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질 결심 각본
박찬욱.정서경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본집을 좀 알고 싶은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하바라따 3 - 2장 회당: 세상을 건 노름 : 명예와 혼을 팔아 천하를 얻은 자, 형제와 아내와 자신을 팔아 명예를 잃은 자 마하바라따 3
위야사 지음, 박경숙 옮김 / 새물결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내가 『마하바라따』에 대해 이토록 지리한 글을 쓰게 된 이유는 바로 이 3권 때문이다. 앞선 1, 2권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초보적인 실수와 부족한 설명이 책을 읽는 나를 계속 멈추게 하고, 기어이 다른 판본의 번역과 위키 검색까지 이르게 했기 때문이다. 능동적인 독서를 이끌었다는 점에서는 위안을 받을 만하지만, 그래도 단군 할아버지께서 이 나라를 세운 이후로 처음 출간되는 완역본인데 너무나 많이 아쉽다. 완전한 모습을 갖추어 완간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 몇 자 적는다.

 

 

§2-15 (『마하바라따』 3권 p.73 3째 줄)
위력으로 이름을 떨친 가문에서 태어났음에도 위력을 보이지 않는 자가 무엇을 하겠습니다.

 

하겠습니다. → 하겠습니까.

 


§2-19 (3권 p.90 마지막 줄~p.91 2째 줄)
산처럼 우람한 용사들의 팔에는 전단향과 아구루가 발려 있었으며 빛으로 충만했다.

 

→ 아구루 각주 누락.

 

   각주에는 아구루가 빠져 누락 되어있었지만, 1-118(2권 p.553)에 각주로 설명이 되어 있다. ‘아구루_ 알로에.’ 기왕 찾는 것, 전단향의 뜻도 몰라 사전을 찾아봤다.

 

전단(栴檀/旃檀)
인도에서 나는 향나무의 하나. 목재는 불상을 만드는 재료로 쓰고 뿌리는 가루로 만들어 단향(檀香)으로 쓴다. ≒전단향.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Kisari Mohan Ganguli Translation
And the arms of those warriors, O king, besmeared with sandal paste, looked like the trunks of sala trees.

 

sandal
=sandalwood
백단유(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나무 백단향(sandalwood)에서 채취하는 기름으로 향수의 원료)
(출처:Oxford Advanced Learner's English-Korean Dictionary)

 

   Ganguli의 번역을 찾아보다 하나 더 알아낸 점. 1-68 (1권 p.343) 각주에 ‘샬라 나무_ 곧고 큰 나무’로 설명이 되어 있는데, 아마 위의 sala tree와 같은 나무인 것 같다. 설명을 조금 더 붙이자면 다음과 같다.

 

sala tree
=Ashvakarna, Chiraparna, Sala, Sarja(산스크리트), Jall, Salwa, Shal(힌디), Sakher, Sakhu, Salwa(뱅골), Shal(인디), Attam, Shalam(타밀)
히말라야 산기슭부터 인도 전역에 퍼져 있는 반 낙엽성의 나무로 높이는 3m에 달한다. 인도에서는 목질이 좋아 건축자재, 침목으로 쓰이는 등 주요 산림식물의 하나이며, 수지는 힌두교에서 향으로 사용하고, 기근 때는 열매를 빻아 밀가루에 섞어 먹기도 했다.
(출처:경전 속 불교식물, 이담북스)

 

 

§2-20 (3권 p.95 7째 줄, 14째 줄)
-당신의 아들과 대신들, 군사들 모두 함께 염라대왕 앞으로 가려고 하지 마시오.
-우리와 싸우든가 아니면 모든 왕들을 풀어주고 염라대왕에게 가는 길을 피하든가 하나를 택하시오.

 

§2-37 (3권 p.156 8째 줄)
-최상의 왕이여, 생각이 모자란 쉬슈빨라는 여기 모인 왕들을 하나도 남김없이 염라대왕 앞으로 보내려 하고 있소.

 

§2-51 (3권 p.206 1째 줄)
-질병도, 죽음의 신 야마도 영광을 얻을 때까지 기다려주지 않습니다.

 

§2-68 (3권 p.290 14째 줄, p.293 11째 줄)
-욕망과 탐욕에 찌들어 너를 따르는 무리들과 네 친지들도 모두 함께 염라대왕 계시는 황천으로 보내주리라.
-두료다나의 속셈에 따라 그에게 잘 보이기 위해 주사위를 던지며 여기 이 야즈냐세나의 딸을 거친 말로 능멸했던, 운명의 독촉을 받아 죽으려고 환장한 악독한 드르따라슈트라의 아들들에게 야마의 왕국을 보여주리라.

