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비닛 - 제12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언수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가끔씩 물어본다. 너는 자장면 한 그릇만한 소설을 쓰고 있느냐?

너는 네 소설로 단 한 번이라도 사람들의 마음을 맛있고 풍요롭게 해 준 적이 있느냐?"

"나는 이 소설을 두 번 썼다. .. 어쨌든 처음 것보다는 두 번째 것이 조금 낫다. 하지만 이 소설이 세상으로 나가는 것은 소설을 다 썼기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지난 일 년간 무수한 내부 검열관들의 요구를 들어주느라 내가 진이 다 빠져버렸기 때문이다. 이제 이 소설에 관해 내 체력은 바닥이다."

 

언젠가, 한 소설가가 한 말을 늘 생각한다.

글을 쓰는 서재의 창가에 늘 한 그루의 나무가 보인다고. 그 나무를 베어 종이를 만들어 책을 내야 하는데, 그 나무에게 미안하지 않을 글을 써야겠다고 늘 다짐한다고.

 

작가 김언수는 동아일보 신춘문예 프라이데이와 결별하다로 등단했다. 그리고 이번엔 이 책으로 5천만원 고료 문학동네 소설상을 수상했다. 저자는 후기에서 위와 같이 말했다. 그리고 분수도 모르고 덜컥 상까지 받아버려서 이제 빠져나갈 구멍도 없고, 귀싸대기 맞을 각오도 되어 있다며, 돈주고 사는 책에 대해서 기탄없는 독자들의 욕도 감수할 각오가 되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많이 두려워 하는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알게 된 것은 KBS TV의 책을 말하다에서였다.

최근엔 매회 3권의 책을 추천하는데, 이 책은 김갑수라는 문학평론가와 영화배우 오지혜씨가 나온 자리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다른 한 명의 패널은 죄송스럽게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김갑수라는 낯선 평론가를 기억하는 것은 그가 이 책을 읽고 매우 충격을 받았다는 듯한 이야기를 했었고, 작가가 야비하고 비열한 인상을 가지고 있을 것 같다고 했기 때문이다. 어이없게도 제작진은 그 자리에 작가를 초대해놓고 있었고 작가는 마치 퇴근길에 오뎅 하나 사 먹고 방송국 방청객 알바를 하기 위해 앉아있는 사람같은 모양새로 거기에 앉아서 김갑수의 평을 모조리 들은 셈이다. 그의 인상은 그냥 회사원 같았다. 별로 재미없는 직장에서 시간을 때우다 온 사람처럼 가방을 메고 있기까지 했던 것 같다.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공대리처럼 말이다. 할 일 없는 직장에 그래도 매일 매일 출근하면 월급은 주니까. 하는 자세로 살고 있는 사람같은 인상.

 

최근의 소설은 낭만주의가 다시 떠오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김언수의 캐비닛은 얼마 전에 읽은 워싱턴 어빙의 "립 밴 윙클"을 떠올리게 하는 부분도 있었다. 소설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세상에 신종족이 나타난다. 손에서 은행나무가 자라고 입속에 도마뱀을 키우고 어느 날 자고 일어났더니 3년이라는 세월이 없어졌거나 매 주말마다 도플갱어를 화장하러 가는 살아남은 샴쌍둥이 자매등, 온갖 기괴한 인물들에 대한 기록이 허름한 13호 캐비닛에 들어있다. 주인공은 그들의 기록을 읽고 그들과 전화통화를 하고 그들과 상담을 하고 술을 한 잔 마시기도 하고 섹스를 하기도 한다. 주인공은 매우 특이한 사람 같지만 또 전혀 그렇지 않기도 하다.

 

책장도 아니고 서랍장도 아니고 매우 부실해 보이며 인테리어라는 단어을 모욕하는 듯이 생긴 것이 캐비닛이다. 그 캐비닛에 세상의 비밀이 들어있다. 그리고 이 소설은 캐비닛이라는 장소 안에 들어있는 철저한 구라덩어리다. 소설이라면 이 정도 구라를 떨어도 되지 않을까 한다. 정말 이 소설은 사기꾼의 최고봉이 오른 자가 썼을 법한, 초 낭만주의 상상의 결정체이다.

거짓말을 끊을 수 없는 사람들에 대한 시사프로를 본 적이 있다. 거기에 나온 한 사기범은 자기는 한 마디 문장을 시작하면서 걷잡을 수 없은 시나리오가 머릿속에 꾸며진다고 했다. 자기는 죄값을 치루고 나와 소설가가 되어야겠다고 태연하게 말했다. 이 작가도, 어쩌면 그정도의 재능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소설은 정말, 재미있다. 근래에 읽은 한국소설중에 제일 재미있었다.

누군가 나에게 캐비닛 어때? 라고 물어본다면, 오나전 짱이지. 라고 대답하고 싶다.

물론 이 캐비닛은 재미뿐만 아니라 그 속에 숨어있는 메세지와 메타포도 매우 많다. 그러나 작가는 그런 것들에 대해서 설교하지 않는다. 작가는 소설가가 뭐 하는 사람인지 정확하게 주제파악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소설가는 구라쟁이다. 세상을 설교할 필요도 없고 설득할 필요도 없다.

그저 허풍이나 떨면서 글로서 허영을 표출하면 되는 것이다. 그래도 괜찮은 것이 세상의 모든 증상과 현상에는 다 그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으니까. 어떤 부분을 어떻게 편집해 내느냐 하는 것이 소설가의 자질이다. 어떤 자들은 김언수를 이 시대의 새로운 괴물같은 작가라고 했다. 그러나 나는 그의 얼굴을 봐버렸기 때문에 괴물같은 작가라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그저 그는 괴물같은 세상에 시류에 잘 적응한  또 한 명의 심토마일것이다.

 

분명히 외계인은 존재할 것이다. 라고 한 번이라도 생각해 본 사람이라면 이 소설에 푹 빠질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을 읽으면서 와 이게 영화로 만들어지면 더 재미있을 것이다 라고 나처럼 생각할 지도 모르겠다. 소설을 다 읽고 난 다음, 이 소설은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이게 영화가 된다면 봉준호나 박찬욱이 손을 대야 할 것 같은데, 그들은 이미 다른 사람이 한 이야기로 뭔가를 만들 것 같지는 않다.

 

"이 저열한 자본주의에서 땀과 굴욕을 지불하면서 힘들고 어렵게 번 돈으로 한 권의 책을 샀는데 그 책이 당신의 마음을 호빵 하나 만큼도, 붕어빵 하나만큼도 풍요롭고 맛있게 해주지 못한다면 작가의 귀싸대기를 걷어올려라."라는 작가 후기, 그는 자본주의를 잘 알고 있는, 세상을 잘 알고 있는 작가 같다.  그리고 나는 이 책을 다 읽고 일부러 심사평을 읽지 않았다. 그가 받았을 5천만원이 내심 부럽기도 하지만, 귀싸대기를 올려주고 싶은 생각은 없다. 대신 김언수라는 이름을 들으면 그냥 혼자 킥킥 대고 웃을 것이다. 뭐 박민규를 생각해도 그렇긴 하지만.

 

2007. 5. 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