두 장군이 후에 세가(世家)의 문신(門神)이 되었다고 하는데, 이 역시 『요원전』에서 다루고 있다.



p.311

“법현 법사께서도 열여섯이 넘어서야 천축으로 구법求法의 길을 떠나셨다지 않나. 너무 조급히 굴지 말게...”


   열여섯 → 예순


   법현(法顯)은 동진(東晋) 시대의 승려로, 당시 중국에 불전이 완비되어 있지 않은 것을 한탄해 399년 60여 세 노령의 몸으로 인도로 떠난 승려이다. 412년에 귀국했으며 『마하승지율(摩訶僧祗律)』, 『대반니항경(大般泥恒經)』 등 6부 63권에 이르는 계율을 한역한 후, 형주 신사(辛寺)에서 사망했다. 우리에게는 『불국기(佛國記:高僧法顯傳)』로 알려져 있다.



p.313

“위지 장군, 나왔나이다! 오늘 밤은 남쪽 담장입니다!”


   위지 → 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에 새로이 출시되는 왕가위(王家衛)감독의 <열혈남아>의 한자 표기가 잘못 되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블루레이와 디브이디 공히 "旺角下問"으로 되어 있는데, 오기다. "旺角卡門"이 맞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일까?

 

   원래 이 영화의 원제는 <몽콕하문>이다. 그런데 수입사에서 이런 이상야릇한 제목으로는 흥행이 별로일 것이라 생각했는지, 당시 유행한 홍콩 느와르 영화들의 분위기에 편승해 조금은 촌스러운 제목의 <열혈남아>로 개봉이 되었다. 그리고 이 영화는 한국에서 빅히트를 기록하게 된다.

 

   기이한 사실은 왜 <旺角卡門>이 <몽콕하문>으로 불리게 됐는지다. 이 제목은 일반 홍콩영화처럼 사자성어가 아니라 두 개의 단어가 합쳐진 것이다. '旺角'은 홍콩의 번화가인 '왕자오'를 가리키고 '卡門'은 조르주 비제(Georges Bizet)의 오페라 '카르멘(Carmen)'의 음차어이다. 해석을 하자면 <왕자오 (거리)의 카르멘> 정도가 될 것이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왕자오'는 영어식 표기인 '몽콕'으로 '카르멘'은 그냥 한글 음차 '하문'인 국적불명의 사자성어로 둔갑했고, <열혈남아>의 원제는 <몽콕하문>으로 굳어지게 됐다.

 

   아마도 <旺角卡門>이 <旺角下問>으로 둔갑하게 된 이유에는 제작사의 귀차니즘이 발동해서 그런 게 아닐까 감히 짐작해본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몽콕하문을 다음이나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卡'자가 대개 '?'로 표기된다. 그 '?'를 확인하기 귀찮아 '하'자 중 가장 유명한 '下'를 표기하고, 그 옆에 표기된 '門'자 조차도 제대로 확인을 하지 않아 '問'으로 표기한 게 아니었을까. (혹시 아래한글 자동 한자바꾸기로 돌려 첫 번째 변환 단어를 넣은 것은 아니겠지...) 기왕에 원제를 표기하기로 했으면 제대로 표기하던가(IMDB나 Wikipedia 정도만 검색해도 정확한 제목이 나온다), 그도 아니면 검수라도 한 번 했으면 됐을 것을. 아니면 한글제목 옆에 작게 표기라도 하지, 아웃케이스, 슬리브, 디스크, 소책자 보이는 곳마다 오타를 큼직하게 박아놨으니... 이러다 <春光乍洩>은 <春光社說>로 출시되지 않을까 살짝 걱정이 든다. 


   설마 그럴 일이야 없겠지만서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를 쉽게 교체할 수 있기 위해 통조림처럼 평평하게 만든 머리, 번개를 끌어들이기 위해 목에 박아 넣은 큰 못, 위압감과 순수함이 동시에 드러나는 복잡 미묘한 표정. 우리가 생각하는 괴물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미지는 이 영화에서 시작됐고 완성되었다. 이후에 제작되는 모든 프랑켄슈타인 관련 영화들은 이 영화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의 이름이 아니라 괴물을 창조한 과학자의 이름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잘못 알고 있다. 아마도 그런 오해를 증폭시킨 것은 바로 영화 포스터 때문이 아니었을까? ‘프랑켄슈타인’이라는 타이틀 밑에 그려진 괴물의 이미지는 ‘괴물=프랑켄슈타인’이라는 공식을 무의식적으로 인식하게 한 것일지도 모른다. 게다가 그 이후에 나오는 속편들의 제목 또한 그런 오해를 만들기에 충분했다.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아들, 집, 기타 등등.>) 그만큼 이 영화에 등장한 괴물의 이미지는 강력했다. 이 모든 것은 이 영화를 연출한 제임스 웨일(James Whale)의 비전과 잭 피어스(Jack Pierce)의 분장, 괴물을 연기한 보리스 칼로프(Boris Karloff)의 뛰어난 능력 때문이었다.