 

   1-220 (2권 p.897)에서 이미 ‘야마’로 표기하고 각주에 설명까지 했는데, 3권에서는 야마와 염라대왕을 번갈아가면서 쓰고 있다. 혹여 원전에서 다른 표현을 썼나 싶어서 Ganguli의 영역본을 살펴봤지만, 모두 Yama(야마)로 표기되어 있다. (원본을 비교하지 않고 번역본을 비교한다는 게 위험한 일이긴 하지만, 달리 방법이 없어 이런 방법을 선택했다. 원본이 다른 표현을 썼다면 Ganguli 역시 다른 표현을 썼겠지만, 모두 Yama로 통일되어 있다.) 혹시나 해서 이와 비슷한 표현을 찾아봤지만, Yama로 표기되어 있다. (1-180 (1권 p.745)에 ‘저승의 왕이 죽음의 지팡이 집어 들 듯’이라는 구절은 ‘like unto the mace-bearing king of the dead (Yama) armed with his fierce mace’로 되어 있다.) Ganguli의 번역은 다음과 같다.

 

Kisari Mohan Ganguli Translation
-Go not, O king, with thy children and ministers and army, into the regions of Yama.
-Fight standing before us. Either set free all the monarchs, or go thou to the abode of Yama.
-O child, O thou foremost of all monarchs, this Sisupala possessed of little intelligence is desirous of taking along with him all these kings, through the agency of him who is the soul of the universe, to the reigns of Yama.
-Neither sickness nor Yama waiteth till one is in prosperity.
-And they also who from anger or covetousness are walking behind thee as thy protectors,--them also shall I send to the abode of Yama with their descendants and relatives.
-'I shall certainly send unto the abode of Yama all those wicked sons of Dhritarashtra, who desirous of death and impelled by Fate, and moved also by the wish of doing what is agreeable to Duryodhana, have used harsh and insulting speeches towards this daughter of Yajnasena at the gambling match.

 

   야마와 염라대왕 모두 같은 표현이긴 하지만, ‘염라대왕’은 『마하바라따』에서 좀 뜬금없게 느껴지는 표현이다. 대체할 단어가 없었다면 이해하겠는데, 앞에서 충분히 설명까지 했으면서 왜 그랬는지. 단어 선택에 대한 확고한 기준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런 기준 없는 단어 표기가 하나 더 있는데, 바로 '만뜨라'다. 1-104/113/114에서는 ‘만뜨라’를 ‘진언’이라 번역했는데, 1-176에서는 ‘만뜨라’라 표기하고 밑에 주석을 달았다. 원문은 다 같은 만뜨라인데, 우리말로 대체가 가능한 만뜨라와 대체가 불가능한 만뜨라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지 정말로 궁금하다.

 

Yama
산스크리트어로 '쌍둥이'와 '제어(制御)'를 의미한다. 죽은 이의 영혼을 다스리고 생전의 행동을 심판하여 상벌을 주는 저승세계의 우두머리다. 아버지는 태양신 비바스바트, 어머니는 구름의 여신 사라뉴이며, 누이동생인 야미(Yami)와는 쌍둥이 사이다. 왕, 또는 통치자를 뜻하는 단어 '라자(राजा, rājā)'를 덧붙여 '야마라자(यमराज, Yamarājā)'라고도 한다. 대서사시 《마하바라타》에 이르러서는 피처럼 붉은 옷을 입고 왕관을 쓴 무서운 사신(死神), 또 지옥의 주인으로 묘사된다.
《리그베다》에 따르면, 최초의 인류로서 죽음을 처음으로 경험했기 때문에 저승세계의 왕이 되었다. 지옥에서 귀졸(鬼卒)로 하여금 죄인을 고문·심판하게 하여 무거운 고통을 지운다고 한다. 불교에서는 욕계 육천 중 세 번째 하늘의 신인 야마천(夜魔天)으로 수용되었다. 이후 염라대왕(閻羅大王), 또는 염마(閻魔)로 이름이 바뀌면서 귀신세계의 주인, 명계의 지배자가 되었다. 또한 일본불교 등에서는 인간을 구원하는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출처:두산백과)

 

 

§2-26 (3권 p.115 2째 줄)
그곳에서 다샤르나의 왕 수다르만와 비마 간에 전율을 일으키게 하는 치열한 격투가 벌어졌답니다.

