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프로젝트 - 얼렁뚱땅 오공식의 만화 북한기행
오영진 지음 / 창비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양이라, 책 제목은 평양이라는 지역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와, 프로젝트라는 외래어로 합성되어 있다. 나의 선입견으로는 왠지 어색한 두 단어의 조합이다. 평양이라는 단어가 풍기는 지역성은 폐쇄된 사회의 수도라는 생각이 들어 프로젝트라는 외래어는 어울리지 않고 북한에서 즐겨 쓰는 더 순수한 우리말이나 아니면 두음법칙을 무시하고 중국어를 그대로 차용한 단어를 써줘야 더 잘 어울릴 듯 하다. 평양계획, 따위의 제목말이다.

이 책은 만화작가 오영진씨가 고난의 행군시절 (김일성 주석의 사망이후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도까지 진행되었던 당적 구호정신 운동) 북한에 체류했던 경험을 토대로 지은 픽션이라 한다. 그 프롤로그를 나중에 읽은 나는 책을 읽는내내 모든 것을 다 실화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만큼 이 책의 내용들은 진솔하고 가식이 없어서 현실에서 충분히 있음직한 이야기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주인공 오공식이라는 인물도 사상으로 무장되었거나 특별한 사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닌 아주 평범한 남한의 적당히 속물적이고 적당히 게으른 소시민이라는 것. 그런 이유일 것이다. 그가 평양에 도착해 한 사무실에서 세 사람의 북한 사람과 이런 저런 취재를 하면서 북한 주민의 실생활을 들여다보는 동안 네 사람은 사상과 경계를 초월한 인간적인 어울림을 만들어낸다. 물론, 오공식은 때로 북한의 사상과 선전구호에 넌덜머리를 내고 (아리랑 축전에 대한 그의 태도) 나불거리는 입 때문에 주변인물들을 곤란하게 하기도 하지만 그 에피소드들은 그다지 심각하지 않아서 적당히 쉬쉬하며 넘어갈 수 있는 북한사회의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조금은 더 느슨한 면모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북한, 하면 긴장감부터 떠올리는 우리의 생각들을 풀어주는 듯 하다. 그런 이유로 책 속의 내용이 사실감있게 다가오는 것은 아닐는지.

나는 만화라는 장르에 매우 약한 사람이다. 그림이 들어간 글은 글로 지루하게 묘사하거나 설명하지 않고 그림이라는 조금 더 구체적인 매체로 그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나는 그런 그림을 글처럼 읽어내는 능력이 부족하다. 그러니까, 그림과 글을 동시에 보면서 조합해내는 능력이 떨어져서 그림을 따로 보고 글을 따로 보는 이중적인 독서를 하게 되기 때문에 만화를 꺼리는 경향이 있고 그런 이유로 만화책을 볼 때는 남들보다 놓치는 부분이 더 많다고 할까. 그러나 만화라는 장르는, 일단 그림이라는 구체적인 매체가 있기 때문에 독자의 신경의 긴장도를 떨어뜨리는 장점이 있다. 편안하게 볼 수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나도 읽고 있던 책을 잠시 치우고 이 책을 집어들었으니까.

이제는 통일 전망대라는 프로도 대낮, 시청률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시간대로 옮겨갔다. 극중에 나온 배기자의 이야기처럼 남쪽 사람들은 먹고 사는데 바빠서 통일문제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런 평양프로젝트라는 책을 읽는 우리의 자세도 북한 사람들은 어떻게 살까 하는 호기심이 통일에 대한 염원보다 더 높지 않을까. 책에는 정치적인 이야기를 생활속으로 깊게 밀어넣어 이북식 김장김치 속에 들은 동태살처럼 잘 숨겨두었고 그저 거기도 우리와 똑 같은 사람들이 그저 우리의 70년대 정도로 살고 있다는 이야기들을 적었다. 요즘은 책을 보게 되면 소장가치를 따지게 되는데, 이런 책은 온 집안 식구들이 골고루 읽을 수 있는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만한 책이므로 책꽂이에 꽃힐만하다할까. 조금 가볍게 시작했던 평양프로젝트, 작가가 많이 고민하고 많이 연구하여 만든 책이라는 생각에 책 표지의 한반도 그림을 자꾸 만지작거리게 된다. 
 

2007. 1. 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