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의 티베트 여행
박남식 지음 / 아침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약 3년전쯤에 선물 받은 책이다.

그 때, 자유로이 가고 싶은 데를 가고 보헤미안 내지는 히피처럼 남들에게 보이기도 했던, (정신세계만) 그 때 어떤 분이 내가 살고 있는 도시로 오시면서 내가 매우 좋아할 것 같다시며 선물해주신 책이다.

그러나, 바로 앞 글 박완서의 잃어버린 여행가방에서 밝혔듯이, 불타는 질투심으로 인해 이 책을 읽지 않았다. 그리고 미뤄두었다. 나중에 티벳에 갈 때쯤에 읽어야겠다. 하고.

티벳이라는 곳은 중국내에서도 그리 만만한 여행지가 아니다. 지금은 칭장철도가 건설되었지만, 그 전에는 랜드로바 같은 4륜구동 자동차로 육로 이동을 하거나 비행기 외엔 방법이 없었고, 가는 방법이 문제가 아니고 외국인인 경우 여행허가라는 것을 받아야 했다. 나는 티벳은 저 뒤로 미뤄뒀었다. 웬만한 데를 먼저 가보고 그 다음 내가 티벳에 가도 되겠다 싶을 만큼 여행에 자신이 생기면 가보자. 라고 생각하고 티벳 고원 바로 아래 사천성 리틀티벳라인으로 불리는 장족자치구까지만 갔었다. 장족 자치구 역시 티벳과 별 다를 바는 없다고 하지만, 그 장엄한 자연은 아무래도 티벳만 못했고, 개발의 물결은 당연히 티벳보다 더 했다. 그곳도 다음 해 여행을 다녀온 친구에게는 많이 변질되었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이 책은, 그저 배낭하나 달랑메고 떠났던 인터넷 상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여행기와 다르다. 저자는 53살이라는 나이에, 아들을 군대에 보내고 티벳에서 1년을 보내겠다 생각하고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는 명상기행을 떠난 것이다. 창원여중에서 수학을 가르치던 수학선생님이 농민활동을 했었고 남편을 통해 76년 요가를 만난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요가활동을 계속하고 있어서 삼법요가등의 지도자들을 육성해내는 요가수행을 계속해서 하고 있다. 그런 이유로 인터넷 아이디 "나비"라는 이 사람의 티베트 여행은 여행이라기 보다 명상을 하며 떠다니는 나비의 행군 같은 것이기도 했다.

책은 티벳에서 보낸 며칠과 수미산이라고 불리는 카일라스 산 등반기, 네팔 국경을 넘어 인도까지 가는 부분까지 실려있다. 조금 더 알차게 인도에서의 이야기도 실렸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남지만, 매일 매일 일기식으로 적혀있는 중년여성의 명상기행기는 생각보다 산뜻하다.

아침에 일어나 명상과 예를 올렸다거나, 차로 시작하여 차로 마무리하는 생활을 가지고 있는 부분, 그리고 큰 욕심없이 떠돌듯 걸었던 티벳의 여행기가 너무 고생스럽게 들리지도 너무 꿈같이 들리지도 않는다.

 

판형도 크고 자간도 매우 넓어서 가만 가만 읽기에 좋은 책.

아마, 언론의 주목을 받았거나 많이 팔리진 않았겠지만, 그저 그 타이틀 "여자 나이 쉰 셋! 1년을 자유롭게 온전히 나를 위해 쓰리라!" 라는 그 카피 하나만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은가.

나, 내 나이 쉰 셋이 되어 아이를 군대에 보내고 이렇게 떠날 수 있을까.

많은 중년여성들은 이제 쉴 때가 된 듯 하면 노년을 걱정하며 재산을 불리고 아파트 청약을 알아보러 다니는 판에, 어이없이 티벳 여행을 떠나는 저자의 넉넉한 마음이 부럽다.

이제 그녀가 다녀온 티벳은 그 때와 많이 변질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거지들도 바가지요금도 훨씬 더 많이 생겨났을 것이다.

더 이상 우리가 꿈꾸던 "샹그릴라"는 절대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샹그릴라가 어디 중국정부에서 정해준 이름, 그 행정구역내에 존재하던가. 샹그릴라는 언제나 마음속에 있을 것이다.

 

2006. 11. 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