 

수다르만와 → 수다르만과

 


§2-33 (3권 p.143 15째 줄)
유디슈티라여, 스승과 사제, 친지, 스나따까, 동지 그리고 왕, 이 여섯은 아르갸로 잘 섬겨야 한다고 했소.

 

   아르갸에 대한 설명이 빠져있다. 1-54 (1권 p.269 주)에 설명이 되어 있는데, 왜 3권에는 누락시켰는지 모르겠다. 이 단어의 중요성으로 따지자면 1권보다는 3권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르갸는 소단원의 제목이기도 하다.)

 

아르갸_ 발 씻을 물과 마실 물, 꽃, 꿀과 요구르트를 섞은 마두빠르까 등으로 구성되며 손님 접대에 쓰인다. 발 씻을 물 등과 중복해서 쓰이는 경우가 있다. 그때는 그냥 간단한 손님 접대용 선물을 말한다.

 

Babubhai Mistri 감독의 1965년 영화. 자리에 앉은 끄르슈나의 발에 비슈마가 아르갸를 뿌리고 유디슈티라가 씻기는 장면.

 

§2-42 (3권 p.170 20째 줄)
쉬슈빨라가 그런 말을 하는 동안 격노한 적의 응징자 끄르슈나는 수다르샤나로 (......) 말았다. (생략 부분 내용 누설)

 

Babubhai Mistri 감독의 1965년 영화. 끄르슈나가 수다르샤나를 돌리고 있다.

 

   1-17 (1권 p.158) 각주로 설명이 되어 있긴 하지만, 나라, 하리, 위슈누, 고윈다, 끄리슈나가 모두 같은 인물이라는 것을 알기란 쉽지 않다.

 

 

§2-52 (3권 p.215 12째 줄)
왕은 다정하게 꾸루의 후예들, 비마를 위시한 네 명의 빤다와들의 머리 냄새를 맡았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다. 1-69 (1권 p.347)에 각주로 설명을 달아놨지만, 이런 독특한 표현들은 지속적으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머리 냄새를 맡으며_ 아랫사람을 향한 정을 표시할 때 머리를 자기 코에 대고 냄새를 맡는 것이 인도인들의 관습이다.

 


§2-56 (3권 p.227) 각주
쁘리빠따_ 샨따누 왕의 아버지

 

   ‘샨따누 왕의 아버지’라고만 설명을 하면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샨따누 왕의 아버지란 두샨따 왕을 가리키며, 두샨따 왕과 샤꾼딸라, 그리고 아들 샨따누에 대한 이야기는 1-62~69 (1권 p.316~P.348)에서 확인할 수 있다.

 

 

§2-60 (3권 p.244 13째 줄~p.245 1째 줄)
드라우빠디여, 노름에 미친 유디슈트라에게서
두료다나가 당신을 따냈습니다.
드르따라슈트라의 처소로 가십시오.
야즈냐세니여, 당신이 일할 곳으로 내가 인도하겠습니다.

 


드라우빠디여, 노름에 미친 유디슈트라에게서
두료다나가 당신을 따냈습니다.
드르따라슈트라의 처소로 가십시오.
야즈냐세니여, 당신이 일할 곳으로 내가 인도하겠습니다.

 

   작은따옴표의 위치가 잘못되어 있다. 때문에 드라우빠디와 야즈냐세니가 동일 인물이 아니라 다른 인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유는 드라우빠디가 야즈냐세니로 불리운 게 거의 없기 때문인데, 1-182 (2권 p.751 15째 줄)에서 야즈냐세니로 한 번 불리고 이후로는 드라우빠디로 불리기 때문이다. 야즈냐세니에 대한 각주는 1-153 (2권 p.664) 각주 ‘야즈냐세나’ 항목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냥 이 위치에서 따로 각주 항목을 만들어주는 게 이해하기 쉬울 것 같다.

 


§2-71 (3권 p.301 11째 줄)
백성의 주인이시여, 분명 일식이 아닌데도 라후는 해를 삼켰고, 운석은 왼쪽으로 떨어졌답니다.

 

   각주에 해설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1-17 (1권 p.158)에 자세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정확히는 1-15~17 (1권 p.152~160)를 참조하면 된다. 앞에 언급된 내용이 있으면 이렇게 알려주는 편이 더 나을 듯하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돌궐 2015-01-26 11:2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었던 책인데 서평 잘 봤습니다. 나중에 참고할게요.

Seong 2015-01-26 11:58   좋아요 1 | URL
고맙습니다.

