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 13세기에서 21세기까지 그림을 통해 읽는 독서의 역사
슈테판 볼만 지음, 조이한.김정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첵의 표지를 읽는 저 그림은 무도회이후라는 1895년의 라몬 카사스 이 카르보(Ramon Casas y Carbo)의 그림이다. 책을 읽다가 감상에 빠진 여자로 보이는 그림의 무도회이후라는 것은 아마, 무도회에서도 느끼지 못했던 영혼의 만족을 독서를 통해 얻는 몽환적인 모습으로 보인다. 이 책은 그러한 여성들의 독서에 대한 미술사에 대한 책이다.

 

책을 읽는 것은 여자가 많고, 책을 쓰는 것은 남자가 많다고 한다. 어찌보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성별이 나뉘어 있는 집필출판과 독서의 시스템속에 이 책에서는 여성들의 독서에 대한 역사만 그림을 통해 보고 있다.

여자들이 책을 읽는 것은 지금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을 폄하하는 것보다 훨씬 더 금기시하던 시절, 여자들이 읽을 수 있는 책은 성서에 국한되던 시절의 이야기부터 여자들의 독서가 자유롭게 된 21세기의 이야기까지 이 책은 그림들에 대한 이야기와 독서의 역사를 고루 알려준다.

 

재미난 것은 이 책에 나온 독서하는 여자들의 모습은 대부분 꿈을 꾸는 것처럼 그 책과 그 글에 푹 빠진 모습들로 형상화 된 것이 많으며, 나체이거나 속옷차림이라 그만큼 여성성의 자유로움이 독서와 같은 맥락을 이룬다는 뜻을 나타낸 그림들이 많다는 것.

 

어쩌다가 세상은 모계사회를 벗어나 남성중심사회가 되어 문명을 이룬 것인가. 여자들은 서로를 배려하고 생활을 아름답게 가꾸는데 더 큰 가치를 두기 때문에 남자들처럼 어떠한 업적을 이루는 것에 소홀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아무튼 남성패권사회에서 여자들이 생각을 하고 글을 읽는다는 것은 남성들에게 도전적인 행위였을 것이다.

 

보수적인 입장에서 본다면 여자가 책을 읽게 되면, 가사일에 소홀해지고 (책 읽는 여인 / 피터 얀센스 엘링가 - p76), 자기만의 방탕한 생각에 빠질 수 있으며 (17p 책 읽는 여자 / 앙투안 보두엥), 남자를 쳐다도 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p80  책을 읽고 있는 여인에게 하는 청혼 / 야코프 오흐터벨트) 위협적이었을지도 모른다.

 

전업주부이면서(하는 일은 너무나 띄엄띄엄있어서 감히 일을 하고 있다고 말하기 민망한) 책을 읽는 여자인 나의 경우, 책을 읽느라고 육아와 가사를 제껴두는 일도 생기며, 책을 사느라고 생활비를 탕진하기도 하고, 책을 사기 위해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외출을 하기도 하고, 남편의 말보다는 책속의 이야기를 더 고귀하게 여기며, 책을 읽기 위해 아이들이 잠들면 혼자만의 방에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동시에 리모콘을 붙잡고 있거나 다른 책을 읽고 있는 남편역시 고립시키게 되기 때문에, 남자의 입장에서 여자가 책에 집중한다는 것은 상당히 골치아픈 일일 수 있다. 때로는 나도, 아 - 내가 책따위는 한 달에 잡지 한 권 읽는 것도 힘겨워하며 TV 드라마에만 올인하고(본인도 TV 드라마에 올인할 때도 많지만), 가사와 육아에 온 힘을 쏟는 자라면 삶이 얼마나 편안할 것인가 하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세상이 많이 평등해 지기 전, 남성중심사회에서 책을 읽던 여자들에 대해 들여다 보는 이 책은 참으로 재미있는 책이다. 조금 더 깊이있게 여성사에 대해서 접근했다면 더 진지해 질 수 있었겠지만, 그렇게 된다면 책이 너무 심각해 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말하자면 이 책은 책을 읽어 위험한 여자들을 위한 책이라기 보다, 책을 읽어 위험한 여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테마별로 묶인 카테고리와 적당한 크기의 그림들, 그리고 책이나 편지를 읽는 여자들이 주인공이 된 매력적인 그림들이 볼만하다.

 

책을 읽는 내내, 내가 책을 읽는 모습은 어떠한지 궁금하고 내가 책을 읽는 모습을 그림을 그리는 사람들이 그려줬으면 하는 생각도 했으니까.

 

여성이 자아를 확립할 수록 남자들은 골치아파질 것이다. 그만큼 책과ㅡ, 여성의 자아와 경쟁해야 하므로. 이미 시대는 많이 변했지만, 책읽는 여자들은 아직도 위험한 존재가 아닐까. 패권이 존재하는 한.

 

2007. 8.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