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학자
배수아 지음 / 열림원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이로서 내가 가진 배수아의 소설은 끝이다.

다음 배수아의 소설은 다음번 도서구매때 이루어지겠다.

2004년 8월에 출간된, 당나귀들 바로 직전의 최근작인 배수아의 이 소설은 "스무살 청년 몽상가의 지극히 아름다운 정신적 투쟁" 이라는 카피를 가지고 있다.

 

음.. 어쨌거나 책에 대한 중점적 요약은 책 앞뒤에 적힌 카피들에 가장 잘 적혀있는 법. "모든 얽매임으로부터의 자유와 자신만의 언어를 찾아 떠나는 멀고 먼 산책". 이전엔 어쨌는지 모르지만 내가 아는 배수아은 언어에 대해서 그리고 그리고 문학과의 거리에 대해서 상당한 고민을 하고 있고 작가의 말에서 말했듯이 "표현할 수 있는 것과 표현하고 싶은 것들 사이의 간극"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는 듯 하다.

 

그녀가 외국어를 공부하게 되면서 느꼈을 "표현하고 싶은 것과 표현할 수 있는 것"사이의 거리는 외국어를 공부하면서 뭔가를 표현하고 싶었던 사람들이 더욱 깊게 공감하리라.

 

작품의 배경은 예비알콜중독자들이 민주주의를 이루어가던 1980년대이고 그 알량하고 전혀 공부하는데에 도움이 되지 않는 대학에 있던 스무살 한 청년과 그의 유일한 사랑, 유일한 친구 그에게는 아도니스처럼 보였던 S라는 친구, 그리고 펼쳐보지도 못한 책과 같은 거대했던 P라는 선생 사이에서 스스로의 대학에 입학하고 공부할 계획을 세우려 했던 외소하고 보잘 것 없는 일종의 사회부적응자 "나"의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배수아의 강력한 무기는 냉철함과 그를 수단으로 삼은 처절한 현실 비판인데, 현실에 대해 직격탄은 날리기도 하고 비아냥 거리기도 하는 "세상을 향한 직설적 발언"(서평中)으로 "오늘날 한국 사회 자체와 그 구성원들을 향한 개인의 관찰과 고백과 사색으로, 글쓰기의 사회적 책임의식을 그것의 성실성으로 전환시켜놓고 있다"는, 좀 지나친 사회적인 평가일 수도 있겠지만.. 어쨌건간에 이러한 작가의 의도를 소설이라는 매개로 눈부시지 않게 잘 풀어낸다는 엄청난 재주에 나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지적인 것에 대한 갈급함이 하늘 높이 탑을 쌓고 있는 배수아의 고민이 계속해서 나를 일깨워주길 바라면서.

아마 그녀의 다른 책들은 1월달이나 되어야 만나게 되지 않을런지 하하.. ㅎ

 

2005. 12. 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