재미있으니 꼭 읽어보셔요.
^^

라로 2015-01-26 11: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Tomek 님 무척 학구적이시네요!!!!!잘 읽었습니다. ^^

Seong 2015-01-26 11:58   좋아요 1 | URL
아니예요. 읽고 정리하니 그리 보일 수도 있는가봐요. ^^

고맙습니다.

박경숙 2015-07-12 17:55   좋아요 2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마하바라따 역자입니다. 어쩌다 이 글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몸을 비틀만큼 여러 번 되읽어도 보이지 않던 실수들이 이렇게 맨낯으로 드러나네요. 좀 더 엄밀했어야 함을 뼈아프게 느낍니다. 초역과 중역에서 혼선을 빚다가 최종역까지도 옮길 말을 결정하지 못했던 만뜨라... 같은 단어들이 있었습니다. 염라대왕이라고 옮긴 단어는 yamakshaya, 즉 야마의 영토 혹은 야마의 거처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염라대왕이라는 표현을 야마로 다 바꿨다고 안일하게 생각했습니다.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 각주는 앞선 권에서 했던 것이면 읽는 데 방해가 될까하여 되도록 빼려고 했는데 불편하셨나봅니다. 아픈 지적...경책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Seong 2015-07-15 08:29   좋아요 2 | URL
직접 댓글을 달아주시니... 고맙습니다.

이종희 2016-07-23 15: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박경숙닝의 일생을 건 분투에 감사를 드립니다. 읽고 또 읽고 몇번을 읽고도 또 읽고 싶네요.
 
마하바라따 3 - 2장 회당: 세상을 건 노름 : 명예와 혼을 팔아 천하를 얻은 자, 형제와 아내와 자신을 팔아 명예를 잃은 자 마하바라따 3
위야사 지음, 박경숙 옮김 / 새물결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마하바라따』를 읽다가 깜짝 놀라 멈춘 부분이 있다. 2-23 부분인데, 중국인에 대한 언급이 나오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가운데 위치한 나라를 중국이라고 번역했나'했었는데 이후에도 중국/중국인이 계속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그 중국이 맞는 것 같았다.


§2-23 (『마하바라따』 3권 p.109 9째 줄)
-쁘라그조띠샤는 늪지대의 사냥꾼들과 중국 병사들, 바닷가에 사는 다른 많은 병사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2-47 (3권 p.194 1째 줄)

-중국인, 훈족, 샤나까, 오드라 그리고 깊은 산에 사는 사람들, 우르슈니족, 하라훈의 왕들, 검은 종족, 히말라야에 사는 왕들이 와서 문 밖으로 들어가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중국인’이라. 정말 그 중국인인가? 그것도 인도의 고대 문학에. 위키피디아를 찾아보니 우리가 아는 그 중국인이 맞는단다.

 

The Chinas or Chīnaḥ (Sanskrit चीन:) are a people mentioned in ancient Indian literature from the first millennium BCE, such as the Mahabharata, Laws of Manu, as well the Puranic literature. They are believed to have been Chinese.

   

   그러면 언제부터 중국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낼 정도의 규모로 인도에서 정착을 한 것일까? 그리고 저런 발음이라면 적어도 진(秦)나라 이후로 알려졌어야 하는데, 그러면 통일 이전부터 인도 대륙과 교역이 있었나? 더 들어가니 도통 모르겠다. 어쨌거나, 재미있는 사실은 『마하바라따』에는 중국/중국인에 대한 언급이 꽤 있다는 점이다. Ganguli의 영역본에 나온 중국인이 언급된 부분은 아래와 같다.
 
Kisari Mohan Ganguli Translation
1-177
And from the froth of her mouth came out hosts of Paundras and Kiratas, Yavanas and Sinhalas, and the barbarous tribes of Khasas and Chivukas and Pulindas and Chinas and Hunas with Keralas, and numerous other Mlechchhas.

 

3-51
And even Krishna himself beholding the sons of Pritha dressed in deer skins, became filled with rage, and addressing Yudhishthira, said, 'That prosperity which the sons of Pritha had acquired at Indraprastha, and which, unobtainable by other kings, was beheld by me at the Rajasuya sacrifice, at which, besides, I saw all kings, even those of the Vangas and Angas and Paundras and Odras and Cholas and Dravidas and Andhakas, and the chiefs of many islands and countries on the sea-board as also of frontier states, including the rulers of the Sinhalas, the barbarous mlecchas, the natives of Lanka, and all the kings of the West by hundreds, and all the chiefs of the sea-coast, and the kings of the Pahlavas and the Daradas and the various tribes of the Kiratas and Yavanas and Sakras and the Harahunas and Chinas and Tukharas and the Sindhavas and the Jagudas and the Ramathas and the Mundas and the inhabitants of the kingdom of women and the Tanganas and the Kekayas and the Malavas and the inhabitants of Kasmira, afraid of the prowess of your weapons, present in obedience to your invitation, performing various offices,--that prosperity, O king, so unstable and waiting at present on the foe, I shall restore to thee, depriving thy foe of his very life.

