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면 당연히 알아야 할 심리학
박윤조 지음, 이도헌 감수 / 배영교육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계속해서 육아에 대한 이야기를 찾고 읽고 하는 나, 엄마가 된다는 것은 상당히 어색하고도 새로운 일이다. 온전히 단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일 일뿐 아니라 이건 연습이라는 것이 없고 시간은 순식간에 흘러가고 나는 한 인간의 인생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아, 이 얼마나 살 떨리는 부담감인가. 손위형제가 있어서 조카들을 관찰해봤던 것도 아니고 나는 거의 내가 읽은 책들에 기초하여 아이를 키우고 있는 형편. 아이를 갖고 낳고 나서 돌 이전의 아이에 대한 각종 육아서를 열심히 읽어댔다. 그 덕분에 그럭저럭 나는 아이를 잘 키우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는 위로를 해가며 시간을 보냈는데, 자, 나의 이 아기가 돌이 지나고 걷기 시작했다. enfant 에서 toddler의 단계로 진입을 한 것이다. 아이는 끊임없이 걷고 끊임없이 넘어진다. 뭔가를 집고 던지고 숨기고 부서뜨린다. 알 수 없는 음성으로 계속해서 말을 하고 뭔가 요구를 한다. 이제는 자기만의 사인을 만들어 구체적인 의사표시를 하려고 하며 TV 만화를 보고 웃기도 한다. 먹고 싶은 음식을 가리키며 이거 이거 라고 말을 하는 16개월 된 나의 아들은, 제 아비도 머리를 절래 절래 흔들어대는, 나름대로 건강한 외할머니가 돌보고 나면 몸살 나는 사고뭉치, 에너자이저, 못말리는 흰애기 등으로 표현된다. 나는 다급해졌다. 아, 이 사고뭉치를 어떻게 할 것인가, 이제 두 번째 육아서를 읽는 시기에 돌입한 것이다. 아이가 커 갈수록 나는 더 많은 정보와 더 많은 경험담들이 필요했다. 이제 아이는 어떤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되었고 또래들과 어울릴 가능성도 보이고 있으며 끊임없이 외출을 하자 하고 걷는 재미에 푹 빠져 있다.

배영교육에서 나온 엄마라면 당연히 알아야 할 심리학은, 발달심리학이나 아동심리학등 대학교재를 선택할까 하다가 대체한 책이다. 육아서중에 잘 팔리는 책이기도 하고 신생아때부터 7세에 이르기까지의 영역을 골고루 정리했으며 아주 짧은 글들로 정리했고 가장 보편적인 이론을 제시한다. 진보적이거나 보수적이지도 않고 시대에 딱 맞는 가장 평이한 육아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기들의 특이사항과 돌이 지난 아이들의 심리, 엄마들이 고민하는 낯가림, 분리불안, 배변훈련, 잠투정 등 읽다보면 좀 너무 평이하다 싶기도 하지만 한 번 쭉 훑어내려 정리를 하기엔 좋은 책이다. 가끔 책을 읽었다 해도 머릿속에 100% 저장하고 살아가는 것은 아니어서 간혹 아이와 뭔가 문제가 생긴 날 아이를 재워놓고 제목들만 한 번 삭삭삭 훑어봐도 좋을 것 같다.

좀 더 깊이있는 육아서를 원하는 엄마들에게는 실망을 안겨줄 수도 있지만, 아주 많은 육아서를 대하지 않았거나 책을 읽을 여유가 없는 엄마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2007. 7. 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