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과 동양이 127일간 e-mail을 주고받다 대담 시리즈 2
김용석 외 지음 / 휴머니스트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용석. 이승환 공동지음 / HIT 휴머니스트 펴냄
 

일단 이 책에 대해서 소개를 하려면 저자들의 약력을 알아야하겠다.

 

김용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태리어과를 졸업한 후 로마 그레고리안 대학 철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대학교에서 철학석사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레고리안 대학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서양 근현대 사상을 연구하고, 사회 문화철학 및 칸트 사상을 가르쳤다. 그는 문화 담론과 인간론을 접목하면서 미래 세계를 구상하는 사유에 몰두하는 한편, 대중문화의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는 학제적 접근과 일상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그는 전문가를 구체성으로 끌어당기고 독자를 끌어올리고 싶어한다. 한국어로 쓴 책으로는, 다양한 텍스트를 설득하여 무장 해제 시키고 이를 다시 품에 안는 새로운 사유와 글쓰기로 호평 받은 《문화적인 것과 인간적인 것》, 방대한 인문학적 지식의 창고이자 창발적인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미녀와 야수 그리고 인간》이 있다.

2002년 2월 그는 환상과 현실, 인간과 지식, 과학과 문화, 시간과 세계라는 테마 아래 해리포터, 반지의 제왕을 비롯한 환타지, SF등 다양한 문화현상을 텍스트화한 《깊이와 넓이 4막 16장》을 출간해 문화 텍스트 읽기의 새로운 전범을 보여주었다.

 

이승환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후 타이완 대학교 철학 연구소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미국 하와이 주립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자유주의 정치사상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 심층적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동양 정치 사상의 정수를 발굴하는 일에 집중해왔다. 또한 유학의 대동사상을 현대 민주주의와 접목시킨 대동민주주의를 구상하고 있으며, 자본주의적 근대성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문화 철학적 탐색의 일환으로 '몸'과 '수행'의 의미에 대해 전착하고 있다. 그간 쓴 논문으로는 〈주희 형이상학의 정치 철학적 함의〉〈눈빛 낯빛 몸짓 : 유가적 덕의 표현방식〉등 80여 편이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98년 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받은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현대문명과 동양철학상》(공저),《(가제)유교를 둘러싼 담론들》(근간)등이 있고, 역서로는 《인물지》외 다수가 있다. 수묵화에도 조예가 깊어 2001년 가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문인화로 특선을 수상하기도 했다. 아호는 莞堂이다.

 

제목이 말해주는 그대로 서양과 동양의 만남, 서양철학을 전공한 김용석교수와 동양철학을 공부한 이승환교수가 만나 우리의 현실을 이야기한다. 이런 책들은 읽자마자 , 책을 내려놓자마자의 감흥이 큰 법이다. 아, 나는 왜 이리 무식한가 하고 좌절하게 하는 인문서적이 아니라 이런 대담집은 생각보다 훨씬 쉬우면서 대담자들의 인간적인 면모도 볼 수 있어서 재미가 더하다. (대담중 흥분하는 과정도 생생하게 상상할 수 있다.)

휴머니스트에서는 이전 임지헌과 사카이 나오키의 탈식민주의에 대한 대담집을 내놓은 적 있는데, 두 책은 겉표지도 비스무리해서 시리즈물이라는 느낌도 주면서 맥락이 비슷해 다음 출간될 대담집도 기다리게 하는 매력이 있다.

 

이 책은 서양철학의  愛知에 대해서 언행일치를 강조했던 동양철학에 대해서 되짚어보며 우리가 얼마나 혼돈을 겪고 있는지, 얼마나 서양기준에 맞춰져 있는지, 동양철학은 그 과정에서 얼마나 방치되고 있는지 두 명의 대담자도 읽는 사람도 다 같이 반성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지식을 사랑하되 폐륜적인 삶을 살았던 수많은 서양철학자들이나, 언행일치를 중시하고 인격을 중요시했던 동양철학의 역사, 그러나 지금은 상업적으로 이용되어 나락으로 떨어진 동양철학에 대하여, 서구화 되었으나 뿌리깊이 남아있는 동양철학의 원류인 한국사회는 앞으로 어디로 나가야 하는가에 대하여 다 같이 고민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한국인인 두 사람이 만나 한국에서 이야기 하기 때문에 우리의 공감도는 더 높고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부분도 매우 깊다.

 

가끔 뭔가 지식의 갈급함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반가운 서적일 것이다. 慾과 欲의 차이점, 그리고 愛知의 欲을 느끼고 싶은 사람에게 좋은 발화점이 될 것이다.

 

2005. 11. 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