 

3-176
And crossing the difficult Himalayan regions, and the countries of China, Tukhara, Darada and all the climes of Kulinda, rich in heaps of jewels, those warlike men reached the capital of Suvahu.

 

5-86
I will also give him a thousand deer-skins brought from China and other things of the kind that may be worthy of Kesava.

 

6-9
Among the tribes of the north are the Mlecchas, and the Kruras, O best of the Bharatas; the Yavanas, the Chinas, the Kamvojas, the Darunas, and many Mleccha tribes; the Sukritvahas, the Kulatthas, the Hunas, and the Parasikas; the Ramanas, and the Dasamalikas.

 

 

   한 가지 더 흥미로운 얘기. 5-74에 언급되는 중국의 왕 "Dhautamulaka"는 하(夏)나라의 걸(桀)왕을 가리킨다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다. (“Dhautamulaka의 뜻이 ‘깨끗한 뿌리’라는 뜻이고 桀의 뜻 또한 ‘깨끗하다’는 뜻이므로 동일인”이란 설명인데, 桀의 뜻에 ‘깨끗하다’라는 뜻이 있나?)

 

5-74
Janamejaya among the Nepas, Vahula among the Talajanghas, proud Vasu among the Krimis, Ajavindu among the Suviras, Rushardhik among the Surashtras, Arkaja among the Valihas, Dhautamulaka among the Chinas, Hayagriva among the Videhas, Varayu among the Mahaujasas, Vahu among the Sundaras, Pururavas among the Diptakshas, Sahaja among the Chedis and Matsyas, Vrishaddhaja among the Praviras, Dharana among the Chandra-batsyas, Bigahana among the Mukutas and Sama among the Nandivegas.

 

   원래는 『서유기』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려 했는데, 글이 길어져서 여기서 맺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하바라따 2 - 1장 태동: 신들은 영생을 위해 불사주를 구하고, 인간들은 사랑과 명예를 위해 삶을 버린다 마하바라따 2
위야사 지음, 박경숙 옮김 / 새물결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2p.465

    쪽수가 이상하게 붙어 있다. 1권은 p.506에서 끝이 나는데(부록 4까지 포함시킨다면 p.510에서 끝난다.) 2권은 p.465에서 시작한다. 부록의 쪽수는 표기를 다르게 하는 게 책의 연속성에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니면 각 권 모두 p.1에서 시작하는 게 나을 것 같다.

 

§색인 작업

    마하바라따에는 엄청난 수의 인물들이 등장하고 사라진다. 하지만, 어떤 이는 조용히 등장했다 이야기에서 사라진 후, 갑자기 등장해서 엄청난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고 누구는 갑자기 등장하는 것 같은데 주인공들의 운명을 뒤집는 엄청난 일을 저지르기도 한다. 전자의 대표적 인물이 암바라면, 후자는 샤꾸니가 될 것이다.

 

    암바는 1-96(마하바라따2p.480)에서 처음 등장하고 곧 사라진다. 이때는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라 생각하게 되지만, 후에, 꽤 후에, 다시 등장해서 주요 인물을 없애는 역할을 맡는다. 암바를 기억하면 다행이지만, 그냥 흘려보낸 독자들은 암바를 갑자기 툭 튀어나온, 마치 기계 장치의 신(deus ex machina)’의 역할을 맡는 것으로 여기기 쉽다. 이정도 인물엔 약간의 주석, 아니 이정표를 달아주는 게 이 거대한 미로에서 길을 잃지 않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아쉬운 마음에 조금 언급해봤다. 왜냐하면 역자는 제대로 등장조차 하지 않은 와수데와도 친절히 설명을 해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인물들에 주석을 달기란 쉽지도 않고, 때로는 내용 누설이 필요하게 되어 읽는 이의 입장에서는 김이 빠지기 쉽다. 때문에 마하바라따에는 주석보다 색인 작업이 더 필요할 듯하다.

