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택의 심리학 - 선택하면 반드시 후회하는 이들의 심리탐구
배리 슈워츠 지음, 형선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 비슷한 제목을 가진 책들이 적지 않았던 것 같다.
선택의 심리학, 유혹의 심리학, 설득의 심리학 등등..
다른 책들을 읽어보지 않았으나, 웬지 그 쉬운 듯한 제목에서는 책의 내용이 별 어려움 없이 대중적으로 접근한 마케팅 기법 서적의 냄새가 많이 난다.
제목이 책의 내용을 정확하게 축약해서 표현해야 하는 것이 룰이라면, 이 책의 제목은 좀 잘못지어진 듯 하다. 내용이 쉬워보이는 선택의 심리학이라는 제목과 달리, 선택의 심리학은 그리 쉬운 책도 아니고 마케팅 전략서도 아니다.
솔직히 나는 이렇게 하면 고객의 선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라고 하는 마케팅 전략서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책을 샀다. 그러나 책은 조금 대중적인 주제를 잡았을 뿐, 소비문화와 넘쳐나는 물건들로 둘러싸인 현대사회에서의 선택이라는 중요한 결정에 대한 복잡한 인간의 심리와 , 어떻게 하면 선택하고도 만족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철학서의 내용까지 접근하고 있다.
저자는 청바지를 사러 한 옷가게에 들어가서 혼란스러웠던 일로 글을 시작한다.
예전에는 "그냥 청바지요"라고 하면 될 일이었지만 지금은 그 스타일도, 워싱 기법도, 색깔도 너무나 다양해져서 청바지 하나를 고르는데 엄청난 노동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느끼는지 모르겠지만, 나같은 경우는 쇼핑이라는 것 자체에 엄청난 피로를 느낀다. 끊임없이 선택해야하고 끊임없이 흥정해야하는 특히 재래시장의 쇼핑은 되도록이면 피하고 싶은 경우가 많다. 말하자면 이제 선택의 컨설던트가 각 개인마다 필요하지 않을까 싶을 정도인데, 특히 잘 알지 못하는 품목을 고르려면 한숨만 나오는 경우가 많다. 주변의 친구들의 경우도 캠코더를 하나 사려고 하는데, 혹시 최근에 니가 구입을 한 게 있다면 그걸 사려고 한다는 얘기들을 하기도 한다. 이런 심리적인 현상은 이 책에서 말한대로 상대방과 동일한 물품을 구입하여 손해를 보더라도 공동손해를 볼 것이라는 보상을 원하는 심리에 기초한다고 한다.
선택하고 후회하지 않거나, 기대치를 낮추면 사람들의 삶은 행복하거나 풍요로워지기가 매우 쉽다. 영화를 볼 때도 우리는 항상 말한다. 기대하지 않고 보면 재미있다고. 그리고 한 번 구입한 물건에 대해서 다른 곳에서 가격을 묻지 않으며 그 물건을 만족하며 쓸 수 있다고.
이렇게 끊임없이 이어지는 선택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그 선택의 심리와 선택과정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심리작용들에 대해서 저자는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어쩌면, 이 책은 선택의 심리작용을 분석해서 우리가 조금 더 만족하고 행복하게 사는 길이 무엇인가를 재조명하게 해주는 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야망을 버리고 항상 기대치를 낮추면서 산다면, 그 역시도 행복할지는 잘 모르겠지만.
2006.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