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말로써 정의를 다툴 수 없고, 글로써 세상을 읽을 수 없으며, 살아 있는 동안의 몸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시간들을 다 받아 내지 못할진대, 땅 위로 뻗은 길을 걸어갈 수밖에 없으리.



저자의 하는 말이라고 제목이 붙은 서문에 있는 글귀다.

김훈의 칼의 노래를 기억한다면, 그 문체와 서정성, 그리고 작가가 깊이 이해한 그 옛 사람들의 노래를 기억할 것이다. 남한산성 역시 그러하다. 교과서에서 말하는 필독소설 외에, 내가 진정으로 좋아했던 작가는 신경숙이었다. 그녀의 섬세한 문체와 소설 제목처럼 깊은 슬픔을 끌어올리는 그 문체에 반했고 일기장에 그녀의 문체를 흉내 낸 글들을 숱하게 적었었다. 이제, 나는 칼의 노래 이후 김훈의 문체에 빠져들었다. 간결하고 단호하나, 때로는 그 긴 호흡들,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그 옛스러움을 고스란히 간직한 문체, 어떤 평론가가 말하길 그의 문체가 가장 잘 살아있는 작품이 칼의 노래와 바로 이 남한산성이라고 하는데 나 역시 그 의견에 동의한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다. 인조반정으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인조, 명에게 예를 표하던 작은 나라의 임금은 대륙의 바람에 휩쓸려 청을 섬기지 않겠다는 의사에 분개한 청나라의 침입에 강화도로 피난을 가려 하였으나, 그 역시 청의 침입으로 이루지 못하고 현재의 송파구에 위치한 남한산성에 피난 아닌 피난을 하게 된다. 겨울, 그 해 겨울은 유난히 혹독했고 성안에는 50일간의 식량뿐이었다 전한다. 이 소설은 그 남한산성 안에서 버티던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를 한다.

서울을 버려야 서울을 지킬 수 있다는 선문답 같은 화두를 안고 소설은 시작한다. 그 안에서 백성들은 주렸고 대신들은 치욕스러웠다. 왕은 떨어지는 꽃잎처럼 가련했다. 왕은 결국 삼전도 (송파나루부근 현재의 잠실대교 정도의 위치)에서 청의 칸에게 예를 표하고 엎드려 절을 한다. 칸은 그를 어여삐 여겨 조선팔도를 초토화시키지 않고 조용히 돌아간다. 그들의 항복을 안고 의기양양하게.

소설을 읽는 내내, 나는 이 작가가 얼마나 많은 공부를 하고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였을까를 생각했다. 소설속의 말들은 모두가 헛헛하였고, 눈물이 치밀어 올랐으나 흐르지 않았다. 그리고 오래도록 이생강류의 산조를 들었다.



나는 아무 편도 아니다. 나는 다만 고통 받는 자들의 편이다.

그들은 모두 고통받았다. 이름없는 백성들도, 말로써 정의를 논하려는 대신들도, 최고의 자리에 앉은 왕역시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텨야 하는 그들은 모두 고통스러웠다.

책을 덮으며, 버틸 수 있을 때까지 버텨야 하는 지금의 백성들을 떠올렸다. 어울리지 않는 요식업계에 뛰어들어 3년째 고전을 면치 못하나 잘 버티고 있는 지인도 생각났다. 우리는 모두 버티고 있지 않는가, 결국 어찌되었던 성문이 밖에서 열리거나 안에서 열리거나 그 성문이 열리고 냉이가 지천에 피어나는 봄이 오길 바라면서 우리는 모두 버티고 있지 않은가.

고립된 그 겨울의 노래는 그렇게 스산했다. 
 

2007. 7.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