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올해로 서른 다섯이 된다.  그리고 가정주부이며, 아이의 엄마이고, 프리랜서 아닌 프리랜서 형태의 웹마스터 일을 종종 한다. 원격대학의 학생이기도 하고, 아직은 그래도 뭐든지 할 수 있는 나이이긴 하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런데, 서른 다섯에 내가 하고 싶다고 해서 무조건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것들이 몇가지 있다. 그런 것중에 몇 가지는 다시 스무살로 돌아가 탱탱하고 젊은 몸을 가지고 피나는 연습을 해서 가수가 되는 일뿐만이 아니다.  

서른 셋정도를 넘기면서, 나는, 아 - 내가 의사가 되었더라면 참 좋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사람의 병을 고친다는 보람과, 그에게 옳은 길을 제시할 수 있는 지도의 역할과, 치열하고 바쁘고 긴장된 일상이 내 적성에 맞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양한 인간군상을 현장에서 만날 수 있는 매력과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공감하면서 내 인격도 함께 부쩍부쩍 살 찔 수 있는 계기가 되겠구나 하는 생각. 그리고 언젠가부터 의술이나 약물치료, 혹은 한의학계통에 대해서 내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형태의 의사이든, 내가 의사라는 직업군에 속해있었다면 이렇게 방황하고 헤매지는 않았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올해로 나는 서른 다섯이 된다. 의사라는 직업은 스무살이 되기 전에 인생의 방향을 잡아 10년 이상의 정규교육을 받아야지만 자격취득이 가능한 일이다. 내가 오늘부터 수능을 준비한다고 치자. 1년만에 합격을 한다고 하면 서른 여섯에 의과대학에 입학해서 마흔여섯이 넘어 전문의가 될 수 있다. 과연 내가 10년을 투자할 만큼, 그 직업이 간절한가. - 그것은 또 그렇지 않다.  

이미 나는 의사가 아닌 삶을 삼십년 넘게 살아왔고, 의사가 아니더라도 잘 살고 있으므로, 가끔 개인적인 호기심 충족을 위해 의학관련 기사를 보고 약을 받아오면 약물검색 싸이트를 뒤져보거나 약상자의 성분들을 혼자 뜯어보고 가까운 의료계 지인들에게 이런 저런 의학 상식을 물어보고 의학이나 건강에 대한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나는 잘 살고 있다는 말이다. 하얀 거탑이나, 뉴하트 같은 의학드라마가 뜰 때 미친듯이 몰입하고 그에 관한 자료까지 섭렵하는 것으로 충분히 바쁘다.

의사와 같은 전문직종은 스무살이 되기 전에 그 꿈을 확립했어야 하는 일이다. 정규교육을 받고 그 직업으로 가는 길이 너무나 험난하기 때문에 젊은 열정이 아니라면 쉽게 시작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나는 그래서 오늘 내 주변을 살짝 원망해본다. 왜 그 때 아무도 나에게 의사가 되어볼 생각은 없냐고 묻지 않았을까. 특히, 외할아버지가 의학공부를 하셨다면서! 엄마는 왜! 나에게 단 한 번도 묻지 않았을까. 하긴, 그 때 나의 어머니는 나의 진로에 대해서 아무런 관여도 하지 않았다. 무엇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얘기도 하지 않았고 무엇이 너에게 어울린다는 이야기도 하지 않았다. 그저 얼토당토 않게 수녀나 경찰이 되는 건 어떠냐고 했었다. (이건 정말 자식을 몰라도 한 참 모르는 일을 넘어서서 자식의 특성을 모두 무시해 버린 처사다. 나는 제복을 증오하는 사람이라 고등학교를 졸업한 바로 그 날 집에 돌아와 교복을 가위로 아주 잘게 쪼게 버린 사람이다.)그리고 그 때 이과반 열풍을 몰았던 선생들은 왜 아무도 나에게 너는 수학을 잘 못하긴 하지만 이과쪽 적성도 있는 것 같다고 아무도 사려깊게 관찰해주지 않았을까. 하는 원망을 해 본다.  