 

    마하바라따를 각색한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암바를 매우 비중 있게 다룬다. 그 이유는 매체의 특성 때문이기도 할 것인데, 책은 읽다가 멈추고 다시 앞으로 갈 수 있지만, 영화와 드라마는 그냥 속절없이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Babubhai Mistri 감독의 1965년 영화에서 암바는 영화의 절정부인 꾸루꾸쉐트라 전투에서 이런 기괴한 모습으로 잠시 등장한다. 이렇게 묘사할만한 이유가 있는데, 그걸 밝히면 내용 누설이니 그냥 넘어간다.

 

 

 

B. R. Chopra가 제작한 1988년 드라마에서는 원래 정혼한 샬와 왕에게 갔다가 다시 쫓겨난 후 비슈마를 저주하며 떠나는 장면까지 묘사한다. 한 여인이 복잡한 정치적 상황(과 남자들 사이의 유치한 자존심) 사이에 끼어 본의 아니게 농락당하는 모습을 처절하게 보여준다.

 

 

 

Peter Brook이 연출한 1989년 영화에서도 위의 드라마와 같은 상황까지 묘사된다. 다른 점이라면 매우 담백하게 절제된 대사와 연기로만 이루어졌다는 점인데, 암바의 마지막 대사 “Never forget me, Bhishma. I am your death.”가 큰 울림을 준다. 암바의 대사는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Julius Robert Oppenheimer)가 트리니티 핵폭탄 실험을 두고 했던 말 “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를 떠올리게 하는데, 이 놀라운 비문(非文)바가와드 기따에서 따온 것이며, 마하바라따에도 포함되어 있다.

 

 

 

Swastik Pictures 제작한 2013년 드라마에서는 더욱 더 적극적이고 대담무쌍한 암바를 볼 수 있다. 책에서는 도도한 암바라고 단 한마디로 묘사했지만, 21세기 드라마답게 매우 입체적으로 그렸다. 암바는 2회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샬와 왕과의 밤중 데이트를 위해 갈대밭을 홀랑 태우는 정열적인 여성으로 그려진다. 이야기도 약간 변형 되어서, 암바는 정혼자인 샬와 왕의 복수(?!)를 위해 비슈마를 처단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데, 책에서는 뒤에 나올 이야기들 몇몇을 조금 당겨썼다. 특히 비슈마와 빠라슈라마와의 대결, 그리고 이를 중재하는 마하데와 쉬와가 등장하는 장면은, James Cameron 감독이 이 이야기를 그토록 영화로 옮기고 싶어 하는 가에 대한 힌트가 될 것이다. (영화에서 특수효과의 단계는 이제 얼마만큼 사실적으로 그리는가의 영역에서 이제는 무엇을 그릴 것인가의 영역으로 넘어온 지 오래다. 이제는 상상력의 콘텐츠가 중요해졌으며, 마하바라따는 그런 상상력의 보고라 할 수 있다.)

 

 

  

   샤꾸니2-43(3p.178)에서 본격적으로 등장을 하지만, 이미 1-103(2p.502)에서 첫 등장을 한 바 있다. (지금까지 읽어본 바에 따르면) 마하바라따에는 미지의 인물이 갑작스럽게 등장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사실 갑작스러운 등장인물이나 사건이 갑자기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것은 작품의 격을 떨어뜨린다. (드라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주인공의 출생의 비밀이라던가, 영화의 속편에서 볼 수 있는 죽은 주인공의 쌍둥이 동생이 갑자기 언급된다든지.) 하지만 마하바라따에서는 그런 것들을 찾아볼 수 없다. 마하바라따가 완성된 1,000여 년 간, 수많은 위야샤들이 이런 것들을 방지해놓았다. 이 등장인물이 어디에서 처음 등장했고, 누구에게 처음으로 언급되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바로 이런 점 때문에라도 색인이 필요하다.

 

 

 

Babubhai Mistri 감독의 1965년 영화에서 샤꾸니는 영화의 첫 장면, 까우라와들과 빤다와들의 무술 대회에 처음 등장한다. 이후로도 계속 등장, 까우라와들을 (좋지 않은 방향으로) 부추기는 역을 맡는다. 한 번에 척 봐도 악당같이 생겼고, 노름에 쓰이는 주사위를 부적처럼 사용한다.

