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의 즐거움 롤랑 바르트 전집 12
롤랑 바르트 지음, 김희영 옮김 / 동문선 / 199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롤랑 바르트의 책은 동문선에서 문예신서를 통해, 그리고 롤랑 바르트 전집을 통해 접할 수 있다. 롤랑 바르트의 이 책 텍스트의 즐거움은 "텍스트의 즐거움"과 "강의", 그리고 스티븐 히스와의 "대담"등이 엮여있으며, 각 인터뷰에서 발췌하여 엮은 롤랑 바르트의 주요어 20개에 대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텍스트의 즐거움은 내 육체가 그 자신의 고유한 상념을 쫓아가는 바로 그 순간이다. 왜냐하면 내 육체와 나는 동일한 상념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라는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에 대한 주관, 그리고 텍스트의 즐거움 - 곧 텍스트를 즐기기에 대한 긴 화두에 대한 이야기들이 이 책에 나타나 있다.

읽혀지는 것과 읽혀지지 않는 것의 리듬텍스트는 그 자체로써 유희하며 독자는 그 텍스트를 가지고 유희하며 그것을 재생산할 실천을 추구하는데서 두번째로 유희를 하는, 그가 텍스트를 바라보는 방법에 대하여 몇가지의 이야기들을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어쨌거나 롤랑 바르트이건 그레마스이건 데리다이건, 미셀 푸코나 레비 스트로스나 그들의 기호학은 마치 다 말장난에 불과한 것 같기도 하다. 롤랑 바르트가 지식인은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역사의 찌꺼기라고 하는 것처럼 그저 그들의 피나는 연구는 언어에 관심을 가진 인류의 한 역사의 부스러기 쯤 된다는 것. 그렇다면 그 부스러기와 찌꺼기를 놓고 심각하게 고민하고 줄 긋고 있는 나는 역사의 쓰레기를 쫒아다니는 바퀴벌레정도 될려는지. 

 인류의 역사는 모두 권력의 투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진짜라면, 권력에 대항하여 싸우기, 그리고 그 권력이 가장 깊게 깃든 곳이 언어와 언어체(랑그)라는 그의 주장, 다시 말해, 반동적인 것도 진보적인 것도 아닌 다만 파시스트적인, 말하지 못하는 게 아니라 말하게끔 강요하는 그 권력에 대한 도전들의 찌꺼기, 그리고 그 도전들의 찌꺼기를 추종하는 지식인 흠모 집단. 뭐 그런 것들로 구성된 게 역사와 인류가 아닌지. 

 학부때, 문학선생이 그런 말을 했었다.

문학은 沒有用의 것이라고. 소용이 없는 것이 문학이다. 文學은, 글에 관한 것들이다. 곧 모든 지식의 바탕이다라고 한다면, 그 선생의 이론과 롤랑 바르트는 어느 한 선에서 닿아있다. 

 아이를 낳은지 백일도 되지 않았고 매일 매일 미역을 불리고 미역국을 끓이고 아이의 기저귀 값이 비싸다는 것을 고민하고 있는 내가 도데체 왜 이런 책을 읽고 있는가에 대해서 적당히 둘러댈 그 어떤 변명도 찾지 못했다. 굳이 왜? 라고 묻는다면, 그냥? 이라고밖에 대답할 수 없는 이유.

사람은 가끔 그렇게 엉뚱하고 비실용적인 짓들을 한다.

어쩌면 언어와 언어체에 대해서 지지부지하게 평생을 매달린 롤랑바르트를 비롯한 일단의 지식인들 역시, 나만큼 엉뚱하고 비실용적인 짓을 ─ 평생토록 하셨을 뿐 어닐까. 

 세상 어딘가에, 비슷한 이유로 나같이 비실용적이며 어울리지 않는 짓을 할 나같은 바퀴벌레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2006. 5. 11.

 

PS. 기호학 서적은 그리 어렵지 않다.

정신을 바짝 차리고 한 문장을 여러번 읽을 수 있다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2-27 19:5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