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인문실용소설이라고 그 장르를 특별히 적었다. 책에서 말하는 인문실용소설이란 책의 뒷 날개에 적혀있다. “이 책은 연암의 문장론을 다루는 본격 소설이면서 동시에 실용적인 글쓰기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인문실용소설’이라 부를 수 있겠다. 인문과 실용은 다르지만, 이 둘은 본래 대립적이 아니지 않을까. 연암이 법고와 창신을 대림으로 보지 않고 그 모두를 품어 안고 넘어서는 길을 택했듯이, 인문과 실용의 ‘사이’를 꿰뚫는 모험을 시도한 것이다. 여러 의미에서 이 책은 연암에 대한 오마주 (hommage)인 셈이다.

설명대로 이 책은 소설의 형태를 빌려 연암의 글쓰기 방법을 배워가는 책이다. 다른 인문서적처럼 딱딱하게 이렇게 써라 저렇게 써라 하는 것이 아니라, 혹은 연암은 다음과 같은 책에서 다음과 같은 문장을 썼다 이렇게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한 서생이 연암의 문하로 들어가 그의 글쓰기 법을 배워나가는 소설의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내가 연암박지원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은 그가 열하일기를 썼다는 것 뿐이다. 그 외의 것은 잘 알지 못한다. 책은 소설의 형태를 잘 살려 연암의 풍채와 성격, 그에 대한 당대의 평가까지 아우르고 있다. 그리하여, 연암의 문하로 들어간 서생의 갈등과 연암과 교류가 있었던 지인들과의 관계 (박제가등)까지 이야기 하고 있는데, 책장은 쉽게 넘어갈 정도로 아주 재미 있다. 또한 액자식 구성을 한 소설이라는 것도 이야기 해야 하는데, 화자는 연암의 아들이 연암의 문집을 읽으며 연암 밑으로 들어간 지문이라는 서생의 글쓰기 공부과정을 읽어나가는 것을 바깥구성으로 하고 안쪽구성으로는 지문이 연암의 문하로 들어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일들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연암이 벼슬을 멀리하고 칩거한 내용, 그리고 그의 기이한 행적, 당대의 형편없던 평가들이 소설의 안쪽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바깥구성을 적은 매 장 말미의 글들은 그 장에서 다룬 일종의 요점들을 정리하고 있다.

연암의 글쓰기는 다른 글쓰기와 그리 달라보이지는 않는다. 글에 진실을 담을 것, 혼신을 다해 적을 것, 등 다른 어느 책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을만한 말하자면 빤한 요령들인데, 그 것이 소설이라는 형태를 빌어 연암이 지문이라는 제자에게 내 준 숙제들을 예를 들면 매우 참신해진다. 붉은 까마귀에 대한 이야기나 사마천의 마음을 읽어라 같은 내용들은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시원함을 전해준다.

연암에 대한 구태의연한 이야기들. 언제 태어나 무엇을 지냈고 무슨 책을 썼으며 이러저러한 평가를 받았고 그의 사상이 어떻고 하는 이야기를 떠나 소설의 형식으로 흥미롭게 풀어나간 이 책은 연암의 글쓰기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철학과 그 당시의 분위기, 그리고 독자로서 한번쯤 고찰해봐야 할만한 이야기들을 전하고 있어 읽어볼만하다.

우리가 만일 당대 글쓰기의 대가로 일컬어지는 (그러나 기이하고 품위없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웠다면 어땠을 것인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된 듯한 이 책은 그 내용만큼이나 참신한 시도였다. 앞으로도 우리의 과거들을 다시 즐겁게 되새김질 할 수 있는 이러한 책들은 더 많이 접할 수 있길 바란다. 
 

2007. 9. 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