 

 

 

B. R. Chopra가 제작한 1988년 드라마에서 샤꾸니는 간다라 왕국의 왕이자 아버지인 수발라와 노름을 하는 장면으로 처음 등장하며, 이후 비슈마가 등장해 수발라의 딸 간다리와 드르따라슈트라간에 중매를 선다. 첫 등장에서 샤꾸니가 수발라에게 노름 기술을 배우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후에 노름이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임을 알려준다. 이 장면에서만큼은 샤꾸니는 평범하게 나오지만, 후에 지속적으로 등장, 드르따라슈트라와 빤두의 사이를 이간질시킨다.

 

 

 

Peter Brook이 연출한 1989년 영화에서는 주사위 노름직전에 등장한다. 간다리에게 “Shakuni, your brother!”하며 간단명료하게 자기소개를 하면서 극으로 슬그머니 스며든다. 이 영화에서 샤꾸니는 중요한 인물이라기보다는, 이야기 전개를 위한 어떤 분기점 같은 역할을 맡는다.

 

 

 

Swastik Pictures 제작한 2013년 드라마에서 샤꾸니는 산을 타며 간다리 왕국으로 향하는 모습으로 처음 등장한다. 밧줄이 끊어지려 하자 자신이 살기 위해 가차 없이 밑에 있는 부하를 떨어뜨리는 전형적인 악당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이후 모습은 반전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왕성에 도착한 샤꾸니는 부모에게 드르따라슈트라와 간다리의 결혼을 막는다. 이유는 드르따라슈트라가 장님이기 때문. 동생의 행복을 위해 결혼을 반대하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간다리는 결혼을 선택한다. 냉혈한이긴 하지만 동생을 위하는 마음만큼은 따뜻한 샤꾸니는 동생을 하스띠나뿌라로 데리고 가 결혼식을 올린다. 샤꾸니가 드르따라슈트라와 간다리의 자식들인 까우라와들의 편에 서서 빤다와들을 망치려고 하는 이유가 이 드라마의 짧은 인물 설명에서 드러난다.

 

  

    1-143(2p.635)의 가토뜨까짜, 1-213(2p.870)의 아비만유 또한 후에 중요한 역을 맡는 인물들이므로, 간단한 언급 혹은 색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하바라따 2 - 1장 태동: 신들은 영생을 위해 불사주를 구하고, 인간들은 사랑과 명예를 위해 삶을 버린다 마하바라따 2
위야사 지음, 박경숙 옮김 / 새물결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대로다. 『마하바라따』는 옳고 그름을 논하지 않고, 선과 악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지도 않는다.  『마하바라따』는 그냥 있는 그대로 벌어지는 사건들을 나열할 뿐이지 그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지 않는다. 아마도 그것이  『마하바라따』까 문학이라기 보다는 이띠하사("실제로 있었던 일")로 불리는 이유가 아닐까.

 

   1-74(『마하바라따』 1권 p.370)에 있는 아수라들의 스승인 우샤나스 슈끄라와 그의 딸 데와야니의 대화를 한 번 보자. 언젠가 데와야니는 아수라의 왕 우르샤빠르완의 딸 샤르미슈타와 언쟁을 벌여 호되게 당했다. 분해서 울고 있는 딸에게 대선인 슈끄라는 이런 말을 하며 딸을 위로한다.

 

   데와야니야, 다른 이의 어떠한 극적인 말도 견디는 자는 모든 것을 다 이길 수 있는 사람이란다. 그래서 현자들은 치솟는 화를 말 다루듯 잘 다루는 사람을 몰이꾼이라고 한단다. 말을 고삐에 매어두는 사람을 몰이꾼이라고 하지 않는단다. 데와야니여, 치솟는 화를 평정심으로 다스리는 자가 모든 것을 다 이기는 사람인 줄 알거라. 치솟는 화를 용서로 훌훌 털어버리는 것은 뱀이 낡은 옷을 벗어버리는 것과 같다. 화를 누르는 사람, 다른 이의 비난에 무심한 사람, 괴롭힘을 당해도 그를 다시 괴롭히지 않는 사람은 반드시 풍요를 얻을 것이다. 백 년 동안 지치지 않고 달마다 희생제를 지내는 사람과 누구에게도 화내지 않는 사람을 비교한다면 화내지 않는 사람이 당연히 더 훌륭한 사람이란다.

   암 것도 모르는 사내아이들과 계집아이들이 아무리 으르렁 거리고 싸워도 지혜로운 사람은 그들의 싸움을 모방하지 않는단다. 아이들은 어떤 것이 힘 있는 것인지, 또 어떤 것이 나약한 것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출력해서 책상 앞에 딱 붙여 생각날 때마다 읽고 싶은 잠언이다. 대부분의 고전문학이었다면, 여기서 멈춰 큰 교훈을 얻는 것으로 마무리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다음에 데와야니가 받아치는 말이 걸작이다.