   페기 웨블링(Peggy Webling)의 희곡을 각색한 영화는 메리 셸리의 원작과는 꽤 많은 차이가 있다. 원작에서 주인공인 빅터 프랑켄슈타인과 그의 친구인 앙리 클레르발이 영화에서는 헨리 프랑켄슈타인(Henry Frankenstein), 빅터 모리츠(Victor Moritz)로 서로 뒤섞여 있다. (조금 더 들어가자면, 영화에서 프랑켄슈타인의 정확한 이름은 ‘하인리히 헨리 프랑켄슈타인, Heinrich “Henry” Frankenstein’이다. 이 중 ‘하인리히’는 원작에서 프랑켄슈타인이 생명의 신비에 빠져들도록 한 16세기 독일의 마술사이자 오컬트 작가이자 신학자이자 점성가이자 연금술사인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 폰 네테쉼, Heinrich Cornelius Agrippa von Nettesheim’에서 따온 것이다.) 게다가 빅터 모리츠는 절친인 헨리 프랑켄슈타인과 그의 애인 엘리자베스 라벤차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원작에서 두루뭉술하게 넘어갔던 프랑켄슈타인의 창조 행위는 영화의 1/3을 할애하면서 감독의 역량을 맘껏 쏟아 붓는다.

   영화는 권선징악의 해피엔딩으로 끝이 나지만, 찜찜한 구석을 지울 수는 없다.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은 악이라기보다는 백치에 가까운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가 살인을 저지르기는 하지만, 그것은 어떤 의도가 있었다기보다는 그가 (방금) 배운 논리에 따른 행동이었다. 공동체에 속하고 싶지만 남들과 같지 않아 공동체에서 배척당하는 괴물. 후에 팀 버튼(Tim Burton)이 창조해낸 수많은 사랑스런 괴물들의 모체가 바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이다.

   2014년 1월 21일 블루레이로 시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J. 설 다우리(J. Searle Dawley) 감독의 1910년 작 <프랑켄슈타인>은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을 각색한 최초의 영화이다. 무성영화에 10분 남짓한 상영시간으로 원작의 내용은 대폭 수정되었는데(그 때문인지 영화 처음에 “셸리 여사의 소설을 자유롭게 각색”했다고 명시했다), 원작에서 차용한 부분 중 절반 이상이 프랑켄슈타인이 괴물을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영화는 총 9개의 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신을 설명하는 자막은 다음과 같다.

 

#1 프랑켄슈타인이 대학으로 떠난다.

#2 2년 후 프랑켄슈타인은 생명의 신비를 알아냈다.

#3 실험 직전.

#4 완전한 인간 대신에, 프랑켄슈타인의 마음 속 악마가 괴물을 만든다.

#5 프랑켄슈타인은 그가 만든 무시무시한 피조물의 광경에 끔찍한 충격을 받는다.

#6 귀향.

#7 프랑켄슈타인이 만든 피조물이 나타나고 처음으로 그 자신을 본 괴물은 창조주의 애인을 질투한다.

#8 결혼식 밤, 프랑켄슈타인의 착한 심성이 발휘되기 시작한다.

#9 사악한 마음의 피조물은 사랑에 압도당하여 사라진다.

 

   이 중 프랑켄슈타인의 창조 과정이 흥미로운데, 과학적인 방법이 아니라 (마치 마녀처럼) 마법으로 ‘괴물’을 창조해낸다는 점이다. 이것은 프랑켄슈타인이 창조가 과학이 아닌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사악한 의도’로 ‘생명’을 창조해낸다는 것은 악한 행위를 설명하는 영화적 표현이기도 하다.

   워낙 짧은 시간에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탓에 프랑켄슈타인과 괴물과의 갈등이 단순해진 점은 있지만, 재치 있는 반전으로 영화를 마무리한 점, 그리고 ‘처음으로’ 프랑켄슈타인이 만든 ‘피조물’의 모습을 스크린에 탄생시켰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언급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2014년 3월 13일 유튜브에서 시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