모든 것은 본인의 결정이다. 그러나 스무살이 되지 않은 젊은 피가 평생의 결정을 하기엔 조금 무리가 있지 않는가. 다양한 직업군을 제시하고 네가 앞으로 살아가기 위해선 돈을 벌어야 하며 밥벌이를 해야하는데, 올바른 직업관이란 이런 것이고 너 자신은 바로 이런 사람이 될 수 있으며, 너의 적성은 내가 관찰한 바로는 이러저러한 경향을 많이 띄고 있는 듯 하다. 라고, 왜 단 한 사람도 말해주지 않았을까. 루소의 에밀을 읽다보니, 에밀이 너무 부러워졌다. 이렇게 사려깊고 충실한 철학자를 (일부의 부족한 점은 일단 차치하고), 에밀이라는 학생을 교육시키는 데 온 힘과 정열을 다 바치는, (그게 그 교사의 인생의 큰 부분이기도 하지만), 이런 지도자 밑에서 성장하는, 청년의 에밀 (지금 15-20세 부분을 읽고 있다.)이, 참으로 부러웠다. 

대부분의 우리들은 그랬을 것이다. 부모들은 원치 않는 밥벌이를 의무감으로 다해왔고 자식들은 운좋으면 좋은 선생님이 멋진 진로를 방향잡아주었을 지도 모르고, 형제들은 알아서 툭탁거리며 자랐다. 부모들은 늦게 들어와 지친 육신을 잠시 누이는 데 바빴으며, 자식들은 그런 부모들에게 사랑을 받기 위해서 일찍 자고 착하게 굴어야 했다. 개성 따위는 개나 줘 버려라. 일단은 밥이 문제였다. 특히나 심한 컴플렉스로 자기 자신을 위장하며 살아왔던 나같은 부류의 인간들은 자신감과 오만으로 똘똘 뭉쳐 있었기 때문에 다들 나는 무엇을 해도 잘 할 것이니 상관하지 않겠다는 어른들이 많았다. 아니 ㅡ 그 무엇을 조금이라도 제시해 줬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 하고 나는, 오늘 아주 대놓고 그 때의 내 주변을 모두 타박해 보는 것이다.  

나는 이제 학부모가 될 것이고, 나의 아이는 별 다른 일이 없는 한 무럭 무럭 잘 자라날 것이다. 아이는 언젠가 나처럼 선택해야 할 것이고, 자기 자신에 대해서 알지 못한다는 것이 고통스러워질 것이다. 그 때, 내가 올바로 아이에게 어떤 길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 그것을 배우기 위해서 어미는 오늘도 고군분투 서른 다섯 인생의 중간쯤에서 - 나 자신을 다시 후벼파고 쪼개보고 있다. 내 아들도 언젠간 나에게 물을 것이다. 엄마, 엄마는 내가 뭐가 되었으면 좋겠어? 라고. 그 때 응 엄마는 어릴 때 과학자가 되고 싶었는데, 서른이 넘어서는 의사가 되고 싶더라. 라고 하지 말고, 현명한 답변을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인생은 어차피 죽음으로 완성된다는 것도 아이에게 잘 말해 줄 수 있어야겠다.  

서른 다섯에 수신(修身)이 무엇인가를 배운다. 수신을 이루지 못하면 제가(濟家)를 이루지 못하고 제가를 이룬다는 것이 바로 육아(育兒)이며 교육(敎育)이라는 것을, 내가 얻지 못했던 인생의 가이드를 내가 이루어 볼 차례가 되어버렸다. 누군가의 말대로 우리는 인생이 무엇인지 대충 알게 되면 어느새 서른 다섯을 넘겨버리고 난 다음 이다. 나도, 결국 그렇게 되었다.  

2009. 1. 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