 

   아버님, 제가 비록 어리긴 하지만 여러 다르마가 어떻게 다른지는 압니다. 또한 평정할 때와 비방할 때 무엇이 힘 있고 무엇이 나약한 것인지도 압니다. 그러나 제자가 제자답지 못한 행동을 할 때 스승은 그들을 용서해서는 안 된답니다. 이런 이유로 전 행동거지가 바르지 않는 자들 틈에서 지내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최상의 것을 구하는 지혜로운 사람은 자기의 거동과 태생을 잘 알아주는 좋은 사람들과 어울려 사는 것이 가장 잘 사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르샤빠르완의 딸은 제게 너무나 무서운 막된 말을 했습니다. 그보다 더 참기 어려운 일은 삼계엔 없을 것입니다. 경쟁자가 잘되는 꼴을 보며 그를 칭송하는 것은 못난 사람이나 하는 짓입니다.

   마치 21세기에 사는 우리들이 할 법한 말을 천역덕스럽게 한다. 그래도, 이런 말을 들었으면 위대한 브라만이신 슈끄라는 딸을 바라 잡아주어야 할 텐데, 그러지 않는다. 슈끄라는 이 말을 듣고 우르샤빠르완을 찾아가 딸이 모욕을 받았으니 이곳을 떠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결국 슈끄라는 남아있는 조건으로 샤르미슈타를 딸의 하녀로 삼는다.

 

   무엇이 옳고 그른 것일까? 모욕을 당했을 때, 슈끄라의 말대로 참아야 옳은 것인가? 아니면, 데와야니처럼 복수를 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이 둘 중 누가 잘못됐나? 『마하바라따』는 쉽사리 가치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한다.

 

   『마하바라따』의 주인공은 빤다와들이고, 반대편에서 적대 관계를 맺는 이들이 까우라와들이다. 대부분의 문학이(특히나 고전문학) 선과 악의 관계를 명확히 맺는 반면, 『마하바라따』는 그러지 않는다. 아니, 빤다와들이 선, 까우라와들을 악으로 명시하기는 한다. 하지만 이들의 행동들은 그렇게 쉽게 가치판단을 내리지 못하게 한다.

 

   까우라와들은 빤다와들을 죽이기 위해, 와라나와따에 큰 저택을 짓고 빤다와들을 그곳으로 보낸다. 빤다와들은 까우라와들의 계책을 눈치 챘지만, 모른척하고 그곳으로 간다. 그 저택에 보시를 받으러 온 '니샤다의 여인과 다섯 명의 아들'이 대접을 받고 술에 취에 잠들자 빤다와들을 저택을 불로 태워버리고 도망친다. 저택에는 빤다와들의 숫자와 같은 여섯 구의 시체가 발견되고, 까우라와들은 빤다와들을 드디어 없앴다고 좋아하며, 빤다와들은 까우라와들의 마수에서 당분간을 피할 수 있을 거라며 안심한다.

 

   다 좋은데, 그럼 그 때 죽은 여섯 명의 목숨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빤다와들이 선이라면, 이들을 구했어야 옳지 않은가? 이들이 도착하자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스스로 방화를 저지르고 이들의 시체를 이용하는 것은 위대한 영웅들의 행동이 아니다.

 

   끄르슈나와 아르주나가 저지르는 칸다와 숲에서의 학살은? 이들의 모습은 흡사 악귀와도 같다. 이 부분은 선악의 문제라기 보다는 상위 다르마와 하위 다르마의 차이로 볼 수도 있겠지만, 확실한 것은 일반적인 선악의 개념은 아닌 것 같다.

 

   어쩌면 옳고 그름, 선과 악에 대한 개념들은 모두 다르마로 통합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각자에겐 각자의 다르마가 있고, 모두들 그 다르마를 따르려고 노력한다. 내가 따르는 다르마는 남들의 것과 다를 수 있고, 나는 내 다르마가 최선이라 생각하지만, 남들의 눈에는 다르게 보일 수도 있다. 그 수많은 다르마가 충돌하면서 공존하고, 그 안에서 공통되는 하나의 다르마로 수렴되어지는 과정이 『마하바라따』를 관통하는 주제가 아닐까 감히 생각해본다. 그리고 이러한 각자의 다르마가 서로 충돌해나가면서도 잘 살아가는 것이 바로 인도의 모습이 아닐까 또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